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최선문(崔善門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창신교위(彰信校尉) 최자강(崔自江)의 아들로, 공조 판서(工曹判書)를 지냄.
?~1455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화순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선복(崔善復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군사(郡事)를 지낸 최자해(崔自海)의 아들. 보덕(輔德)ㆍ부윤(府尹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화순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성지(崔誠之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제2차 입성책동(立省策動) 때 원(元) 나라의 도성(都省)에 글을 올려 논의를 중지시킴. 수시력(授時曆)을 배워 와서 고려의 학계에 공헌하고, 찬성사(贊成事) 등을 지냄.
1265~1330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최세건(崔世楗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위사공신(衛社功臣) 최연(崔演)의 아버지로, 충순위(忠順衛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무신
-
최세도(崔世道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강릉(江陵). 형조 참판(刑曹參判)을 지낸 최응현(崔應賢)의 다섯째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최세명(崔世明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진사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최세절(崔世節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시인. 형조 참판(刑曹參判)을 지낸 최응현(崔應賢)의 아들로, 공조 참판(工曹參判)을 지내고, 시재(詩才)에도 뛰어남.
1479~1535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최세충(崔世忠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형조 참판(刑曹參判)을 지낸 최응현(崔應賢)의 맏아들로, 도총부 도사(都摠府都事)ㆍ금구 현령(金溝縣令) 등을 지냄.
1453~1531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세효(崔世孝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강릉(江陵). 중종(中宗) 때의 화가인 최수성(崔壽峸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문사>유학
-
최수(崔倕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. 이부 낭중(吏部郞中)을 지낼 때 융갈(戎羯) 정벌을 위해 출정하는 군대를 위해 〈벌경예부(伐鯨鯢賦)〉를 지어 격려함. 유우석(劉禹錫)이 지은 비문(碑文)이 있음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수도(崔守道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충주(忠州). 사간원 정언(司諫院正言)을 지낸 최정호(崔挺豪)의 아버지로, 좌승지(左承旨)에 추증됨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최수성(崔壽峸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화가. 유학 최세효(崔世孝)의 아들이며 김굉필(金宏弼)의 문인으로, 조광조(趙光祖)ㆍ김정(金淨) 등과 교유함. 벼슬을 단념하고 시(詩)ㆍ서(書)ㆍ화(畵)ㆍ음악으로 일생을 보냈으나 신사무옥(辛巳誣獄)에 연루되어 처형됨.
1487~1521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최수진(崔秀珍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삭녕(朔寧). 사섬시 첨정(司贍寺僉正)ㆍ종친부 전첨(宗親府典籤) 등을 지냄.
1478~1547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삭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숙(崔淑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화순(和順). 세종(世宗) 때 형조 정랑(刑曹正郞)을 지낸 최준(崔濬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화순 , 인명>문사>유학
-
최숙(崔璹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. 호조 정랑(戶曹正郞)을 지낸 최창손(崔昌孫)의 아들로, 김포 현령(金浦縣令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숙생(崔淑生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최철중(崔鐵重)의 아들로, 우찬성(右贊成)을 지냈으나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파직됨.
1457~152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숙정(崔淑精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천(陽川). 《세조실록(世祖實錄)》ㆍ《예종실록(睿宗實錄)》ㆍ《삼국사절요(三國史節要)》ㆍ《동문선(東文選)》 등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, 홍문관 부제학(弘文館副提學) 등을 지냄.
1432~1480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순(崔順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화순(和順). 중종(中宗) 때의 유학인 최제안(崔濟安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화순 , 인명>문사>유학
-
최순작(崔純爵)
고려 문종(文宗)~예종(睿宗) 때의 문신. 평장사(平章事)를 지내고 완산백(完山伯)에 봉해졌음.
?~1108 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승로(崔承老)
고려 태조(太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경주(慶州). 학문이 뛰어나 일찍이 문병(文柄)으로서 문장과 학문계통의 관직생활을 함. 성종 때 시무(時務) 28조를 올려 국가체재 정비에 공헌하고, 문하시중(門下侍中)을 지냄.
927~989 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