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최문한(崔文漢)
고려 후기의 문신ㆍ외척. 충숙왕(忠肅王)의 부마(駙馬)로, 삼중대광 판군기시사(三重大匡判軍器寺事)를 지내고 고려가 망하자 강화(江華)에 둔거(遯居)하였다가 강릉(江陵)으로 이적(移籍)함.
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최민(崔敏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. 문하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(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)를 지낸 최자(崔滋)의 아버지로, 우복야(右僕射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최백(崔白)
중국 송(宋) 나라의 화가. 꽃과 새를 그리는 데 능숙하고, 불화(佛畵)나 산수ㆍ동물 그림이 정교함. 그와 제자 오원유(吳元瑜)에 이르러 북송 화조화(花鳥畵)의 격식이 바뀜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최백륜(崔伯倫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성균관 대사성(成均館大司成)을 지낸 최해(崔瀣)의 아버지로, 민부 의랑(民部議郞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최보순(崔甫淳)
고려 희종(熙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예부 상서를 지낸 최균(崔均)의 아들. 감수국사(監修國史)가 되어 《명종실록(明宗實錄)》을 찬수하고, 수태사 판이부사(守太師判吏部事)에 오름.
1162~1229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최보한(崔輔漢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최윤명(崔潤明)의 아들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, 대윤(大尹) 무리를 제거하는 데 앞장서서 위사공신(衛社功臣)에 책록되고, 수산군(隨山君)에 봉해짐.
?~1546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수원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최복남(崔福男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성균진사(成均進士)를 지낸 최언린(崔彥潾)의 아들로,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를 지냄.
1545~1606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최부(崔溥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탐진(耽津). 진사(進士) 최택(崔澤)의 아들이며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홍문관 교리(弘文館校理)를 지냈으나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죽임을 당함. 저서에 《금남표해록(錦南漂海錄)》이 있음.
1454~150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최비일(崔毗一)
고려 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찬성사(贊成事)를 지낸 최성지(崔誠之)의 아버지로, 첨의 찬성사(僉議贊成事) 등을 지냄.
?~1319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사유(崔士柔)
고려 말~조선 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삭녕(朔寧). 영의정(領議政)을 지낸 최항(崔恒)의 아버지로, 성균관 사예(成均館司藝) 등을 지내고 치사하여 수직(壽職)으로 통정대부(通政大夫)에 봉해짐.
1372~1455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삭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사의(崔士儀)
조선 세종(世宗)~문종(文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판한성부사(判漢城府事)를 지낸 최유경(崔有慶)의 아들로, 판돈녕부사(判敦寧府事)를 지내고,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(錄選)됨.
1376~145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산두(崔山斗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초계최씨(草溪崔氏)의 중시조. 사간(司諫)ㆍ지평(持平) 등을 지냈으나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동복(同福)으로 유배됨. 문장에 뛰어나 유성춘(柳成春)ㆍ윤구(尹衢)와 함께 ‘호남삼걸’로 불림.
1483~153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산보(崔山甫)
고려 전기의 문신. 1145년(인종 23) 김부식(金富軾)의 주도 아래 진행된 《삼국사기(三國史記)》편찬에 참고(參考)로서 참여함.
한국>고려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상중(崔尙重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삭녕(朔寧). 최영(崔穎)의 아들이며, 유희춘(柳希春)의 문인. 임진왜란 때 도원수 권율(權慄)의 종사관(從事官)이 되어 보필하고, 사간원 사간(司諫院司諫) 등을 지냄.
1551~160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서(崔湑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해주(海州)로, 위원 군수(渭原郡守)를 지낸 최여우(崔汝雨)의 아들. 양포(楊浦) 최전(崔澱)의 형으로, 함께 이이(李珥)의 문하에서 수학했으나 요절(夭折)함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최서림(崔瑞琳)
조선 현종(顯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통덕랑(通德郞) 최윤성(崔胤聖)의 아들이며 김집(金集)의 문인. 1662년(현종 3)에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고, 공릉 참봉(恭陵參奉)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고 후진 교육에 힘씀.
1632~1698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무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석(崔奭)
고려 문종(文宗)~선종(宣宗) 때의 문신. 평장사를 지낸 최유청(崔惟淸)의 아버지. 동지중추원사(同知中樞院事)로 병마사(兵馬使)가 되어 정주(貞州) 지방의 여진족을 정벌하였으며, 당대의 문인으로 명성을 떨침.
한국>고려전기 , 강원도>철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석(崔碩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승평 부사(昇平府使)가 되어 선정을 펼치고 허례(虛禮)를 금함으로써 백성들이 팔마비(八馬碑)를 세워 그의 덕을 칭송함. 현재 순천(順天)에 팔마탑(八馬塔)이 세워져 전함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석정(崔錫鼎)
조선 현종(顯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전주(全州). 완성부원군(完城府院君) 최명길(崔鳴吉)의 손자로, 영의정(領議政)을 지내고 정치와 학문에 두루 능함. 저서로 《명곡집(明谷集)》이 전함.
1646~1715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최선(崔詵)
고려 명종(明宗)~희종(熙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주(東州). 뛰어난 학행으로 과거를 주관하여 많은 인재를 발탁하고 《태평어람(太平御覽)》등의 간행을 주관함. 문하시랑 평장사(門下侍郞平章事)를 지냄.
?~1209 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철원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