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정전(鄭荃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. 정윤운(鄭允耘)의 아들로, 정형운(鄭亨耘)에게 출계함. 1509년(중종 4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예문관 검열(藝文館檢閱) 등을 지냄.
1475~151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제(鄭提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하동(河東). 하원군(河原君) 정수충(鄭守忠)의 아버지로,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하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제안(鄭齊安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초계(草溪)로, 판관(判官)을 지낸 정회아(鄭懷雅)의 아버지. 1405년(태종 5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여 성균생원(成均生員)이 되고, 재화(才華)가 있었다고 함.
1390~145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음 , 인명>문사>유학
-
정조(正祖)
조선 제22대 왕. 재위 1776~1800. 숙종(肅宗)ㆍ영조(英祖)의 탕평론을 이어받아 재위 초부터 민산(民産)ㆍ인재(人才)ㆍ융정(戎政)ㆍ재용(財用) 등의 부문별로 왕정체제를 강화하여 위민정치를 실현하고자 매진함.
1751~1800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정조(鄭造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. 광해군 때 윤인(尹訒)과 함께 인목대비(仁穆大妃)를 서궁(西宮)에 유폐시키는 데 적극 가담하고 형조 참판(刑曹參判) 등을 지냈으나, 인조반정 때 사형당함.
1559~1623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조실록(正祖實錄)
조선 제22대 정조(正祖)의 재위 24년간(1776~1800)의 실록. 이병모(李秉模)ㆍ이시수(李時秀)ㆍ이만수(李晩秀)ㆍ김재찬(金載瓚) 등이 1800년(순조 즉위년)에 시작하여 1805년(순조 5)에 완성함.
180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정존재집(靜存齋集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담(李湛)의 문집.
한국>조선시대 , 문헌>서명
-
정종(定宗)@고려
고려의 제3대 왕. 재위 946~949. 태조(太祖)의 둘째 아들이며, 어머니는 신명순성왕태후(神明順成王太后). 호족들을 견제하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서경천도(西京遷都)를 시도했으나 개경(開京)의 호족과 백성들의 불만을 고조시키는 결과만을 초래함.
923~949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정종(定宗)@조선
조선 제2대 왕. 재위 1398~1400. 태조(太祖)와 정안왕후(定安王后)의 소생. 고려 후기에 아버지를 따라 왜구를 토벌하는 데 많은 전공을 세우고 왕자의 난을 계기로 왕위에 올랐지만, 골육상쟁의 재현을 우려하여 정안군(靖安君)을 세자로 삼고 양위함.
1357~141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정종(定宗)@원
중국 원(元) 나라의 추존 황제이며, 몽고 제국의 제2대 칸. 재위 1246~1248. 태종(太宗)의 장자로 어머니는 탈열가나가돈(脫列哥那可敦).
?~1248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정종(鄭悰)
조선 제5대 문종(文宗)의 부마. 본관은 해주(海州). 참판 정충경(鄭忠敬)의 아들로 경혜공주(敬惠公主)와 혼인함. 단종(端宗) 초기에 형조 판서(刑曹判書)가 되지만, 세조(世曹)가 즉위하자 영월에 유배된 뒤 반역죄로 죽음.
?~1461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왕실>인척
-
정종(靖宗)
고려 제10대 왕. 재위 1035~1046. 현종(顯宗)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원성왕후 김씨(元成王后金氏). 형인 덕종(德宗)의 유업을 이어받아 천리장성을 완성하는 등 변방의 수비를 강화하고 거란과 화친하여 나라를 태평하게 함.
1018~1046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정종명(鄭宗溟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일(延日). 문인ㆍ문신인 정철(鄭澈)의 아들로, 선조 재위 시 아버지의 죄를 추론받아 삭출되었다가 인조 즉위 후 관직이 복구되어 강릉 부사(江陵府使)를 지냄.
1565~162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일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종성(鄭宗誠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영일(迎日). 포은(圃隱) 정몽주(鄭夢周)의 아들로, 이조 참의(吏曹參議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일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종소(鄭從韶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일(延日). 정이교(鄭以僑)의 아버지로, 성균 사성(成均司成) 등을 지내고, 문장(文章)과 기절(氣節)이 빼어나 김종직(金宗直)의 존중을 받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종아(鄭從雅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무신. 본관은 초계(草溪)로, 성균생원(成均生員) 정제안(鄭齊安)의 아들. 1453년(단종 1) 무과(武科)에 급제하여 충주 목사(忠州牧使) 등을 지내고, 만년에는 낙향하여 독서로 여생을 보냄.
1425~149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음 , 인명>관인>무신
-
정종영(鄭宗榮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현감(縣監)을 지낸 정숙(鄭淑)의 아들로, 평안도 관찰사(平安道觀察使) 시절 평양에 서원과 서적포를 설립하여 학문을 진흥시키는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, 청백리에 녹선됨.
1513~158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초계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종주(鄭宗周)
조선 문종(文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. 정옹(鄭雍)의 아들로, 1450년(문종 1)에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지평(持平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주(鄭注)
중국 당(唐) 나라 문종(文宗) 때의 문신. 환관 왕수징(王守澄)의 추천으로 관로에 나서고, 태화(太和) 연간에는 재상에 올랐으나 천성이 교활함. 문종이 왕수징을 제거하는 것을 돕고, 환관 세력을 일소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여 죽임을 당함.
?~835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주(鄭紬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함종 현령(咸從縣令) 정함도(鄭咸道)의 셋째 아들로, 무안 현감(務安縣監)을 지냄. 아버지와 삼형제가 동시에 고을 수령이 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