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정백붕(鄭百朋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온양(溫陽). 상의원 첨정(尙衣院僉正) 정탁(鄭鐸)의 아들이며, 우의정 정순붕(鄭順朋)의 형으로, 형조 판서(刑曹判書)ㆍ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정백영(鄭伯英)
중국 송(宋) 나라 효종(孝宗)~광종(光宗) 때의 문신ㆍ학자. 형인 정백웅(鄭伯熊)과 이름을 나란히 하였으며, 수주 판관(秀州判官)을 지냈으나 그만두고 종신토록 벼슬하지 않음. 저서에 《귀우옹집(歸愚翁集)》이 있음.
1130~119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정백웅(鄭伯熊)
중국 송(宋) 나라 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정호(程顥)ㆍ정이(程頤)의 사상을 계승한 영가학파(永嘉學派)를 부흥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. 저서에 《몽재필담(蒙齋筆談)》ㆍ《부문서설(敷文書說)》이 있음.
1127~118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정번(鄭蕃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1523(중종 18) 별과(別科)에 합격하였으나 가문이 한미하다 하여 제명됨. 이문학관(吏文學官)에 보직(補職)하면서 이어(吏語)와 중국 관제(官制)에 대한 주석서 《이문제서집람(吏文諸書輯覽)》의 편찬에 참여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정범조(丁範祖)
조선 영조(英祖)~순조(純祖) 때의 문신ㆍ문인. 본관은 나주(羅州)로, 대사헌ㆍ형조 판서 등을 지냄. 시율과 문장에 뛰어나 사림의 모범으로 명성을 얻고, 문체반정(文體反正)에 주력하던 정조(正祖)에 의해 당대 문학의 1인자로 평가되어 오랫동안 문사의 임무를 맡음.
1723~1801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정법안장(正法眼藏)
중국 송(宋) 나라의 선승(禪僧)인 종고(宗杲)의 법어집(法語集). 3권. 정법안장은 진리를 볼 수 있는 지혜의 눈으로 깨달은 비밀의 법이라는 뜻으로, 이심전심으로 전해지는 석가모니의 깨달음을 이름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정보(程保)
조선 성종(成宗) 때 광주목(光州牧)에 소속된 아전. 제주(濟州)에서 뭍으로 돌아오는 추쇄경차관(推刷敬差官) 최부(崔溥)를 수행하던 중 함께 중국에 표류되었다가 돌아옴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아전
-
정보(鄭保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정몽주(鄭夢周)의 손자로, 사육신(死六臣)의 무죄를 주장하다가 연일(延日)로 유배된 뒤 단성(丹城)으로 이배(移配)되어 죽임을 당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일 , 인명>관인>문신
-
정보천(鄭普天)
고려시대의 문신. 온양정씨(溫陽鄭氏)의 시조(始祖). 은청광록대부(銀靑光祿大夫)에 오르고, 호부 상서(戶部尙書)를 지냄.
한국>고려시대 , 충청도>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정복겸(鄭福謙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. 영의정(領議政) 정광필(鄭光弼)의 아들로, 강화 부사(江華府使)를 지냄.
1501~155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정복린(鄭福麟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유학 정창(鄭敞)의 아버지로, 충좌위 부사맹(忠佐衛副司猛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무신
-
정복심(程復心)
중국 원(元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《사서집주(四書集註)》에 황씨(黃氏)ㆍ보씨(輔氏)의 설(說)을 절충(折衷)하고 장(章)을 나누어 도해(圖解)한 《사서장도(四書章圖)》을 저술함.
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정복주(鄭復周)
고려 말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일두(一蠹) 정여창(鄭汝昌)의 조부. 연안 도호부사(廷安都護府使)ㆍ전농시 판사(典農寺判事)를 지내고, 효행으로 정려(旌閭)를 하사받음.
1367~?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하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정복현(鄭復顯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으로, 우후(虞侯) 정신(鄭愼)의 아들. 정희보(鄭希輔)ㆍ조식(曺植)의 문인으로 노진(盧禛)ㆍ양희(梁喜) 등과 교유함.
1521~1591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정봉시(鄭鳳時)
조선 고종(高宗)~근대(近代)의 문신. 본관은 초계(草溪). 경학원 대제학(經學院大提學) 등을 지냈고, 문장을 잘 하여 《간재집(艮齋集)》ㆍ《동원집(東園集)》 등의 서문을 지음.
1855~? 한국>근대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정부(鄭符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. 고려 말에 교주도 안렴사(交州道按廉使)를 지내고, 1408년(태종 8) 고부청시사(告訃請諡使)의 부사(副使)로 명(明) 나라에 다녀옴. 한성부 윤(漢城府尹) 등을 지냄.
?~1412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정북창방(鄭北窓方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ㆍ의원인 정렴(鄭𥖝)이 지은 의서(醫書). 저자가 평상시 경험한 처방을 모아 편찬하였다고 하며, 양예수(楊禮壽)의 《의림촬요(醫林撮要)》에도 인용되어 있으나, 유실되어 현존하지 않음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정분(鄭苯)
조선 태종(太宗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토목에 조예가 깊어 궁궐 조성과 축성, 현릉(顯陵) 조성 등을 감독함. 우의정에 재직 중 계유정난(癸酉靖難)이 일어나 낙안(樂安)에 안치되어 관노(官奴)가 되었다가 사사(賜死)됨.
?~145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정붕(鄭鵬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. 정철견(鄭鐵堅)의 아들이며, 박영(朴英)의 스승. 김굉필(金宏弼)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고, 성희안(成希顔)과 친교를 맺음. 청송 부사(靑松府使) 등을 지냄.
1467~151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정비안씨(定妃安氏)
고려 제31대 공민왕(恭愍王)의 비(妃). 본관은 죽산(竹山). 안극인(安克仁)의 딸로, 1366년(공민왕 15) 왕비로 책봉되고, 1390년(공양왕 2)에 왕대비(王大妃)로 봉해짐. 조선 태조(太祖)의 즉위 때 대비 자격으로 옥새를 넘겨줌.
?~142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왕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