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채염성(蔡念成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에게 배우고 주희가 죽자 황간(黃幹)에게 배움. 연평서원(延平書院)에서 강학(講學)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채영(蔡泳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인천(仁川). 두문동(杜門洞) 72현 중 한 사람인 채귀하(蔡貴河)의 아들이자 필선(弼善)을 지낸 채륜(蔡倫)의 아버지로, 군자소감(軍資少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인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채옹(蔡邕)
중국 후한(後漢) 영제(靈帝)~헌제(獻帝) 때의 문신ㆍ서예가ㆍ학자. 여류 문인 채염(蔡琰)의 아버지이자 완우(阮瑀)의 스승으로, 좌중랑장(左中郞將) 등을 지냄. 비자체(飛自體)를 창시하고 문장에 뛰어났으며, 저서로 《채중랑집(蔡中郞集)》 등이 있음.
132~192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채원길(蔡元吉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인천(仁川). 두문동(杜門洞) 72현 중 한 사람인 채귀하(蔡貴河)의 아버지로, 형부 상서(刑部尙書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인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채원정(蔡元定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어려서 아버지 채발(蔡發)에게 배우고, 후에 주희(朱熹)에게 배움. 의리(義理)ㆍ상수(象數)를 겸하고, 천문(天文)ㆍ지리(地理)ㆍ악률(樂律)ㆍ역수(曆數) 등에도 폭넓은 학식을 지님.
1135~1198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채원정(蔡元鼎)
중국 오대십국(五代十國)~송(宋) 나라의 학자. 대모산(大帽山)에 은거하여 육경(六經) 등을 연구하고 후진(後進)을 양성함. 주희(朱熹)가 그를 봉안한 사당의 편액(偏額)을 지음.
중국>송ㅣ중국>오대십국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채윤권(蔡胤權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인천(仁川). 인천군(仁川君) 채수(蔡壽)의 아들이며 한성부 서윤(漢城府庶尹) 채무일(蔡無逸)ㆍ무주 현감(茂朱縣監) 채무적(蔡無敵) 형제의 아버지로, 전생서 참봉(典牲署參奉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인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채응상(蔡應祥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인천(仁川). 채인손(蔡仁孫)의 아들로, 1540년(중종 35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였으며, 김준(金濬)ㆍ박승임(朴承任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채자연(蔡子涓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평강(平康). 대사헌(大司憲) 채세걸(蔡世傑)의 아버지로, 돈녕부 첨정(敦寧府僉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평강 , 인명>관인>무신
-
채정교(采亭橋)
중국 금(金) 나라 때 하북성(河北省) 옥전현(玉田縣)에 건립된 교각. 학사(學士)인 양회(楊繪)가 자신의 호를 따서 건립함.
중국>금 , 중국 , 유적>시설>기타시설
-
채정서(蔡呈瑞)
조선 전기의 문신. 유학 채순(蔡恂)의 아버지로, 아산 현감(牙山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아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채제공(蔡濟恭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. 오광운(吳光運)ㆍ강박(姜樸)의 문인. 남인(南人) 중 청남(淸南) 계열의 지도자로서 사도세자(思悼世子)를 옹호하고 탕평책(蕩平策)을 추진하는 등 영조와 정조에게 깊은 신임을 받았으며, 영의정 등을 지냄.
1720~1799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채준(蔡撙)
중국 남북조시대 제(齊)~양(梁) 나라의 문신ㆍ장군. 개부의동삼사(開府儀同三司)를 지낸 채흥종(蔡興宗)의 아들. 오승백(吳承伯)의 난을 평정하여 신무장군(信武將軍)에 봉해지고, 시중(侍中)을 지냄.
467~523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채준(蔡浚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인천(仁川). 송화 현감(松禾縣監)을 지낸 채년(蔡年)의 아들로, 양성 현감(陽城縣監)을 지냄.
1476~1537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인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채청(蔡淸)
중국 명(明) 나라 헌종(憲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남경국자감 좨주(南京國子監祭酒)를 지내고, 《역경(易經)》 연구로 명성이 높음.
1453~1508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채충혜집(蔡忠惠集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 때의 문신인 채양(蔡襄)의 문집. 총346권.
1168 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채침(蔡忱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강(平康). 정평 도호부사(定平都護府使)를 지낸 채석경(蔡碩卿)의 아들로, 곤양 군수(昆陽郡守)ㆍ대사헌(大司憲)을 지냄. 중종의 원비(元妃)인 단경왕후(端敬王后)의 복위를 반대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채침(蔡沈)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寧宗)~이종(理宗) 때의 학자. 채원정(蔡元定)의 아들이며 주희(朱熹)의 제자로, 구봉(九峯)에 은거하여 학문을 연마하였으며, 아버지와 스승의 뜻을 받들어 《서경집전(書經集傳)》을 완성함.
1167~123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채하로(蔡河老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평강(平康). 찬성사(贊成事) 채홍철(蔡洪哲)의 아들로, 판종부사사(判宗簿司事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평강 , 인명>관인>문신
-
채하중(蔡河中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찬성사(贊成事)를 지낸 채홍철(蔡洪哲)의 아들. 조적(曺頔)의 난 때 충혜왕(忠惠王)을 호종(扈從)하여 일등공신에 책봉되었으나, 공민왕 때 달선(達禪)의 반역 사건에 연루되어 효수(梟首)됨.
?~1357 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평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