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정황(鄭璜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하동(河東).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를 지낸 정유일(鄭惟一)의 아버지로, 충의위 어모장군(忠義衛禦侮將軍)에 이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하동 , 인명>관인>무신
-
정회(鄭晦)
조선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온양(溫陽). 홍문관 제학(弘文館提學)을 지낸 정두경(鄭斗卿)의 아버지로, 평택 현감(平澤縣監) 등을 지냄.
?~1623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회문(鄭繪文)
신라 때의 향리. 동래정씨(東萊鄭氏)의 시조로, 안일 호장(安逸戶長)을 지냄.
한국>신라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아전
-
정회아(鄭懷雅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초계(草溪). 성균생원(成均生員) 정제안(鄭齊安)의 아들이며, 부윤(府尹) 이언(李堰)의 사위. 세조 즉위 때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책록되고, 의금부 도사(義禁府都事)ㆍ광주 판관(光州判官) 등을 지냄.
1428~148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초계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정효손(鄭孝孫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연일(延日). 공조 판서(工曹判書)를 지낸 정진(鄭鎭)의 아들이자 태종(太宗)의 사위인 정효전(鄭孝全)의 형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일 , 인명>문사>유학
-
정효안(鄭孝安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호조 정랑(戶曹正郞) 정지산(鄭之産)의 생부로, 목사(牧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효전(鄭孝全)
조선 제3대 태종(太宗)의 부마. 판서 정진(鄭鎭)의 아들로, 태종의 딸 숙정옹주(淑貞翁主)와 혼인함. 도진무(都鎭撫) 등을 지냈으나, 계유정난(癸酉靖難) 때 김종서(金宗瑞) 등 중신들이 살해되자 병을 핑계로 나가지 않다가 파직됨.
?~145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정효종(鄭孝宗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1524년(중종 19) 이해(李瀣) 등과 함께 용산(龍山)에서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정효종(鄭孝終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성균관 사예(成均館司藝)를 지낸 정지년(鄭知年)의 아들로, 1458년(세조 4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한 후 예조 참의(禮曹參議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효충(鄭孝忠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이조 판서(吏曹判書) 정총(鄭摠)의 아들이자 광흥창 사(廣興倉使) 안중담(安仲聃)의 장인으로, 상호군(上護軍) 등을 지냄.
1394~145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무신
-
정훈(鄭薰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. 자기 집에 소나무 일곱 그루를 심고서 칠송처사(七松處士)라 자호(自號)하였고, 벼슬은 태자소사(太子少師) 등을 역임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휘(鄭徽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. 정이송(鄭而宋)의 아들로, 1465년(세조 11) 춘당대시(春塘臺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한 후 교리(校理) 등을 지냄.
1435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흠지(鄭欽之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로, 정부(鄭符)의 아들. 태종 때 하륜(河崙)과 박은(朴訔) 등을 탄핵하다 유배됨. 세종이 즉위하자 형조 판서(刑曹判書)가 되어 황보인(皇甫仁)과 함께 《진설(陣說)》을 찬진(撰進)함.
1378~143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흥(定興)
중국 하북성(河北省) 보정부(保定府)에 있는 고을 이름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정흥인(鄭興仁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종부시 영(宗簿寺令)을 지낸 정을귀(鄭乙貴)의 아들이며, 정인지(鄭麟趾)의 아버지. 정도전(鄭道傳)의 문인(門人)으로, 석성 현감(石城縣監) 등을 지내고 하성부원군(河城府院君)에 추증됨.
?~143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하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희(鄭熙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하동(河東). 예조 참판(禮曹參判)을 지낸 정초(鄭招)의 아버지로, 사헌부 장령(司憲府掌令)ㆍ집의(執義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하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희검(鄭希儉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유학. 본관은 해주(海州)로, 부사(府使) 정연경(鄭延慶)의 아들이며 정희량(鄭希良)의 아우. 연산군의 정치가 혼란해지자 과거(科擧)를 단념한 채 시와 술을 즐기며 호(號)를 계양어은(桂陽漁隱)이라 함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정희등(鄭希登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종부시 첨정(宗簿寺僉正) 정구(鄭球)의 아들이며, 승지 정원(鄭源)의 조카. 사위로 삼으려는 김안로(金安老)의 청을 거절하여 사복시 첨정(司僕寺僉正) 등의 한직(閑職)에 있었고, 을사사화(乙巳士禍)를 반대하다 유배 됨.
1506~154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희량(鄭希良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부사(府使) 정연경(鄭延慶)의 아들이며,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(門人). 승문원(承文院) 권지부정자(權知副正字) 등을 지내고,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유배됨.
1469~?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정희량(鄭熙良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하동(河東). 정몽주(鄭夢周)의 문인으로, 직제학(直提學)을 지냄. 조선 건국 후 정도전(鄭道傳)ㆍ남은(南誾) 등을 탄핵하다가 유배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하동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