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채홍철(蔡洪哲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혜왕(忠惠王) 때의 문신. 권한공(權漢功)과 함께 원(元) 나라에 청원서를 올려 심왕(瀋王) 고(暠)를 왕으로 추대하려 함. 불교ㆍ의약ㆍ음악 등에 조예가 깊고, 찬성사(贊成事) 등을 지냄.
1262~1340 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평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채흥종(蔡興宗)
중국 남북조시대 송(宋) 나라 문제(文帝)~명제(明帝) 때의 문신. 시중(侍中) 채준(蔡撙)의 아버지로, 회계 태수(會稽太守) 등을 지냄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책부원귀(冊符元龜)
중국 송(宋) 나라 때 편찬된 유서(類書). 왕흠약(王欽若)과 양억(楊億) 등이 진종(眞宗)의 칙령을 받아, 고대부터 오대(五代)까지의 정치에 관한 사적을 채집하여 정치의 요령(要領)을 뽑아 편집함. 《문원영화(文苑英華)》ㆍ《태평어람(太平御覽)》 등과 더불어 대표적인 유서로, 당(唐)ㆍ오대(五代) 부분은 사료적 가치가 큼.
1013 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처림(處林)
중국 원(元) 나라의 승려. 임제종(臨濟宗)의 제18대 조사(祖師)로, 나옹 혜근(懶翁慧勤)의 스승임.
1279~1361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처용(處容)
신라 헌강왕(憲康王) 때의 기인(奇人). 879년(헌강왕 2) 왕의 순행 중에 기이한 모습을 하고 가무를 하며 궁궐까지 따라와 급간(級干)의 벼슬을 받고, 아내가 역신(疫神)과 동침하는 것을 보고 처용가(處容歌)를 지었다는 기록이 《삼국유사(三國遺事)》에 전함.
한국>신라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척^교(跖^蹻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도둑인 도척(盜跖)과 초(楚) 나라의 도적인 장교(莊蹻)를 함께 부르는 말. 악인(惡人)의 대표적인 인물들로, 흉악한 사람을 가리킴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척계광(戚繼光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무신. 연해 지방에 왜구(倭寇)가 기승을 부리자 병사를 모집하고 새로운 진법(陣法)을 마련하여 왜구 격퇴에 많은 공을 세웠으며, 《기효신서(紀效新書)》 등을 저술함.
1528~1587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척부인(戚夫人)
중국 전한(前漢) 고조(高祖)의 총비(寵妃). 고조(高祖)가 죽은 뒤 여후(呂后)에 의해 팔다리가 잘리고 눈이 뽑히며 벙어리ㆍ귀머거리가 된 채 측간에 갇혀 ‘사람돼지(人彘)’라고 불림.
?~B.C.194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후궁
-
척약재학음집(惕若齋學吟集)
고려 후기의 문신ㆍ학자인 김구용(金九容)의 시문집(詩文集). 저자의 유고(遺稿)를 모은 본집(本集)과, 교유한 제인(諸人)들의 시문을 모은 외집(外集)으로 구성됨.
140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문헌>서명
-
척준경(拓俊京)
고려 숙종(肅宗)~인종(仁宗) 때의 무신. 곡산척씨(谷山拓氏)의 시조. 이자겸(李資謙)의 난에 가담하였다가 왕의 권유로 뜻을 바꾸어 이자겸을 귀양 보내는 데 공을 세우고, 이후 권세를 휘두르다가 유배된 뒤 다시 복권됨.
?~1144 한국>고려전기 , 황해도>곡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천^아(泉^阿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명검(名劍)으로, 구야자(歐冶子)와 간장(干將)이 만든 용천검(龍泉劍)과 태아검(太阿劍)을 함께 부르는 말. 보검(寶劍)을 가리킴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물품>기타물품
-
천계(天啓)
중국 명(明) 나라 희종(熹宗) 때의 연호(年號). 해당 연한 1621~1627.
1621~1627 중국>명 , 중국 , 시간>연호
-
천곡서원(川谷書院)
조선 명종(明宗) 때 경상도 성주(星州)에 건립된 서원. 1558년(명종 13) 창건되고, 1573년(선조 6)에 사액되었으며, 숙정자(叔程子)ㆍ주자(朱子)ㆍ김굉필(金宏弼)ㆍ이언적(李彦迪)ㆍ정구(鄭逑)ㆍ장현광(張顯光) 등을 배향함.
155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천광운영대(天光雲影臺)
경상북도 안동(安東) 도산서원(陶山書院) 근처를 지나는 낙동강(洛東江)의 서쪽 암벽 이름. 이황(李滉)이 주자(朱子)의 〈독서유감(讀書有感)〉 시를 인용하여 명명함.
경상도>안동 , 지명>자연지명
-
천긍(天亘)
고려 말~조선 초의 승려. 각운(覺雲)의 제자로, 스승에게서 '고암(古巖)'이란 호를 받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천려책(千慮策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시인인 양만리(楊萬里)의 저서. 총2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천리장성(千里長城)
고구려 말기와 고려 덕종(德宗) 때 서북 국경에 건립된 장성. 고구려 말에 당(唐) 나라의 침입을 막기 위해 요동(遼東) 지방에 쌓은 토축성이 있고, 고려 덕종 때 북방 유목민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압록강(鴨綠江) 어귀로부터 함경도 동해안에 이르는 1000여 리에 쌓은 석축성이 있음.
한국>고려시대ㅣ한국>고구려 , 중국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천명도설(天命圖說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인 정지운(鄭之雲)의 저서. 주자(朱子)의 설과 성리학적인 여러 도설(圖說)을 참조하여 간행함. 이황(李滉)에게 퇴고를 부탁하여 이후 기대승(奇大升)과의 사단칠정(四端七情) 논쟁이 시작됨.
1640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천사집(川沙集)
조선 정조(正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종덕(金宗德)의 저서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천석(天錫)
고려 후기의 승려. 이승휴(李承休)의 《동안거사집(動安居士集)》에 그와 관련된 내용이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