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정사(淨師)
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. 《운곡행록(耘谷行錄)》에 원천석(元天錫)이 써준 〈서원신권(書元信卷)〉이 수록되어 있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정사공신(定社功臣)
조선 태조(太祖) 7년에 제1차 왕자(王子)의 난(亂) 때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(勳號). 이방석(李芳碩)과 정도전(鄭道傳) 등을 제거하는 데 앞장선 이방원(李芳遠) 등 29명에게 내렸으며, 제2차 왕자의 난 이후 18명으로 축소됨.
1398 한국>조선전기 , 법제>제도
-
정사공신(靖社功臣)
조선 인조(仁祖) 1년에 광해군(光海君)을 폐출하고 인조를 옹립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훈호(勳號). 김류(金瑬)ㆍ이귀(李貴) 등 총 53명에게 내렸으나, 논공행상(論功行賞)이 불공평하여 이괄(李适)의 난(亂)을 초래함.
1623 한국>조선후기 , 법제>제도
-
정사도(鄭思道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공민왕(恭愍王) 때 모친상에 3년간 시묘(侍墓)한 효성으로 일성군(日城君)에 봉해짐. 최영(崔瑩)을 제거하려는 신돈(辛旽)을 반대하여 파직되었다가 복직된 뒤 오천군(烏川君)에 개봉(改封)됨.
1318~1379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정사룡(鄭士龍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문인. 명종 때 이량(李樑)의 일당으로 지목되어 삭직(削職)당함. 시문(詩文)ㆍ음률(音律)에 뛰어나고, 당시 문단에서 신광한(申光漢)과 쌍벽을 이룸.
1491~157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정사성(鄭士誠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집경전 참봉(集慶殿參奉)ㆍ내자시 주부(內資寺主簿)ㆍ양구 현감(楊口縣監) 등을 지낸 뒤 낙향하여 학문 연구에 힘씀.
1545~160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정사신(鄭士愼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. 사재감 첨정(司宰監僉正) 정희익(鄭希益)의 아들이며, 찰방(察訪) 김득령(金得齡)의 사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정사신(鄭思愼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. 정인수(鄭麟壽)의 아들이며, 정홍익(鄭弘翼)의 아버지로, 사섬시 정(司贍寺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사중(鄭思中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한강(寒岡) 정구(鄭逑)의 아버지이자, 백곡(栢谷) 정곤수(鄭崐壽)의 생부(生父). 충좌위 부사맹(忠佐衛副司猛)을 지내고, 이조 판서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무신
-
정사현(鄭師賢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은사(隱士)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조식(曺植)의 자형(姊兄). 효행이 뛰어나 나라에서 관직을 주었으나 사양하고 학문에 정진하여 고령 5현(高靈五賢)의 한 사람으로 불림.
1508~155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정산서원(鼎山書院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 경상도 예천(醴泉)에 건립된 서원. 1612년(광해군 4)에 창건되고 1697년(숙종 23)에 사액되었으며, 이황(李滉)ㆍ조목(趙穆)을 배향함.
161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천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정상조(鄭尙祖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하동(河東). 하동부원군(河東府院君) 정인지(鄭麟趾)의 다섯째 아들이며, 판중추부사(判中樞府事) 정세호(鄭世虎)의 아버지로, 부호군(副護軍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하동 , 인명>관인>무신
-
정서(鄭敍)
고려 인종(仁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문인. 지추밀원사(知樞密院事) 정항(鄭沆)의 아들이며, 인종의 비(妃)인 공예태후(恭睿太后)의 동생의 남편. 의종(毅宗) 때 참소를 받아 동래(東萊)ㆍ거제(巨濟)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정서분류(程書分類)
조선 인조(仁祖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시열(宋時烈)의 저서. 어지러이 뒤섞여 있는 《이정전서(二程全書)》의 편차(編次)를 각각 유형별로 구분하여 정리한 책으로, 1678년(숙종 4) 유배지인 장기(長鬐)에서 저술함.
167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장기 , 문헌>서명
-
정석견(鄭錫堅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이조 참판(吏曹參判)에 올랐으나 김종직(金宗直)의 문집을 간행한 일로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파직됨. 성종 때 천거된 유도인(有道人) 13인 중의 한 사람.
?~150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개령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석형(丁碩亨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유학. 성균관(成均館) 유생으로 강응정(姜應貞)ㆍ김용석(金用石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정선(丁璿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광(靈光). 정세명(丁世明)의 아들로 교감(校勘)을 지냄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유배되고, 이후 향리로 퇴거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영광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선(鄭歚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화가. 본관은 광산(光山). 그림에 뛰어나 현실감 넘치는 독창적인 진경산수화(眞景山水畵)를 완성하고, 금강전도(金剛全圖)ㆍ인왕제색도(仁王霽色圖) 등 많은 명작을 남김.
1676~175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정성근(鄭誠謹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갑자사화(甲子士禍)에 연루되어 참수(斬首) 당함. 중종(中宗) 때 이조 참판(吏曹參判)으로 추증됨.
?~150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성량(鄭性良)
고려 후기의 유학. 원(元) 나라 조정(朝廷)에서 제조장알사사(提調掌謁司事)를 지낸 손자 정독만달(鄭禿滿達)의 공(功)으로 자선대부 중서성좌승 상호군(資善大夫中書省左丞上護軍)에 추증되고 영양군공(榮陽郡公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하동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