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진서(陳書)
중국 당(唐) 나라 태종(太宗)의 명으로 요간(姚簡)이 편찬한 남북조시대 진(陳) 나라의 사서(史書). 이십사사(二十四史)의 하나로, 본기(本紀) 6권, 열전(列傳) 30권으로 이루어짐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서명
-
진성여왕(眞聖女王)
신라의 제51대 왕. 재위 887~897. 경문왕(景文王)의 딸이자 헌강왕(憲康王)ㆍ정강왕(定康王)의 누이동생. 재위기간 동안 나라가 혼란에 빠지고 후삼국으로 다시 나뉨. 각간(角干) 위홍(魏弘) 등에게 향가집 《삼대목(三代目)》을 편찬하게 함.
?~897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진세량(陳世良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안국(金安國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진수(溱水)
중국 하남성(河南省)에 있는 강 이름. 춘추전국시대 정(鄭) 나라에 있던 강으로, 영양(榮陽) 성수욕(聖水峪)에서 발원하여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름. 유수(洧水)와 함께 ‘진유(溱洧)’라는 이름으로 《시경(詩經)》 정풍(鄭風)의 편명으로 쓰임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진순(陳淳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주부(主簿)를 지냄. 주희(朱熹)의 제자로, 주로 철학 이론 면에서 스승의 학설을 계승하고 선양하려 힘씀.
1159~122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진승중(陳承重)
조선 전기의 아전. 본관은 흥덕(興德). 진유(陳留)의 아버지로, 녹사(錄事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흥덕 , 인명>관인>아전
-
진식(陳埴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으로, 질문(質問)의 장점과 효과에 대해 크게 장려함. 제자들의 질문에 답한 것을 모아 펴낸 《목종집(木鍾集)》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진식(陳寔)
중국 후한(後漢)의 문신. 태구 현령(太丘縣令)을 지냄. 아들 진기(陳紀)ㆍ진심(陳諶)과 함께 세 군자란 명성이 있으며, 양상군자(梁上君子)란 고사로도 유명함.
104~187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진식(陳植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부여(扶餘). 1506년(연산군 12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서산 군수(瑞山郡守)ㆍ의정부 사인(議政府舍人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부여 , 인명>관인>문신
-
진심(陳諶)
중국 후한(後漢) 말의 학자. 형인 진기(陳紀)와 더불어 덕망이 높아 아버지 진식(陳寔)으로부터 난형난제(難兄難弟)라 일컬어짐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진안대군(鎭安大君)
조선 제1대 태조(太祖)의 첫째 아들. 신의왕후(神懿王后) 한씨(韓氏)의 소생으로, 고려 창왕(昌王) 때 밀직부사(密直副使)로서 강회백(姜淮伯)과 함께 명 나라에 파견되어 창왕의 친조(親朝)를 청하였으며, 조선 개국 후 진안군(鎭安君)에 봉해짐.
1354~139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왕자
-
진암수(陳巖壽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무신. 본관은 삼척(三陟). 어려서부터 무예에 능하여 일찍이 무과에 급제한 후 성종의 총애를 받아 선전관(宣傳官)을 지내고, 내자 판관(內資判官)ㆍ임천 군수(林川郡守) 등을 지냄.
1457~150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여산 , 인명>관인>무신
-
진양(陳襄)
중국 송(宋) 인종(仁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당시 개혁정치를 펼쳤던 왕안석(王安石)을 귀양 보내고자 하였으나 도리어 폄직됨. 고인들의 언행을 본받고, 가는 곳마다 학교를 세워 민간의 이익을 강구함.
1017~108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진양향현록(晉陽鄕賢錄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학자인 박태무(朴泰茂)가 지은 글. 진주(晉州)에 대각사(大覺祠)를 세워 하항(河沆)을 향사한 전말을 적은 것으로, 하항의 문집인 《각재집(覺齋集)》의 부록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문헌>작품명
-
진언(陳言)
중국 명(明) 나라의 역승(驛丞). 조선 성종(成宗) 때 천추절 진하사(千秋節進賀使)로 명 나라에 갔던 홍귀달(洪貴達)을 후대(厚待)한 일이 있음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진여의(陳與義)
중국 송(宋) 나라 휘종(徽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문인. 참지정사(參知政事)를 지내고, 시에 뛰어나 도연명(陶淵明)ㆍ유종원(柳宗元) 등과 비견됨.
1090~1138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진역(陳櫟)
중국 원(元) 나라의 학자. 송(宋) 나라가 멸망한 뒤 은거하면서 주희(朱熹)를 종주(宗主)로 삼고 저술에 전념함.
1252~1334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진연(陳淵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진관(陳瓘)의 질손(姪孫)이며 양시(楊時)의 문인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진염(秦冉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제자로, 중국 문묘(文廟)에 배향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진왕(秦王)
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(五胡十六國)의 하나인 전조(前趙)의 제5대 황제. 재위 318~328. 고조(高祖)인 유연(劉淵)의 조카로, 즉위 후 국호를 ‘조(趙)’로 고치고 장안(長安)에 도읍하였으나, 후조(後趙)의 석륵(石勒)에게 피살됨.
?~328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