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초산집(椒山集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 때의 문신인 양계성(楊繼盛)의 문집. 3권 1책.
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초상인(超上人)
고려 말~조선 초의 승려. 《운곡행록(耘谷行錄)》에 〈서월암초상인권(書越菴超上人卷)〉의 시(詩)가 수록되어 있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초연수(焦延壽)
중국 전한(前漢) 때의 문신ㆍ학자. 소황령(小黃令)을 지냄. 맹희(孟喜)에게 《역(易)》을 배워 경방(京房)을 가르치고, 《역림(易林)》ㆍ《역림변점(易林變占)》을 저술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초은집(樵隱集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인 이인복(李仁復)의 문집. 1권.
한국>고려후기 , 문헌>서명
-
초자역전(譙子易傳)
중국 송(宋) 나라 고종(高宗) 때의 학자인 초정(譙定)의 저술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초정(譙定)
중국 송(宋) 나라 흠종(欽宗)~고종(高宗) 때의 학자. 정이(程頤)에게 《역(易)》을 배워 호헌(胡憲)ㆍ유면지(劉勉之) 등을 가르치고, 《초자역전(譙子易傳)》을 저술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초주(楚州)
중국 강소성(江蘇省) 회수(淮水) 유역에 있는 고을 이름. 마존(馬存)이 살던 곳임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초주(譙周)
중국 삼국시대 촉(蜀)~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촉 나라에서 광록대부(光祿大夫)를 지냈으나, 위(魏) 나라의 공격을 받을 때 후주(後主)에게 항복을 권유하고, 진 나라 건국 후 벼슬하지 않음. 천문(天文)ㆍ경서(經書)에 능하고, 저서로 《오경론(五經論)》ㆍ《고사고서(古史考書)》 등이 있음.
200~270 중국>남북조시대ㅣ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초충도(草蟲圖)
풀과 풀벌레를 그린 그림. 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서화가(書畵家)인 신사임당(申師任堂)의 작품이 유명함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작품명
-
초학자회(初學字會)
조선 문종(文宗) 때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초학자용 한자 자서(字書). 우리나라의 한자음인 동음(東音)이 한글로 표기된 최초의 책으로, 세조(世祖) 때 이승소(李承召) 등이 언해(諺解)하였으며, 《훈몽자회(訓蒙字會)》에 인용됨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초학집(初學集)
중국 명(明) 말~청(淸) 초의 문신ㆍ문인인 전겸익(錢謙益)의 시문집. 110권. 명 나라가 망하기 전까지 지은 시문(詩文)을 모은 것임.
1643 중국>청 , 중국 , 문헌>서명
-
초혼(招魂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시인 송옥(宋玉)이 지은 부(賦). 스승인 굴원(屈原)이 죄 없이 쫓겨나 정신이 혼미한 것을 슬퍼하여 상제(上帝)의 명과 무당의 말을 가탁(假託)하여 그 정신을 부른 것임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초혼각(招魂閣)
조선 세조(世祖)가 단종(端宗) 및 그의 충신들을 제향하기 위해 건립한 제각(祭閣). 충청남도 공주(公州)의 동학사(東鶴寺) 경내에 있음.
1458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공주 , 유적>건물>사당
-
촉(蜀)
중국 삼국시대(三國時代)의 국명. 전한(前漢) 경제(景帝)의 후손인 유비(劉備)가 한(漢) 나라의 정통성 계승을 주장하며 촉(蜀) 땅의 성도(成都)에 세운 왕조. 2대 43년간 존속.
220~263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시간>국명
-
촉석루(矗石樓)
고려 고종(高宗) 때 경상남도 진주(晉州) 본성동(本城洞)에 세워진 누각. 진주의 상징이자 영남의 명승으로, 임진왜란 때 논개(論介)가 순국한 곳으로도 유명함.
1241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진주 , 유적>건물>누정
-
촉석루기(矗石樓記)
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인 하륜(河崙)이 촉석루(矗石樓)에 대해 지은 기(記). 진주 목사(晉州牧事) 권충(權衷)과 진주 판관(晉州判官) 박시혈(朴施絜)이 촉석루를 중수(重修)할 때 지은 것으로, 《호정집(浩亭集)》에 수록됨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작품명
-
촉호집(燭湖集)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寧宗) 때의 문신인 손응시(孫應時)의 저서. 15권. 자서(自序)와 조카 손조우(孫祖祐)의 발문(跋文)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촌가구급방(村家救急方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인 김정국(金正國)이 지은 의서(醫書). 1권 1책. 목판본. 가난한 촌민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흔한 약재(藥材)와 여러 사람들의 경험에서 나온 치료법을 수록함.
1538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문헌>서명
-
촌담해이(寸談解頤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인 강희맹(姜希孟)의 저서. 1책. 필사본. 음담패설과 설화를 모아 엮은 기담집(奇談集)으로, 저자가 시골에서 한가롭게 지내면서 시골 노인들과 나눈 이야기를 모아 수록함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총통화전도설(銃筒火箭圖說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인 변이중(邊以中)이 쓴 무기 관련 도설(圖說). 여러 종류의 총통(銃筒)ㆍ화통(火筒)ㆍ기전(機箭)ㆍ화전(火箭)과 같은 무기의 세부적 모양과 크기 등을 정리하여 싣고 도면(圖面)을 붙임. 《망암집(望菴集)》에 수록됨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