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촬요신서(撮要新書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흥생(朴興生)의 저서. 2권 2책. 목활자본. 도덕성정(道德性情)과 예악형정(禮樂刑政)에 관해 서술함.
1894 한국>근대 , 서울 , 문헌>서명
-
최강(崔江)
고려 후기의 유학. 초명은 지(潪)이고 강(江)으로 개명함. 이곡(李穀)이 새 이름에 대한 자(字)를 심보(深父)로 지어 줌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최경지(崔敬止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필선(弼善) 최유종(崔有悰)의 아들. 홍문관 직제학(弘文館直提學)으로 연산군(燕山君)의 생모인 정현왕후(貞顯王后)의 폐위를 반대함.
?~147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최경창(崔慶昌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시인. 박순(朴淳)의 문인으로, 문장과 학문에 뛰어나 이이(李珥)ㆍ송익필(宋翼弼) 등과 함께 팔문장(八文章)으로 불리고 당시(唐詩)에도 능하여 삼당시인(三唐詩人)으로도 불림. 종성 부사(鍾城府使) 등을 지냄.
1539~158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영암ㅣ서울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최경홍(崔景弘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찬성(贊成) 최숙생(崔淑生)의 아들로, 승문원 정자(承文院正字)를 지냄.
1493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최경회(崔慶會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.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크게 활약하다가 진주성(晉州城) 싸움에서 성이 함락되자 남강(南江)에 투신자살함. 진주 창렬사(彰烈祠) 등에 제향되고 좌찬성(左贊成)에 추증됨.
1532~159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능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최계동(崔繼潼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흥해(興海)로, 나주 목사(羅州牧使)를 지낸 최환(崔渙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흥해 , 인명>문사>유학
-
최계사(崔季思)
조선 전기의 문신. 성종(成宗) 때의 진사인 최하림(崔河臨)의 아버지로, 교하 현감(交河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최곤(崔崑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중종(中宗) 때의 유학인 최영견(崔永甄)의 아버지로, 훈련원 참봉(訓鍊院參奉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최광(崔廣)
중국 진(秦) 말~한(漢) 초 때의 은자. 진 나라 시황(始皇)의 폭정을 피하여 상산(商山)에 은거한 상산사호(商山四皓) 중의 한 사람으로, 한 나라 고조(高祖) 때 장량(張良)의 계책을 쓴 여후(呂后)의 초빙을 받아 태자빈객(太子賓客)이 됨.
중국>전한ㅣ중국>진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최광수(崔光秀)
고려 고종(高宗) 때의 무신ㆍ역적. 거란군 진압을 위해 파견된 상장군 최유공(崔兪恭)의 휘하에 있다가 고구려 부흥을 표방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정의(鄭顗) 등에 의해 진압됨.
?~1217 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기타인명>역적ㅣ인명>관인>무신
-
최광연(崔光演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양천(陽川). 부제학(副提學) 최숙정(崔淑精)의 차남으로, 수의부위(修義副尉)에 이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문사>유학
-
최광윤(崔光潤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양천(陽川). 부제학(副提學) 최숙정(崔淑精)의 맏아들로, 용인 현령(龍仁縣令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최광한(崔光瀚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양천(陽川). 부제학(副提學) 최숙정(崔淑精)의 셋째 아들로, 모재(慕齋) 김안국(金安國)이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파직된 후 명승지를 유람할 때, 박희량(朴希良)ㆍ공상린(孔祥麟) 등과 함께 종유(從遊)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문사>유학
-
최군옥(崔群玉)
고려시대의 문신. 전주최씨(全州崔氏) 문충공파(文忠公派)의 시조. 삼중대광(三重大匡)으로 문하시랑 평장사(門下侍郞平章事)를 지냄.
한국>고려시대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최균(崔均)
고려 인종(仁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전주최씨(全州崔氏) 일파(一派)의 시조. 내시 낭중(內侍郞中) 등을 지내고, 조위총(趙位寵)의 난을 진압하던 중 적장에게 살해됨. 아들 최보순(崔甫淳) 등의 현달로 상서 좌복야(尙書左僕射)에 추증됨.
?~1174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최기(崔沂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해주 목사(海州牧使)를 지낼 때 박희일(朴希一) 등을 무고죄로 처형함으로써 이이첨(李爾瞻)의 미움을 받아 옥사(獄死)함. 뒤에 다시 대역죄로 부관참시(剖棺斬屍)되었다가 인조(仁祖) 때 신원됨.
1553~161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최기열(崔基烈)
고려 후기의 무신. 등주최씨(登州崔氏)의 시조. 조선 태조(太祖)의 증조부인 익조(翼祖)의 비 정숙왕후(貞淑王后)의 아버지로, 호장(戶長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함경도>안변 , 인명>관인>무신
-
최능(崔凌)
조선 전기의 생원. 김안국(金安國)ㆍ박배원(朴培源)ㆍ강은(姜㶏) 등과 교유하였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문사>유학
-
최담(崔霮)
고려 말~조선 초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집현전 직제학(集賢殿直提學)을 지낸 최덕지(崔德之)의 아버지로, 참의(參議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