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정탁(鄭琢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정이충(鄭以忠)의 아들이며 이황(李滉)의 문인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왕을 호종하여 호종공신(扈從功臣)에 책록되고, 경사(經史)ㆍ천문(天文)ㆍ지리(地理) 등에 정통했음.
1526~160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천ㅣ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탁(鄭鐸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온양(溫陽). 지평(持平) 정충기(鄭忠基)의 아들로, 호조 정랑(戶曹正郞)ㆍ상의원 첨정(尙衣院僉正) 등을 지냄.
1452~149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태화(鄭太和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로, 효종(孝宗)의 부마인 정재륜(鄭載崙)의 생부. 뛰어난 문재(文才)와 바른 처신으로 주요 관직을 두루 거치고, 영의정(領議政) 재임시 예송(禮訟) 논쟁, 대동법(大同法) 시행 등의 국무를 처결함.
1602~167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택뢰(鄭澤雷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유학ㆍ지사. 본관은 하동(河東). 인목대비(仁穆大妃)의 폐모론을 반대한 이원익(李元翼)을 변호하다가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음. 인조반정(仁祖反正) 후 복위되어 순조(純祖) 때 이조 판서(吏曹判書)에 추증되고, 부여(扶餘)의 의열사(義烈祠)에 배향됨.
1585~161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하동 , 인명>문사>유학
-
정퇴서원(靜退書院)
조선 인조(仁祖) 때 충청도 온양(溫陽)에 건립한 서원. 조광조(趙光祖)ㆍ이황(李滉)ㆍ맹희도(孟希道)ㆍ홍가신(洪可臣)ㆍ조상우(趙相禹)ㆍ강백년(姜栢年)ㆍ윤현(尹俔)ㆍ조이후(趙爾後) 등을 배향함.
1634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온양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정포(鄭誧)
고려 후기의 문신. 정해(鄭瑎)의 손자이자 정책(鄭㥽)의 아들로, 좌사의대부(左司議大夫)를 지냄. 시와 문장이 간결하고 예스러우며, 《설곡집(雪谷集)》이 전해짐.
1309~1345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필주(鄭弼周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초계(草溪). 광주 판관(光州判官)을 지낸 정회아(鄭懷雅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초계 , 인명>문사>유학
-
정한룡(鄭漢龍)
조선 전기의 문신. 창원 부사(昌原府使)를 지낸 정광보(鄭光輔)의 아들이고 정사룡(鄭士龍)의 형. 수원 판관(水原判官)ㆍ강서 현령(江西縣令) 등을 역임함.
1487~154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함도(鄭咸道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정유(鄭維)ㆍ정면(鄭綿)ㆍ정주(鄭紬) 형제의 아버지로, 함종 현령(咸從縣令)을 지냄. 아들 삼형제와 함께 동시에 고을 수령이 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항(鄭沆)
고려 숙종(肅宗)~인종(仁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. 정서(鄭敍)의 아버지로, 우정언(右正言)ㆍ지추밀원사(知樞密院事) 등을 지냄.
1080~1136 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해(定海)
고려 후기의 승려. 좌가 부승록(左街副僧錄)을 지냈으며, 계명사 주지(啓明寺住持)로 있으면서 자비령(慈悲嶺)에 있는 자비사(慈悲寺)를 중건하고 이색(李穡)에게 기문(記文)을 청함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서흥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정해(鄭獬)
조선 전기의 노비. 사가재(四佳齋) 서거정(徐居正)이 자설(字說)을 지어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기타인명>노비
-
정해(鄭瑎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대장군(大將軍)을 지낸 정의(鄭顗)의 손자로서 충렬왕을 시종하여 원(元) 나라에 다녀온 후, 지공거(知貢擧) 등의 벼슬을 지냈으며 외유내강의 성품으로 너그럽고 조용하나 일에는 민첩하고 용감하다는 평을 받음.
1254~1305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해(鄭諧)
고려 충정왕(忠定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. 지제고(知制誥)를 지낸 정승원(鄭承源)의 아들로, 판사복시사(判司僕寺事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향(程珦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정호(程顥)ㆍ정이(程頤)형제의 아버지로 태중대부(太中大夫)를 지냄.
1006~109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헌(鄭櫶)
고려 후기의 문신. 문하시랑평장사(門下侍郞平章事)로 진산부원군(晉山府院君)에 봉해짐. 진주정씨(晉州鄭氏) 헌계(櫶系)의 시조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헌집(靜軒集)
중국 원(元) 나라 성종(成宗) 때의 문신인 염복(閻復)의 문집. 50권.
중국>원 , 중국 , 문헌>서명
-
정헌황태후(貞獻皇太后)
중국 당(唐) 나라 제12대 목종(穆宗)의 황후. 문종(文宗)의 어머니로, 성은 숙씨(肅氏).
?~82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정현(鄭玄)
중국 후한(後漢)의 학자. 장공조(張恭祖)ㆍ마융(馬融) 등을 사사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연구와 교육에 진력함. 경학(經學)을 집대성하고 고대의 역사문헌을 정리하는 데 크게 공헌함.
127~200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정현(鄭礥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온양(溫陽).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를 지낸 정백붕(鄭百朋)의 아들로, 아버지를 도와 대윤(大尹)을 제거하는 데 참여해 위사공신(衛社功臣)에 책록됨. 말년에는 부사(府使)직을 사임하고 양주(楊州) 소요산(逍遙山)에 은거함.
1526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