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천안(天安)
충청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조선시대 삼남대로(三南大路)의 분기점.
충청도>천안 , 지명>행정지명
-
천연대(天淵臺)
경상북도 안동(安東) 도산서원(陶山書院) 근처를 지나는 낙동강(洛東江)의 동쪽 암벽 이름. 이황(李滉)이 《시경(詩經)》의 시를 인용하여 명명함.
경상도>안동 , 지명>자연지명
-
천영(天英)
고려 고종(高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승려. 수선사(修禪社)의 제5세 국사(國師)로, 1236년(고종 23) 승과(僧科)에 급제함. 수선사 제3세인 청진국사(淸眞國師)의 교화를 받고 제4세인 진명국사(眞明國師)를 스승으로 삼았으며 복구(復邱)를 출가시킴.
1215~1286 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천자문(千字文)
중국 남북조시대 양(梁) 나라의 주흥사(周興嗣)가 글을 짓고 동진(東晉) 왕희지(王羲之)의 필적 중에서 해당 글자를 모아 만들었다는, 천(千) 자로 이루어진 사언고시(四言古詩)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천지(天池)
함경도와 중국 길림성(吉林省)에 걸쳐 있는 백두산(白頭山) 정상의 화구호(火口湖).
함경도>갑산 , 지명>자연지명
-
천추금감록(千秋金鑑錄)
중국 당(唐) 나라 현종(玄宗) 때의 재상ㆍ문인인 장구령(張九齡)의 저서. 5권. 현종의 생일인 천추절(千秋節)에 지어 바친 것으로, 역대 정치의 성패(成敗) 원인을 서술하여 후대의 거울로 삼게 한 내용임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서명
-
천축(天竺)
고대 중국에서 인도(印度) 또는 인도 방면에 대해 부르던 호칭. 《후한서(後漢書)》 〈서역전(西域傳)〉에 처음으로 명칭이 보이며, 남북조시대에 널리 불림.
고대 , 기타지역 , 시간>국명
-
천축사(天竺寺)
통일신라 문무왕(文武王) 때 양주(楊州)의 도봉산(道峰山)에 건립한 사찰. 의상(義湘)이 창건하여 1398년(태조 7)에 사액(寺額)되고, 혜능(慧能)이 이곳에서 입적함.
673 한국>통일신라 , 경기도>양주 , 유적>건물>사찰
-
천측(天則)
조선 전기의 승려. 교종판사(敎宗判事)를 지내고, 승안(勝安)이 상좌(上座)가 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천태산부(天台山賦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인인 손작(孫綽)이 지은 작품. 천태산의 멋진 경치를 섬세한 필치로 묘사하고, 친구인 범계(范啓)에게 문장을 자랑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천해록(川海錄)
조선 선조(宣祖) 때 문신인 유희춘(柳希春)의 저서. 80권이 넘었으나 미처 탈고하지 못했으며, 전쟁 중 소실됨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천황봉(天皇峰)
충청도 공주(公州)ㆍ논산(論山)ㆍ대전(大田)에 걸쳐 있는 계룡산(鷄龍山)의 최고봉. 높이 845m.
충청도>진잠ㅣ충청도>연산ㅣ충청도>공주 , 지명>자연지명
-
철사(哲師)
고려 말~조선 초의 승려. 《운곡행록(耘谷行錄)》에 〈서지암철사권(書智巖哲師卷)〉의 시(詩)가 수록되어 있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철산(鐵山)
평안북도 서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. 993년 서희(徐熙)의 활약으로 고려에 편입된 강동육주(江東六州)의 하나.
평안도>철산 , 지명>행정지명
-
철성연방집(鐵城聯芳集)
고려 후기의 문신인 이암(李嵓)ㆍ이강(李岡)ㆍ이원(李原)의 문집. 1책. 철성이씨(鐵城李氏)의 세고(世稿)를 엮은 것으로, 이암의 손자 이륙(李陸)이 편찬한 것을 경상 감사(慶尙監司) 윤호(尹壕)의 도움을 받아 간행함.
147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대구 , 문헌>서명
-
철원(鐵原)
강원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. 궁예(弓裔)가 세운 태봉국(泰封國)의 수도로 후삼국시대 중심지의 하나이며, 우리나라 중앙에 위치한 교통의 요지.
강원도>철원 , 지명>행정지명
-
철종(哲宗)@송
중국 송(宋) 나라 제7대 황제. 재위 1085~1100. 신종(神宗)의 여섯 번째 아들. 사마광(司馬光) 등 구당(舊黨)을 축출하고 장돈(章惇) 등을 중용하여 왕안석(王安石)의 변법(變法)을 다시 시행함.
1076~110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철종(哲宗)@조선
조선 제25대 국왕. 재위 1849~1863. 정조(正祖)의 동생 은언군(恩彦君)의 손자이고 전계대원군(全溪大院君) 이광(李㼅)의 셋째 아들. 헌종(憲宗)의 뒤를 이어 즉위함.
1831~1863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강화ㅣ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철종실록(哲宗實錄)
조선 제25대 철종(哲宗)의 재위 15년간(1849~1863)의 실록. 16권 9책. 정원용(鄭元容)ㆍ김흥근(金興根)ㆍ조두순(趙斗淳)ㆍ김병학(金炳學)ㆍ이돈우(李敦宇) 등이 주관하여, 1864년(고종 1)에 편찬을 시작하여 1865년(고종 2)에 완성함.
186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철철불화(徹徹不花)
중국 원(元) 순제(順帝) 때의 문신. 하남부 총관(河南府摠管)을 지낸 고려인 한영(韓永)의 사위로, 병부 상서(兵部尚書)를 지냄.
중국>원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