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최담령(崔聃齡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김덕령(金德齡)과 함께 의병을 일으키고 그의 별장(別將)이 되었음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문사>유학
-
최당(崔讜)
고려 명종(明宗)~희종(熙宗) 때의 문신. 최선(崔詵)ㆍ장자목(張自牧) 등과 함께 기로회(耆老會)를 조직하여 시주(詩酒)로써 소일하므로 당시에 지상선(地上仙)으로 불림.
1135~1211 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철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최덕부(崔德符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인. 시인 진여의(陳與義)의 스승으로 〈잠심재시(潛心齋詩)〉ㆍ〈지거헌시(止遽軒詩)〉 등의 작품이 있음.
1058~1126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최덕산(崔德山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단계(丹溪). 중종(中宗) 때의 유학인 최준(崔濬)의 아버지로, 용양위 부호군(龍驤衛副護軍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단성 , 인명>관인>무신
-
최덕수(崔德秀)
조선 전기의 문신. 이해(李瀣)의 사위이며, 이황(李滉)의 문인. 별좌(別座)ㆍ현감(縣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최덕지(崔德之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시인ㆍ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참의(參議) 최담(崔霮)의 아들. 집현전 직제학(集賢殿直提學)을 지내고 치사(致仕)하여 영암(靈岩)에 머물렀으며, 시를 잘 지음.
1384~1455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영암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최두(崔㞳)
조선 전기의 유학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최득평(崔得枰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전리 판서(典理判書)를 지낸 최재(崔宰)의 아버지로, 선부 전서(選部典書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최득하(崔得河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해주(海州).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를 지낸 최호(崔灝)의 아버지로, 사과(司果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관인>무신
-
최력(崔櫟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전주(全州). 평소에 《근사록(近思錄)》ㆍ《성리대전(性理大全)》을 읽고, 서경덕(徐敬德)의 문하에서 수학함.
1522~155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최린(崔璘)
고려 강종(康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금의(琴儀)의 문인. 평장사(平章事) 최당(崔讜)의 손자로, 대간(臺諫)ㆍ문하시랑평장사(門下侍郞平章事) 등을 지냄.
?~1256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창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최립(崔岦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인ㆍ문신. 진사(進士) 최자양(崔自陽)의 아들로, 형조 참판(刑曹參判) 등을 지냄. 문장에도 뛰어나 한호(韓濩)의 글씨, 차천로(車天輅)의 시와 함께 송도삼절(松都三絶)로 불림.
1539~1612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통천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최맹연(崔孟淵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중종(中宗) 때의 유학인 최징(崔澄)의 아버지로, 서부 주부(西部主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최명길(崔鳴吉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인조반정(仁祖反正)에 가담하여 정사공신(靖社功臣)에 책록되고, 병자호란 때 주화론(主和論)을 주장하며 전란 후 피폐한 정국 안정에 힘씀. 영의정(領議政) 등을 지냄.
1586~1647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최명룡(崔命龍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학자ㆍ서화가. 본관은 전주(全州). 학자 권극중(權克中)의 스승으로 역학과 수학에 정통하며, 그림에도 뛰어나 작품 〈선인무악도(仙人舞樂圖)〉 등이 전함.
1567~1621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학자
-
최명손(崔命孫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대사헌(大司憲) 최진(崔璡)의 아버지로, 이조 정랑(吏曹正郞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최명창(崔命昌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개성(開城). 부사과(副司果) 최철손(崔鐵孫)의 아들로, 예조 참판(禮曹參判)ㆍ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를 지내고,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(錄選)됨.
1466~1536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최문도(崔文度)
고려 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최성지(崔誠之)의 아들. 원(元) 나라에 가서 숙위(宿衛)하였으며, 몽고의 말과 글에 능통하였고, 벼슬은 첨의평리(僉議評理)에 이르렀으며, 성리학에 밝았음.
1292~1345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최문립(崔文立)
고려 후기의 유학. 본관은 동주(東州). 중서시랑 평장사(中書侍郞平章事)를 지낸 최온(崔昷)의 아들이며 밀직사사(密直司事)를 지낸 최운(崔雲)의 아버지로, 봉익대부(奉翊大夫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철원 , 인명>문사>유학
-
최문손(崔文孫)
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조 참판(吏曹參判)을 지낸 최한경(崔漢卿)의 아버지로, 이조 정랑(吏曹正郞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