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제오륜(第五倫)
중국 후한(後漢) 때의 문신. 후한(後漢) 광무제(光武帝) 때의 명신(名臣)으로 언변(言辯)이 뛰어났음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제왕세기(帝王世紀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학자인 황보밀(皇甫謐)의 저서. 고대부터 조위(曹魏)까지의 황제(皇帝)들의 사적(事跡)을 기록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제왕운기(帝王韻紀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 이승휴(李承休)가 쓴 역사 서사시(敍事詩). 역대사(歷代史)의 교훈을 시로 적은 것으로, 단군(檀君)을 민족의 공동 시조(始祖)로 삼았음.
1287 한국>고려후기 , 문헌>서명
-
제우당문집(悌友堂文集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의병장인 박경전(朴慶傳)의 시문집. 3권 1책. 목활자본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당시의 참전 기록이 담겨 있으며, 1867년(고종 4)에 《십사의사록(十四義士錄)》의 권2로 수록됨.
1863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제월당집(霽月堂集)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인 송규렴(宋奎濂)의 문집. 7권 4책. 목활자본. 현손 송기정(宋基鼎)이 산문(散文)을 수집하고, 초천(蕉泉) 김상휴(金相休)의 질정을 받아 1819년(순조 19)에 간행함.
1819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제을(帝乙)
중국 은(殷) 나라의 제29대 왕. 주(紂)의 아버지이자, 태정(太丁)의 아들.
중국>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제정집(霽亭集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달충(李達衷)의 문집. 조선 세종(世宗) 때 손자 이영상(李寧商)이 강원도 관찰사(江原道觀察使)로 있으면서 간행하였으나 현재 전하지 않고, 이후 후손들에 의해 중간됨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춘천 , 문헌>서명
-
제주양씨(濟州梁氏)
탐라(耽羅) 개국설화에 나오는 삼신인(三神人) 중의 한 사람인 양을나(良乙那)를 시조로 하는 성씨. 후손 양탕(良宕)이 신라에 입조(入朝)하여 양성(梁姓)으로 사성됨.
고대 , 전라도>제주 , 인명>집단>성씨
-
제준(帝俊)
중국 고대의 전설상의 황제. 후직(后稷)의 아버지로, 아황(娥皇)ㆍ희화(羲和)ㆍ상희(常羲) 세 아내를 둠. 태양과 달의 아버지 신으로, 은(殷) 민족의 조상이라 전해짐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제해기(齊諧記)
중국 한(漢) 나라의 도사인 성무정(成武丁)의 저서. 도교(道敎) 관련 서적으로, 괴담(怪談)을 기록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문헌>서명
-
제호시화(霽湖詩話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양경우(梁慶遇)의 시화집. 작자의 시론(詩論)과 우리나라 시인들의 일화나 작시(作詩)의 경향 등을 소개함. 《제호집(霽湖集)》권9에 수록되어 있으며, 《어우야담(於于野談)》등에도 일부 전재됨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제호집(霽湖集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양경우(梁慶遇)의 문집. 저자가 생전에 정리한 자편고(自編稿)를 바탕으로 수집, 편차하여, 손자 양도(梁燾)가 부친인 양진핵(梁振翮)의 《이촌집(伊村集)》을 부집(附集)한 뒤 김상헌(金尙憲)과 김류(金瑬)의 서를 받아 간행함. 목활자본.
1647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조^곽^왕(祖^郭^王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무신인 조승훈(祖承訓)ㆍ곽몽징(郭夢徵)ㆍ왕수관(王守官)을 함께 부르는 말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조선에 구원병으로 온 세 장군을 말함.
중국>명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조^사(曹^謝)
중국 삼국시대 위(魏) 나라의 시인인 조식(曹植)과 남북조시대 송(宋) 나라의 시인인 사영운(謝靈運)을 함께 부르는 말. 시에 뛰어난 두 시인을 말함.
중국>남북조시대ㅣ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조^석(曺^石)
고려 의종(毅宗)~명종(明宗) 때의 무신인 조원정(曺元正)과 석린(石隣)을 함께 부르는 말. 정중부(鄭仲夫)의 난 때 정권을 잡고 세력 확장을 꾀했던 두 사람을 말함.
한국>고려후기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조^손(曹^孫)
중국 삼국시대 오(吳) 나라의 황제인 대제(大帝) 손권(孫權)과 위(魏) 나라의 황제인 무제(武帝) 조조(曹操)를 함께 부르는 말. 삼국시대에 적벽대전(赤壁大戰) 등의 치열한 전쟁을 통해 천하를 호령했던 두 영웅을 말함.
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조가여(趙可與)
중국 명(明) 나라 무종(武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염운사(鹽運使) 등을 지내고, 일부에서는 《고수부담(孤樹裒談)》의 저자로 알려짐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조간(趙簡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제(金堤). 관직은 찬성사(贊成事) 등을 역임했고 시문(詩文)이 뛰어나 《동문선(東文選)》ㆍ《풍암집화(風巖輯話)》 등에 시가 수록됨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김제 , 인명>관인>문신
-
조간자(趙簡子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晉) 나라의 정경(正卿). 조양자(趙襄子)의 아버지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조강(祖江)
한강(漢江)과 임진강(臨津江)이 합류되는 지점으로부터 경기도 통진(通津) 북부 지역을 거쳐 서해로 흘러드는 강.
경기도>파주ㅣ경기도>통진ㅣ경기도>김포 , 지명>자연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