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정윤호(丁潤瑚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무안(務安). 유학 정몽열(丁夢說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무안 , 인명>문사>유학
-
정윤화(鄭允和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하동(河東). 한국공(韓國公) 정인(鄭仁)의 맏아들로, 정윤(正尹)에 이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하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윤희(丁胤禧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좌찬성을 지낸 정응두(丁應斗)의 아들로, 이황(李滉)의 문인. 문장이 뛰어났고, 특히 사륙문(四六文)에 능하여 홍문관(弘文館)과 예문관(藝文館)의 서책을 많이 찬술하였음.
1531~158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은(鄭垠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사포서 별제(司圃署別提)를 지낸 정인학(鄭仁學)의 아버지. 해인사에서 불경을 인행(印行)할 때 경차관(敬差官)으로 파견되고, 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ㆍ형조 참의(刑曹參議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은(鄭隱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도사. 갈홍(葛洪)의 스승. 원래 유학(儒學)을 공부하였으나 나이 들어 갈현(葛玄)을 스승으로 모시고 《구정단경(九鼎丹經)》ㆍ《금액단경(金液丹經)》ㆍ《태청단경(太淸丹經)》등을 전수받음.
?~302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도사
-
정을귀(鄭乙貴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하동(河東). 하성부원군(河城府院君) 정흥인(鄭興仁)의 아버지로, 종부시 영(宗簿寺令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하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응두(丁應斗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병조 판서(兵曹判書)를 지낸 정옥형(丁玉亨)의 아들로, 좌찬성(左贊成)ㆍ판중추부사(判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508~157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의(鄭義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광주(光州). 판현사(判縣事)를 지낸 정안도(鄭安道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정의(鄭顗)
고려 고종(高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서경인(西京人) 최광수(崔光秀) 등이 난을 일으키자, 분대녹사(分臺錄事)로 이들을 격살하고 성을 회복하여 섭중랑장(攝中郞將)이 되었으며 대장군까지 오름.
?~1233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무신
-
정의공주(貞懿公主)
조선 제4대 세종(世宗)의 둘째 딸. 소헌왕후(昭憲王后) 소생으로, 양효공(良孝公) 안맹담(安孟耼)에게 출가하여 4남 2녀를 둠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공주
-
정의손(鄭義孫)
조선 전기의 유학(幼學).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정이(程頤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~예종(睿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정향(程珦)의 아들로, 형 정호(程顥)와 함께 주돈이(周敦頣)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이기(理氣)의 철학을 제창하여 유교 도덕에 철학적 기초를 부여함.
1033~110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정이교(鄭以僑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일(延日). 정종소(鄭從韶)의 아들로, 1470년(성종 1)에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청도 군수(淸道郡守)ㆍ이조 좌랑(吏曹佐郞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일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이송(鄭而宋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동래(東萊). 헌납(獻納)을 지낸 정주(鄭賙)의 아들이며, 교리(校理)를 지낸 정휘(鄭徽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문사>유학
-
정이오(鄭以吾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정신중(鄭臣重)의 아들로 이색(李穡)ㆍ정몽주(鄭夢周) 등과 교유하고, 예문관 대제학(藝文館大提學) 등을 지냈으며, 《태조실록(太祖實錄)》편찬에 참여함.
1347~143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이우(鄭而虞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로, 헌납(獻納)을 지낸 정주(鄭賙)의 아들. 판관(判官)ㆍ집의(執義) 등을 지내고 좌익원종공신(佐翼原從功臣)에 녹훈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이청(鄭以淸)
조선 전기의 문신. 성균생원(成均生員) 정교(鄭僑)의 아들로 강계 교수(江界敎授)를 지냄.
1498~1579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이충(鄭以忠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청주(淸州). 호종공신(扈從功臣) 정탁(鄭琢)의 아버지로, 아들의 현달로 영의정(領議政)에 추증되고 청성부원군(淸城府院君)으로 봉해짐.
?~154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정인(鄭仁)
고려 후기의 유학. 정성량(鄭性良)의 아들. 원(元) 나라에서 휘정사(徽政使)에 오른 아들 정독만달(鄭禿滿達)로 인해 사후 한국공(韓國公)에 추봉됨.
1255~1333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하동 , 인명>문사>유학
-
정인경(鄭仁卿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서주(瑞州). 몽고어 통역관 출신으로 원(元) 나라에서 충렬왕을 시종하고, 요동(遼東) 일대의 고려 유민을 찾아내어 귀국시킴. 동녕부(東寧府)를 고려에 귀속시킬 때 공을 세우고, 중찬(中贊)을 지냄.
1237~1305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