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진요자(陳堯咨)
중국 송(宋) 나라 진종(眞宗)~인종(仁宗) 때의 문신. 지개봉부(知開封府)ㆍ한림학사(翰林學士) 등을 지냈으며, 예서(隸書)에 능하고 활쏘기를 잘했다 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진요좌(陳堯佐)
중국 송(宋) 나라 진종(眞宗) 때의 문신. 진요자(陳堯咨)의 형으로 성품이 강직했으며, 평장사(平章事)를 지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진운홍(陳雲鴻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무신. 임진왜란(壬辰倭亂)과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조선의 원군으로서 참전하고, 일본의 장수 소서행장(小西行長)과 직접 만나 회담을 가짐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진유(陳留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흥덕(興德). 선무랑 녹사(宣務郞錄事)를 지낸 진승중(陳承重)의 아들로, 훈도(訓導)를 지내고 1513년(중종 8)에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곤양 , 인명>문사>유학
-
진유경(秦有經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기(豊基). 진호(秦浩)의 아들로, 예조 참의(禮曹參議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진율령(晉律令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가충(賈充)과 두예(杜預) 등이 함께 편찬한 진 나라의 율령서(律令書)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진의귀(陳義貴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문인. 집현전 제학(集賢殿提學)ㆍ형조 전서(刑曹典書)를 지냄. 퇴촌(退村) 김열(金閱)의 장인. 김열의 증손 김은경(金殷卿)이 진의귀와 김열의 시를 함께 엮어 《빙옥난고(氷玉亂稿)》를 편찬함.
?~1424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삼척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진일유고(眞逸遺藁)
조선 단종(端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진일재(眞逸齋) 성간(成侃)의 시문집. 4권 1책. 목판본. 형인 성임(成任)이 수집하고 동생인 성현(成俔)이 편집하여 1467년(세조 13) 간행함. 서거정(徐居正)ㆍ성현의 서문과 이윤보(李胤保)의 발문이 실려 있음.
1467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진재역설(進齋易說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인 진재(進齋) 서기(徐幾)가 《주역(周易)》에 대하여 풀이한 책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진적(診籍)
중국 전한(前漢) 문제(文帝) 때의 명의(名醫)인 순우의(淳于意)가 쓴 의안(醫案). 환자의 이름ㆍ주소ㆍ직업ㆍ병상ㆍ맥상ㆍ병명ㆍ진단ㆍ치료 방식ㆍ효과 등을 자세하게 기재해 놓은 병사(病史) 기록으로, 모두 25가지의 예가 실려 있음.
중국>전한 , 중국 , 문헌>서명
-
진정표(陳情表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신인 이밀(李密)이 황제에게 올린 표문. 무제(武帝) 때 세자 사마(世子洗馬)로 임명되자 사양의 뜻으로 올린 글.
267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진조전(陳祖田)
일본 실정시대(室町時代)의 문신. 관직으로 원외랑(員外郞)을 지냄. 서거정(徐居正)이 준 시가 《사가집(四佳集)》에 전함.
일본>실정시대 , 일본 , 인명>관인>문신
-
진종(眞宗)
중국 송(宋) 나라의 제3대 황제. 재위 997~1022. 당말(唐末)과 오대(五代)의 혼란을 수습하고 중앙집권체제를 확립하여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나, 동북 요(遼) 나라의 침입을 받음.
968~102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진주(晉州)
경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. 명승지로 촉석루(矗石樓)ㆍ서장대(西將臺) 등이 있음.
경상도>진주 , 지명>행정지명
-
진주강씨(晉州姜氏)
고구려 영양왕(嬰陽王) 때 병마도원수(兵馬都元帥)를 지낸 강이식(姜以式)을 시조로 하는 성씨.
한국>고구려 , 경상도>진주 , 인명>집단>성씨
-
진주소씨(晉州蘇氏)
중국에서 이주하여 진한(辰韓)을 세웠다는 소백손(蘇伯孫)을 시조로 삼고, 신라 때 각간(角干)을 지낸 소경(蘇慶)을 중시조로 하는 성씨.
고대 , 경상도>진주 , 인명>집단>성씨
-
진주유씨(晉州柳氏)
고려시대 금자광록대부(金紫光祿大夫)로서 진강부원군(晉康府院君)에 봉해진 유정(柳挺)을 시조로 하는 성씨.
한국>고려시대 , 경상도>진주 , 인명>집단>성씨
-
진주정씨(晉州鄭氏)
고려 때의 인물인 정예(鄭藝)ㆍ정장(鄭莊)ㆍ정자우(鄭子友)ㆍ정헌(鄭櫶) 등을 각 시조로 삼아, 동성동본이면서 세계(世系)를 달리하는 각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성씨.
한국>고려시대 , 경상도>진주 , 인명>집단>성씨
-
진주하씨(晉州河氏)
고려 때 좌사낭중(左司郞中)을 지낸 하공진(河拱辰), 사직(司直)을 지낸 하진(河珍), 주부(主簿)를 지낸 하성(河成)을 각 시조로 하는 세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성씨.
한국>고려시대 , 경상도>진주 , 인명>집단>성씨
-
진준(陳俊)
고려 의종(毅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양(驪陽)으로, 진총후(陳寵厚)의 아들. 참지정사(參知政事)를 지냈고, 무신정변(武臣政變)이 일어났을 때 많은 문신(文臣)들을 보호함.
?~1179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