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정천령(鄭千齡)
조선 전기의 유학. 모재(慕齋)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(門人)으로, 《모재집(慕齋集》에 권은(權殷)ㆍ박수춘(朴壽椿) 등과 함께 김안국으로부터 받은 자(字)에 대한 〈자설(字說)〉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정천익(鄭天益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독농가(篤農家). 사위인 문익점(文益漸)이 원(元) 나라에서 몰래 가져온 목화씨를 심어 재배에 성공하고, 씨아와 물레도 만듦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산음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정천좌(鄭天佐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하동(河東). 한국공(韓國公) 정인(鄭仁)의 넷째 아들이자, 휘정공(徽政公) 정독만달(鄭禿滿達)의 아우로, 판내부시사(判內府寺事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하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철(鄭澈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시인. 본관은 연일(延日). 판관(判官)을 지낸 정유침(鄭惟沈)의 아들이며, 기대승(奇大升)의 문인(門人). 예조 판서(禮曹判書)ㆍ대사간(大司諫)을 지냈고, 가사문학의 대가로 국문학에 크게 공헌함.
1536~159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창평ㅣ경기도>강화ㅣ서울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정초(鄭招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집의(執義) 정희(鄭熙)의 아들로 예조 참판(禮曹參判) 등을 지냄. 경사(經史)ㆍ역산(曆算)ㆍ복서(卜筮)에 통달하고, 《농사직설(農事直說)》등을 편찬하였으며, 혼천의(渾天儀)를 제작함.
?~143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하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초(鄭樵)
중국 송(宋) 나라 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추밀원 편수관(樞密院編修官) 등을 지내고, 천문ㆍ지리ㆍ방서 등에 박식하여 《통지(通志)》를 저술함.
1104~116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정초(鄭礎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온양(溫陽). 정수붕(鄭壽朋)의 아들로, 1528년(중종 23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정랑(正郞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총(鄭摠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. 정당문학(政堂文學)을 지낸 정추(鄭樞)의 아들. 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지냈으며 문장에 능하여 《고려사(高麗史)》 편찬에 참여했고, 중국으로 보내는 표전문(表箋文) 등을 많이 지음.
1358~1397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추(鄭樞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좌사의대부(左司議大夫)를 지낸 정포(鄭誧)의 아들로, 성균관 대사성(成均館大司成)ㆍ첨서밀직사사(簽書密直司事)를 지냈고, 만년에 나라의 일이 권신들에 의해 좌우되는 것을 한탄하다가 병사함.
1333~1382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충경(鄭忠敬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. 대제학(大提學) 정역(鄭易)의 아들로, 중추원 부사(中樞院副使)ㆍ형조 참판(刑曹參判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정충기(鄭忠基)
조선 문종(文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온양(溫陽). 상의원 첨정(尙衣院僉正)을 지낸 정탁(鄭鐸)의 아버지로, 승문원 교리(承文院校理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충량(鄭忠樑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로, 형조 판서(刑曹判書)를 지낸 정광세(鄭光世)의 아들. 도승지(都承旨)ㆍ이조 참의(吏曹參議) 등을 지냈으나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탄핵을 받고 피척(被斥)됨.
1480~152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충려(鄭忠礪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. 능성 현령(綾城縣令)을 지낸 정광정(鄭光廷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의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고, 금천 현감(衿川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충석(鄭忠碩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좌찬성(左贊成) 정역(鄭易)의 아들로,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ㆍ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를 지냄.
1406~1473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충신(鄭忠信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금성(錦城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권율(權慄)을 종군(從軍)하여 무명(武名)을 떨치고, 이괄(李适)의 난(亂)을 평정하여 진무공신(振武功臣)이 됨. 이항복(李恒福)이 북청(北靑)으로 유배되었을 때의 기록인 《북천일록(北遷日錄)》을 저술함.
1575~1636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정충원(鄭忠元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연일(延日). 승정원 승지(承政院承旨)를 지낸 정두형(鄭斗亨)의 아버지로, 순릉 참봉(純陵參奉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일 , 인명>관인>문신
-
정췌(正揣)
고려 말~조선 초의 승려. 원천석(元天錫)의 《운곡행록(耘谷行錄)》에 〈서천중정췌사권(書天中正揣師卷〉이라는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정치도감(整治都監)
고려 충목왕(忠穆王) 때 설치된 폐정 개혁 기관. 당시 사회의 모순과 폐단을 야기한 정치ㆍ경제ㆍ사회면에서의 12개 조항의 당면문제를 시정하려 함.
1347~1349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법제>관청
-
정치화(鄭致和)
조선 인조(仁祖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로, 효종(孝宗)의 부마인 정재륜(鄭載崙)의 아버지. 세자시강원보덕(世子侍講院輔德)으로 심양(瀋陽)에서 소현세자(昭顯世子)를 보필함. 좌의정(左議政)을 지내고, 서인과 남인의 대결에서 중도를 지킴.
1609~167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탁(鄭擢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조선을 개국할 때 이성계(李成桂)의 추대를 제일 먼저 발의한 공로로 개국공신(開國功臣)에 책록되었으며 우의정(右議政)을 지냈음. 태종의 묘정(廟庭)에 배향(配享)됨.
1363~142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