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정성지(鄭性之)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寧宗)~이종(理宗) 때의 문신. 주희(朱熹)의 문인으로, 참지정사(參知政事)를 지냄.
1172~125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세린(鄭世麟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유학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 영남(嶺南)에서 거주했고, 시문에 뛰어남.
?~1486 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정세명(丁世明)@정선의아버지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영광(靈光). 정석필(丁碩弼)의 아들이며, 정선(丁璿)의 아버지로, 충순위(忠順衛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영광 , 인명>관인>무신
-
정세명(丁世明)@정환의아버지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딸이 연산군의 세자빈(世子嬪)에 간택되고, 사산감역관(四山監役官)ㆍ돈녕부 도정(敦寧府都正) 등을 지냄.
1468~152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세운(鄭世雲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무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공민왕을 숙위하고 기철(奇轍)을 처단하는 데 앞장서며 홍건적(紅巾賊)을 물리치는 등 큰 공을 세워 수차례 공신(功臣)에 책록되었으나, 김용(金鏞)의 음모로 인해 안우(安祐) 등에게 살해됨.
?~1362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정세웅(鄭世雄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1513(중종 8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남원 부사(南原府使) 등을 지냄. 이천(利川)과 여주(驪州)에 수령(守令)로 있을 때 김안국(金安國)과 교유한 시들이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세유(鄭世猷)
고려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하동(河東)으로, 평장사(平章事) 정숙첨(鄭叔瞻)의 아버지. 1177년(명종 7) 망이(亡伊)ㆍ망소이(亡所伊)의 난을 평정하고, 서북면 병마사(西北面兵馬使)ㆍ형부 상서(刑部尙書) 등을 지냄. 1194년(명종 24)에 반란을 계획하다 발각되어 귀양감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하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세창(鄭世昌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명종(明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진양(晉陽). 1501년(연산군 7) 식년시(式年試) 무과(武科)에 급제하여 장연 현감(長淵縣監)ㆍ광흥창 수(廣興倉守) 등을 지냄.
1474~155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세현(鄭世賢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석성 현감(石城縣監)을 지낸 정수덕(鄭守德)의 아들. 1525년(중종 20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돈녕부 도정(敦寧府都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세호(鄭世虎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정상조(鄭尙祖)의 아들이며, 선조(宣祖)의 외할아버지. 국고물(國庫物)의 도절범으로부터 뇌물을 받고 죄과를 눈감아주는 등 비루한 행동이 많아 양사로부터 탄핵을 받았으나,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에 오름.
1486~156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수(鄭琇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동래(東萊). 정유인(鄭有仁)의 아들이며, 목사(牧使) 정희홍(鄭希弘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문사>유학
-
정수강(丁壽崗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가 중종반정 때 다시 등용되어 정국원종공신(靖國原從功臣)에 책록됨. 동지중추부사 등을 지내고, 저서로 《월헌집(月軒集)》이 있음.
1454~152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정수강(鄭守綱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온양(溫陽). 연풍 현감(延豐縣監) 정이손(鄭二孫)의 아들이며, 온계군(溫溪君) 정유(鄭裕)의 아버지로, 통진 현감(通津縣監)을 지내고, 이조 참판(吏曹參判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수곤(丁壽崑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소격서 영(昭格署令)을 지낸 정자급(丁子伋)의 아들로, 월헌(月軒) 정수강(丁壽崗)의 형. 1472년(성종 3) 춘당대시(春塘臺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한 후 공조 좌랑(工曹佐郞)ㆍ승문원 교리(承文院校理) 등을 지냄.
1452~1486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배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수덕(鄭守德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한성 판윤(漢城判尹) 정지례(鄭之禮)의 아들이며, 돈녕부 도정(敦寧府都正) 정세현(鄭世賢)의 아버지로, 석성 현감(石城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수민(鄭秀民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효종(孝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하동(河東). 정여창(鄭汝昌)의 증손이며, 정구(鄭逑)의 문인으로, 일실된 정여창의 유고를 모아 《문헌공실기(文獻公實記)》를 간행하고, 저서에 《춘수당집(春睡堂集》등이 있음.
1577~165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하동 , 인명>문사>학자
-
정수붕(鄭壽朋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온양(溫陽). 정탁(鄭鐸)의 아들이며, 정초(鄭礎)의 아버지로, 1495년(연산군 1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여 공릉 참봉(恭陵參奉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수집(静修集)
중국 원(元) 나라 세조(世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인(劉因)의 시문집. 저자가 직접 교정(校訂)한 시집과 죽은 후 문인과 친구들이 수집한 유문(遺文)을 모아 편찬하고, 순제(順帝) 때 관청에서 간행함.
중국>원 , 중국 , 문헌>서명
-
정수충(鄭守忠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경사(經史)에 박통하여 환관(宦官)들을 교육하기 위해 선발됨. 세조의 등극을 도와 좌익공신(佐翼功臣)에 책록되고, 제학(提學)으로서 하원군(河原君)에 봉해진 뒤 좌찬성(左贊成)에 이름.
1401~146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하동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정수홍(鄭守弘)
고려 공양왕(恭讓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. 정가종(鄭可宗)의 아들로, 문장과 덕행이 뛰어나 권근(權近)ㆍ하륜(河崙)ㆍ성석린(成石璘) 등과 교유하였으며, 대사헌(大司憲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