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조복명(趙復命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제(金堤). 교동(喬桐)ㆍ부안(扶安)ㆍ사천(泗川) 등의 현감(縣監)을 지냈으며, 1488년(성종 19) 진주(晉州) 촉석루(矗石樓)에서 조위(曺偉)ㆍ김일손(金馹孫) 등과 금란계(金蘭契)를 맺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김제 , 인명>관인>문신
-
조부우(趙府隅)
조선 중종(中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영숭전 참봉(永崇殿參奉)을 지낸 조일건(趙一建)의 아들로 효성이 지극하고, 태천 현감(泰川縣監)으로 나가서는 많은 선정을 베풂. 교서관 별좌(校書館別坐) 등을 지냄.
1491~1553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배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조분(趙芬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창(淳昌). 조공탁(趙公卓)의 아들이자 환관인 백안불화(伯顔不花)의 형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순창 , 인명>관인>문신
-
조비연(趙飛燕)
중국 전한(前漢) 성제(成帝)의 황후(皇后). 가무(歌舞)에 뛰어난 절세의 미인으로 황후(皇后)의 지위까지 오르게 되었지만 성제(成帝)가 죽자 자살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조빈(趙鑌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배천(白川). 조양선(趙揚善)의 아들. 통훈대부(通訓大夫) 성균관 사예(成均館司藝)로, 시(詩)를 잘하여 조정에서 유명하였음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배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조사(照師)
고려 말~조선 초의 승려. 원천석(元天錫)이 써준 서권(書卷)이 《운곡행록(耘谷行錄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조사(趙奢)
중국 춘추전국시대 조(趙) 나라의 무신. 조괄(趙括)의 아버지로, 한(漢) 나라와 진(秦) 나라가 알여(閼與)에서 싸울 때 진군(秦軍)을 대파하여 한 나라를 구원한 공으로 마복군(馬服君)에 봉해짐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조사겸(趙思謙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평양(平壤). 정사공신(定社功臣) 조박(趙璞)의 아버지로, 전의시 영(典儀寺令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평안도>평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조사공(趙師䢼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ㆍ문신. 가흥 통판(嘉興通判)을 지냄. 절강성(浙江省) 태주(台州) 천태인(天台人). 주희(朱熹)의 문인(門人)으로 역(易)과 시(詩)를 배움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조사수(趙士秀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주(楊州). 조방좌(趙邦佐)의 아들로, 육조(六曹)의 판서(判書)를 거쳐 의정부 좌참찬(議政府左參贊)을 지냄.
1502~155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진보조씨(眞寶趙氏)
고려 후기 사예(司藝) 등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 예조 판서(禮曹判書)ㆍ예문관 대제학(藝文館大提學) 등을 지낸 조용(趙庸)을 시조로 하는 성씨. 배천(白川)에서 분관하여 진보를 본관으로 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진보 , 인명>집단>성씨
-
진복(陳宓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승상(丞相) 진준경(陳俊卿)의 아들로, 어려서는 주희(朱熹)에게 배웠고, 커서는 황간(黃幹)에게 배움. 직비각(直秘閣)의 벼슬을 지냄. 저술에 《논어주의(論語註義)》가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진복창(陳復昌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이자 간신. 본관은 여양(驪陽)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윤원형(尹元衡)의 심복으로서 사람들을 죽여 사관(史官)으로부터 독사(毒蛇)라는 별명을 얻었고, 1550년(명종 5)에는 스승인 구수담(具壽聃)까지 역적으로 죽게 하여 극적(極賊)이라는 혹평을 얻음.
?~156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관인>문신
-
진부량(陳傅良)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寧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정백웅(鄭伯熊)의 문인으로, 중서사인(中書舍人) 등을 지냄. 설계선(薛季宣)ㆍ섭적(葉適) 등과 함께 영가학파(永嘉學派)의 대표적 인물로 실용과 경제를 주장함.
1137~120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진사교(陳四敎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부여(扶餘). 의정부 사인(議政府舍人) 진식(陳植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부여 , 인명>문사>유학
-
진사도(陳師道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인. 시로 인해서 증공(曾鞏)과 소식(蘇軾)을 알게 되었으며, 소식의 문인 가운데에서 황정견(黃庭堅)과 함께 황진(黃陳)이라 병칭됨.
1053~110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진사문(陳斯文)
고려 충정왕(忠定王) 때의 문신. 정당문학(政堂文學)ㆍ도첨의참리(都僉議參理)를 역임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진산(珍山)
충청남도 금산(錦山)의 옛 고을 이름. 전라도 완주(完州)와 경계에 있는 이현(梨峴)은 임진왜란 때 권율(權慄) 장군이 일본군 2만 명을 대파한 곳으로 유명함.
전라도>진산 , 지명>행정지명
-
진삼국사기표(進三國史記表)
고려 인종(仁宗) 23년에 김부식(金富軾)이 《삼국사기(三國史記)》를 진헌하면서 올린 표(表). 《삼국사기》의 편찬 동기와 경위 등이 밝혀져 있으며, 《동문선(東文選)》 권44 표전(表箋)에 수록되어 있음.
1145 한국>고려전기 , 문헌>기타문헌
-
진상인(珍上人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ㆍ승려. 오품(五品) 벼슬을 지냈으나 공민왕의 승하 후, 부도(浮圖)의 법에 입문하여 승려가 되었고, 권근(權近)이 〈보암기(寶巖記)〉를 지어줌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종교인>승려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