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조굴원부(弔屈原賦)
중국 전한(前漢)의 문신ㆍ학자인 가의(賈誼)의 시. 굴원(屈原)의 초사(楚辭)를 계승하여 소체(騷體) 혹은 초사(楚辭)로 불리며, 초사(楚辭)에서 한부(漢賦)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작품으로 평가됨.
중국>전한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조균(趙鈞)@조선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양주(楊州). 1522년(중종 17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였고, 신재(愼齋) 주세붕(周世鵬)과 시문(詩文)으로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조균(趙鈞)@고려
고려 말의 유학. 김수(金隨)의 형인 김규(金糾)의 외손(外孫)이며 이색(李穡)이 지어 준 시(詩)가 《목은시고(牧隱詩稿)》에 전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조극공(趙克恭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광주(廣州)로, 계공랑(啓功郞) 조이종(趙李宗)의 아들. 조욱(趙昱)이 서울로 올라가는 조극공에게 영월(寧越)에서 시를 지어줌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조극치(曺克治)
조선 단종(端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수성(壽城). 조윤성(曺允誠)의 아들로, 김종직(金宗直)과 교유함. 서장관(書狀官)으로 연경(燕京)에 다녀오고, 전라도 병마절도사(全羅道兵馬節度使)ㆍ참지의정부사(參知議政府事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대구 , 인명>관인>문신
-
조근(趙瑾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영중추원사(領中樞府事)를 지낸 조말생(趙末生)의 아들로, 《문종실록(文宗實錄)》편찬에 참여하였으며, 문장이 뛰어나고 해서(楷書)에 능하여 외교문서ㆍ전적(典籍) 등의 작성에 공헌함.
1417~1475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조금호(趙金虎)
조선 세조(世祖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안(咸安)으로, 생육신(生六臣) 조려(趙旅)의 아들. 중종반정(中宗反正) 때 정국원종일등훈(靖國原從一等勳)을 받고, 내금위 장(內禁衛將) 등을 지냄.
1445~153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안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기타인명>공신
-
조달생(趙達生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조유(趙瑜)의 아들로, 정수강(丁壽崗)과 시문으로 교유하고, 영흥 판관(永興判官)ㆍ사헌부 장령(司憲府掌令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함경도>영흥 , 인명>관인>문신
-
조대림(趙大臨)
조선 제3대 태종(太宗)의 사위. 영의정부사(領議政府事) 조준(趙浚)의 아들로, 태종의 둘째 딸 경정공주(慶貞公主)와 결혼함. 여러 차례 중국사신을 영접했으며 사은사(謝恩使)로 명(明) 나라에 다녀옴.
1387~1430 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평양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조대춘(趙大春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횡성(橫城)으로, 조목(趙穆)의 아버지.
1487~1573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횡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조덕유(趙德裕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평양(平壤). 조선 개국공신인 조준(趙浚)과 조견(趙狷)의 아버지로, 판도판서(版圖判書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평안도>평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조돈(趙暾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양(漢陽). 대대로 용진(龍津)에 살다가 고려에 귀부하여 충숙왕을 섬기고, 홍건적이 침략하자 안우(安祐)의 휘하에서 공을 세워 1등공신에 녹명됨.
1308~1380 한국>고려후기 , 함경도>문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조동호(趙銅虎)
조선 예종(睿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안(咸安). 생육신(生六臣) 조려(趙旅)의 아들이자 집의(執義) 조참(趙參)ㆍ상주 목사(尙州牧使) 조적(趙績)ㆍ이조 참판(吏曹參判)을 조순(趙舜)의 아버지로, 진산 군수(珍山郡守) 등을 지냄.
1441~151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조둔(趙盾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晉) 나라 영공(靈公)~성공(成公) 때의 대부. 조최(趙衰)의 아들.
B.C.654~B.C.601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조득의(趙得宜)
중국 전한(前漢)의 문신. 무제(武帝)에게 사마상여(司馬相如)의 〈자허부(子虛賦)〉를 보여주고 사마상여(司馬相如)를 관직에 추천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조등(曺璒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감사(監司) 조한필(曺漢弼)의 아버지로, 삼척 부사(三陟府使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조래산(徂徠山)
중국 산동성(山東省) 태안현(泰安縣)에 있는 산. 이백(李白)이 공소보(孔巢父)ㆍ한준(韓準)ㆍ배정(裴政)ㆍ장숙명(張叔明)ㆍ도면(陶沔)과 더불어 술과 노래를 즐기며 세속을 초일(超逸)한 곳으로 유명함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조래집(徂徠集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석개(石介)의 저서. 총20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조려(趙旅)
조선 단종(端宗)~세조(世祖) 때의 은자. 조안(趙安)의 아들. 조선 전기 생육신(生六臣) 중의 한 사람으로 수양대군(首陽大君)이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향리에 은거하면서 평생을 보냄.
1420~148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안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조련(趙璉)
고려 충선왕(忠宣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조인규(趙仁規)의 아들이며, 조선의 개국공신인 조준(趙浚)의 할아버지. 충숙왕 때 찬성사(贊成事)를 지냄.
?~1322 한국>고려후기 , 평안도>평양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