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최승하(崔承賀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김일손(金馹孫) 등과 금란계(金蘭契)를 맺어 교유하였고, 단성 현감(丹城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시형(崔時亨)
조선 철종(哲宗)~근대의 종교인. 본관은 경주(慶州). 동학(東學)의 제2대 교조(敎祖)로 《동경대전(東經大全)》등을 간행하여 교리를 확립하고 교단의 조직을 강화함. 교조 신원운동(敎祖伸寃運動)을 주도하고, 1894년 동학농민운동(東學農民運動)을 이끌다가 체포되어 처형당함.
1827~1898 한국>근대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종교인>동학교인
-
최심(崔深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감사(監司)를 지낸 최현(崔晛)의 아버지. 송당(松堂) 박영(朴英)의 문인.
1512~158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최아(崔阿)
고려 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문하시중(門下侍中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안도(崔安道)
고려 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검교첨의평리(檢校僉議評理) 최현(崔玄)의 아들. 충숙왕이 원(元) 나라에 들어가 5년간 억류되어 있을 때 성심으로 시종(侍從)하여, 귀국한 후 응양 상호군(鷹揚上護軍)에 오르고 일등공신이 됨.
1293~1340 한국>고려후기 , 평안도>용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최앵앵(崔鶯鶯)
중국 당(唐) 나라 덕종(德宗) 때의 인물. 최붕(崔鵬)의 딸로, 원진(元稹)이 지은 《앵앵전(鶯鶯傳)》의 여자 주인공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최양(崔瀁)
고려 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문하찬성사(門下贊成事)를 지낸 최지(崔贄)의 아들. 외삼촌인 정몽주(鄭夢周)에게 수학하고 문하찬성사를 지냈으며, 고려가 망하자 전주(全州)에 은거함.
1351~1424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양손(崔讓孫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. 중종(中宗) 때 시정(寺正)을 지낸 최운(崔雲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최언린(崔彥潾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전주(全州). 선조(宣祖) 때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를 지낸 최복남(崔福男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최여우(崔汝雨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. 이이(李珥)의 문인인 최준(崔濬)ㆍ최서(崔湑)ㆍ최전(崔澱)의 아버지로, 위원 군수(渭原郡守) 등을 지냄.
1535~1573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여주(崔汝舟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. 조광조(趙光祖)ㆍ김정(金淨)의 문인으로, 의금부 도사(義禁府都事)ㆍ성주 목사(星州牧使) 등을 지내고, 문장과 글씨에 능함.
1502~156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여지(崔與之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참지정사(參知政事)ㆍ우승상(右丞相)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였고, 관문전 태학사(關文殿太學士)로 치사(致仕)함. 저서에는 《국파집(菊坡集)》이 있음.
1158~123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최연(崔演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문인. 최세건(崔世楗)의 아들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소윤(小尹)에 가담하여 위사공신(衛社功臣)에 책록되고, 동원군(東原君)에 봉해짐. 《무정보감(武定寶鑑)》을 편찬하고, 시문(詩文)에 능함.
1503~1549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최영(崔瑩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무신. 본관은 동주(東州). 고려 말 외적의 소탕과 변방 수호에 수많은 공로를 세워 도형벽상공신(圖形壁上功臣)ㆍ좌명공신(佐命功臣) 등에 책록됨. 이성계(李成桂)의 위화도회군(威化島回軍)으로 세력을 잃고 참형됨.
1316~1388 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철원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최영견(崔永甄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전주(全州). 훈련원참봉(訓鍊院參奉)을 지낸 최곤(崔崑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최영경(崔永慶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조식(曺植)의 문인으로, 학문이 뛰어나 정구(鄭逑)ㆍ김우옹(金宇顒) 등과 교유함. 정여립(鄭汝立)의 모반 사건 때 유령 인물인 길삼봉(吉三峯)으로 무고되어 정철(鄭澈)의 국문을 받다가 옥사(獄死)함.
1529~159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최영원(崔永源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영암(靈巖). 영암 군수(靈巖郡守)를 지낸 최형한(崔亨漢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영암 , 인명>문사>유학
-
최영호(崔永灝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삭녕(朔寧). 세종(世宗) 때의 학자인 최항(崔恒)의 아들이며 중종(中宗) 때 사섬시 첨정(司贍寺僉正)을 지낸 최수진(崔秀珍)의 아버지로, 사옹원 정(司饔院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삭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온(崔昷)
고려 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평장사(平章事) 최선(崔詵)의 손자이며 좌복야(左僕射) 최종재(崔宗梓)의 아들로, 태부 중서시랑평장사(太傅中書侍郞平章事)를 지냄.
?~1268 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철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온(崔溫)
고려 전기의 문신. 해주최씨(海州崔氏)의 시조. 문헌공도(文憲公徒)의 창시자인 최충(崔冲)의 아버지로, 판이부사(判吏部事)를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