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조렴(趙廉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충혜왕(忠惠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창(淳昌). 안축(安軸)ㆍ최용갑(崔龍甲)과 함께 원(元) 나라에서 과거에 응시하여 제과(制科)에 급제하였고, 고려에서 밀직부사(密直副使)를 지냄.
1290~1343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순창 , 인명>관인>문신
-
조룡대(釣龍臺)
충청도 부여(扶餘)의 백마강(白馬江) 가운데 있는 바위. 당(唐) 나라 장수 소정방(蘇定方)이 바위에 걸터앉아 백마(白馬)를 미끼로 용(龍)을 낚았다는 전설에서 붙여진 이름.
충청도>부여 , 지명>자연지명
-
조림(趙琳)@조선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안(咸安). 김인후(金麟厚)의 문인인 조희문(趙希文)의 아버지로, 사성(司成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조림(趙琳)@고려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한양(漢陽). 총관(摠管)을 지낸 조양기(趙良琪)의 아들이며, 예의 판서(禮儀判書)를 지낸 조돈(趙暾)의 형.
한국>고려후기 , 함경도>덕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조말생(趙末生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주(楊州)로, 태종(太宗)의 부마인 조선(趙璿)의 아버지. 조용(趙庸)의 문인으로, 영중추원사(領中樞院事) 등을 지냄.
1370~1447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조말손(曺末孫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으로, 사옹원 정(司饔院正)을 지낸 조치우(曺致虞)의 아버지. 1472년(성종 3) 춘당대시(春塘臺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군수(郡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조맹부(趙孟頫)
중국 원(元) 나라의 서화가ㆍ문인. 송(宋) 나라의 종실이면서 원 나라에서 한림학사 승지(翰林學士承旨)를 지내고, 사후 위국공(魏國公)에 추봉됨. 서화(書畵)와 시문에 뛰어나서 원 나라의 4대가 중 한 사람으로 꼽힘.
1254~1322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문인
-
조명성(趙明誠)
중국 송(宋) 나라 휘종(徽宗)~고종(高宗) 때의 금석학자ㆍ장서가(藏書家). 문인 이청조(李淸照)의 남편으로, 부인과 함께 구양수(歐陽脩)의 《집고록(集古錄)》을 본떠《금석록(金石錄)》을 완성함.
1081~112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조목(趙穆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횡성(橫城). 조대춘(趙大春)의 아들이고,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.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대과(大科)를 포기하고 경전(經傳) 연구와 수양에만 전념하였으며,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.
1524~160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
-
조문절공유고(趙文節公遺稿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인 조원기(趙元紀)의 문집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조민수(曺敏修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공양왕(恭讓王) 때의 무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창왕(昌王)을 추대하는 데 공을 세워 안사공신(安社功臣)이 됨. 이성계(李成桂) 일파에 대항하다가 서인(庶人)으로 강등되고, 창녕으로 유배되어 죽음.
?~1390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조박(趙璞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전의시 영(典儀寺令)을 지낸 조사겸(趙思謙)의 아들. 태종과 동서 사이로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사공신(定社功臣)에 오르지만, 생전에 불교를 믿었다는 탄핵을 받아 공신녹권(功臣錄券)이 소각당함.
1356~140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평안도>평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조반(趙胖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호군(護軍) 조세경(趙世卿)의 아들. 조선 태조(太祖)를 추대하여 개국공신(開國功臣)이 되고 복흥군(復興君)에 봉해졌으며, 참찬문하부사(參贊門下府事)를 지냄.
1341~1401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배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조방(趙汸)
중국 원(元) 말~명(明) 초의 학자. 《춘추(春秋)》에 조예가 깊어 《춘추집전(春秋集傳)》을 저술하고, 역학(易學)과 천문학(天文學)에도 밝아 많은 저서를 남김.
1319~1369 중국>명ㅣ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조방좌(趙邦佐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주(楊州). 의정부 좌참찬(議政府左參贊) 조사수(趙士秀)의 아버지로 돈녕부 참봉(敦寧府參奉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조번(趙蕃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유청지(劉淸之)의 문인(門人)으로 직비각(直秘閣) 등 여러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출사(出仕)하지 않고, 고향에서 후진을 양성해 많은 사람들의 칭송을 받음.
1143~122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조변(趙抃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촉(蜀)의 수령으로 있으면서 청렴하여 모범을 보이고, 후에 태자소보(太子少保) 등을 지냈으며, 저서에 《청헌집(淸獻集)》이 있음.
1008~1084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조변옹(曺變雍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리학자 조한보(曺漢輔)의 아버지로, 사용(司勇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무신
-
조보(趙普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태조(太祖)의 총애를 받았고 내외의 치정(治政)에 수완을 발휘함으로써 번진(藩鎭) 해체와 금군(禁軍)의 강화 등 중앙집권화를 추진하는 등 송조(宋朝)의 지배체제를 확립함.
922~99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조보지(晁補之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~휘종(徽宗) 때의 문신ㆍ시인ㆍ학자. 문동(文同)의 친구이자 소식(蘇軾)의 제자로, 진관(秦觀)ㆍ장뢰(張耒)ㆍ황정견(黃庭堅)과 함께 소문사학사(蘇門四學士)로 일컬어짐. 저서로 《계륵집(鷄肋集)》등이 있음.
1053~111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