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정현옹주(貞顯翁主)
조선 제4대 세종(世宗)의 첫째 서녀. 상침송씨(尙寢宋氏) 소생으로, 영천부원군(鈴川府院君) 윤사로(尹師路)에게 출가하여 2남을 둠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공주
-
정현왕후(貞顯王后)
조선 제9대 성종(成宗)의 계비(繼妃). 우의정을 지낸 윤호(尹壕)의 딸이며, 중종(中宗)의 생모. 연산군(燕山君)의 생모인 윤씨(尹氏)가 폐위되자 이듬해 왕비로 봉해짐.
1462~153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비
-
정현조(鄭顯祖)
조선 제7대 세조(世祖)의 부마. 영의정(領議政) 정인지(鄭麟趾)의 아들로, 의숙공주(懿淑公主)와 혼인함. 부마로서 처음으로 과거에 응시하여 급제하고, 《경국대전(經國大典)》찬정(撰定)에 공헌함. 성종(成宗) 즉위에 공을 세워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하동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정협(鄭俠)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英宗)~휘종(徽宗) 때의 문신. 가뭄이 들어 유민(流民)들이 도로에 가득하게 되자, 이 참상(慘狀)을 유민도(流民圖)에 그려 올림으로써 신종(神宗)으로 하여금 왕안석(王安石)의 신법(新法)을 혁파하고 유민을 구제하게 함.
1041~111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혜(淨慧)
고려 후기의 승려. 송광사(松廣寺)의 제14세 조사(祖師)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정혜사(淨惠寺)
통일신라 선덕왕(宣德王) 때 지어진 암자. 당(唐) 나라의 문신 백우경(白宇經)이 신라로 건너와 계림(鷄林) 자옥산(紫玉山) 아래에 만세암(萬歲庵)을 짓고 거처함. 선덕왕이 정혜사(淨惠寺)라고 이름을 고쳐 지어줌.
780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유적>건물>사찰
-
정혜옹주(貞惠翁主)@조선태종의딸
조선 제3대 태종(太宗)의 첫째 서녀. 의빈권씨(懿嬪權氏) 소생으로, 운성부원군(雲城府院君) 박종우(朴從愚)에게 출가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공주
-
정혜옹주(貞惠翁主)@조선선조의딸
조선 제14대 선조(宣祖)의 둘째 서녀. 인빈김씨(仁嬪金氏) 소생으로, 해숭위(海嵩尉) 윤신지(尹新之)에게 출가함.
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공주
-
정혜옹주(靜惠翁主)
조선 제9대 성종(成宗)의 열째 서녀. 귀인정씨(貴人鄭氏) 소생으로, 청평위(靑平尉) 한기(韓紀)에게 출가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공주
-
정호(程顥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~철종(哲宗) 때의 문신ㆍ학자. 태중대부(太中大夫) 정향(程珦)의 아들로, 아우 정이(程頤)와 함께 주돈이(周敦頣)의 문하에서 수학하고, 송 나라 이학(理學)의 기초를 마련함.
1032~108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정호인(鄭好仁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일(迎日)로, 용양위 부사과(龍驤衛副司果)를 지낸 정안번(鄭安藩)의 아들. 병자호란 때 향리에서 의병을 일으켜 관군을 돕고, 진주 목사(晉州牧使) 등을 지냄.
1597~?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일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혼(鄭渾)
고려 창왕(昌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하동(河東)으로, 어사중승(御史中丞)을 지낸 정지상(鄭之祥)의 아들. 전리좌랑(典理佐郞)으로 있을 때 어머니가 왜구에게 살해되자 소모별감(召募別監)이 되어 박위(朴葳)를 따라 대마도에 종군해 공을 세움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하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홍(鄭弘)
중국 후한(後漢) 때의 문신. 회계(會稽) 산음(山陰) 사람으로 회양 태수(淮陽太守)ㆍ태위(太尉) 등을 지냄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홍(鄭洪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일(迎日)로, 일성군(日城君) 정사도(鄭思道)의 아들. 우왕 때 제릉서 영(諸陵署令)을 지내고, 조선 건국 이후 보문각 대제학(寶文閣大提學)ㆍ우의정(右議政) 등을 지냄.
?~1420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일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홍명(鄭弘溟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우의정 정철(鄭澈)의 아들. 송익필(宋翼弼)과 김장생(金長生)의 문인으로 예학에 조예가 있었으며, 성균관 대사성(成均館大司成) 등을 지냄.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 소모사(召募使)로 활약함.
1592~1650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창평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홍익(鄭弘翼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사섬시 정(司贍寺正)을 지낸 정사신(鄭思愼)의 아들. 인목대비(仁穆大妃) 폐모론(廢母論)을 반대하다 유배되었으며, 인조반정(仁祖反正) 때 풀려나 부제학(副提學)에 제수되었으나 취임하기 전에 죽음.
1571~162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홍진(丁鴻進)
고려 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화가. 묵죽(墨竹)ㆍ초상화로 유명하며 이규보(李奎報)ㆍ최종준(崔宗峻) 등이 그에게 그림을 받고 지은 찬(贊)이 《동국이상국집(東國李相國集)》에 여러 편 수록되어 있음. 비서감(祕書監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정화공주(貞和公主)
조선 제1대 태조(太祖)의 아버지인 환조(桓祖)의 딸. 의혜왕후(懿惠王后) 소생으로, 용원부원군(龍源府院君) 조인벽(趙仁璧)에게 출가함.
한국>고려후기 , 함경도>덕원 , 인명>왕실>공주
-
정환(丁煥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사산 감역관(四山監役官)을 지낸 정세명(丁世明)의 아들이고,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. 형조 좌랑(刑曹佐郞)ㆍ경상도 도사(慶尙道都事) 등을 지내고, 영천서원(寧川書院)에 배향됨.
1497~154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황(丁熿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사산감역(四山監役) 정세명(丁世明)의 아들이며,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(門人)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이기(李芑)의 논계로 파직되고, 양재역 벽서사건(良才驛壁書事件)에 연루되어 유배됨.
1512~156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