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최온(崔薀)
조선 인조(仁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삭녕(朔寧). 사간(司諫)을 지낸 최상중(崔尙重)의 아들로, 동부승지(同副承旨)를 지냄. 성품이 강직하여 언관(言官)의 직책에 적합하다는 평을 받음.
1583~1659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우(崔瑀)
고려 무신정권기의 무신. 최충헌(崔忠獻)의 아들로, 아버지의 사후 집권하여 전대(前代)의 부패를 없애기 위해 노력하고 이름난 유학자를 등용하였으며, 몽고의 침입에 대비하여 강화(江華)로 천도(遷都)함. 만년에 횡포와 사치가 심해져 백성들의 원망을 샀음.
?~1249 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우봉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최우달(崔佑達)
통일신라 말~고려 초의 문신. 고려 건국에 공을 세운 최응(崔凝)의 아버지. 개성최씨(開城崔氏)의 시조로, 신라의 대상(大相)을 지냄.
한국>고려전기ㅣ한국>통일신라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운(崔澐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화순(和順). 김정(金淨)과 함께 수학했으며, 유일(遺逸)로 천거되어 횡간 현감(橫澗縣監)을 지냈으며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파직됨.
1500~152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운(崔雲)@고려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무신. 봉익대부(奉翊大夫) 최문립(崔文立)의 아들로, 철원 부사(鐵原府使)ㆍ지밀직사사(知密直司事)를 지냄.
1275~1325 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철원 , 인명>관인>무신
-
최운(崔雲)@조선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1521년(중종 16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시정(寺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원(崔瑗)
중국 후한(後漢)의 문인ㆍ서예가. 문사(文辭)에 능하고, 장제(章帝) 때 두도(杜度)의 글씨체를 이어 장초(章草)를 잘 씀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문인
-
최원도(崔元道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판전의시사(判典醫寺事) 최유진(崔有珍)의 아들. 대사간(大司諫)을 지냈으나, 고려가 기울어가는 것을 보고, 고향 영천(永川)으로 돌아와 은거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원지(崔元之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화순(和順). 지평(持平) 등을 지낸 최자해(崔自海)의 아버지로, 공민왕(恭愍王) 때 과거에 급제하여 종부시 영(宗簿寺令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화순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원호(崔元浩)
고려 후기의 무신. 본관은 우봉(牛峰). 최씨무신정권(崔氏武臣政權)의 기반을 다진 최충헌(崔忠獻)의 아버지로, 상장군(上將軍)을 지내고 영렬우성공신 삼중대광 문하시중(英烈佑聖功臣三中大匡門下侍中)에 추증됨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우봉 , 인명>관인>무신
-
최유(崔濡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역신(逆臣). 두 차례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되었으나, 횡포로 인해 탄핵을 받자 원 나라로 도망침. 기황후(奇皇后)를 설득하여 덕흥군(德興君) 왕혜(王譓)를 왕으로 세우기로 모의하고 고려에 침입했다가 패한 후 압송되어 처형됨.
?~1364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용궁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최유경(崔有慶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우왕(禑王)에게 이성계(李成桂)의 위화도회군(威化島回軍)을 고변하였으나, 훗날 태조(太祖)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고위관직을 두루 지내고, 개국원종공신(開國原從功臣)에 녹훈됨.
1343~141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최유공(崔愈恭)
고려 후기의 무신. 상장군(上將軍)으로서 대장군(大將軍) 이극인(李克仁) 등과 함께 최우(崔瑀)의 제거를 모의하던 중 사실이 누설되어 피살됨.
?~1224 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무신
-
최유종(崔有悰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홍문관 직제학(弘文館直提學)을 지낸 최경지(崔敬止)의 아버지로, 1414년(태종 14) 친시(親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필선(弼善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유지(崔攸之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삭녕(朔寧). 동부승지(同副承旨)를 지낸 최온(崔薀)의 아들로, 사간(司諫) 등을 지냄.
1603~1673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삭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유진(崔有珍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공민왕(恭愍王) 때 대사간(大司諫)을 지낸 최원도(崔元道)의 아버지로, 판전의시사(判典醫寺事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유청(崔惟淸)
고려 예종(睿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주(東州)로, 최석(崔奭)의 아들. 사신으로 송(宋) 나라와 금(金) 나라에 다녀오고, 집현전 대학사(集賢殿大學士) 등을 지냄. 경사(經史)와 불경(佛經)에 밝았으며 글씨에도 뛰어남.
1095~1174 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철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유해(崔有海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. 1624년(인조 2) 안변 부사(安邊府使) 시절 명(明) 나라의 모문룡(毛文龍)에게 군량을 공급함. 지방관으로 재직하면서 선정을 베풀어 곳곳에 송덕비(頌德碑)가 세워지고, 의약ㆍ복서ㆍ천문에 밝음.
1587~1641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윤명(崔潤明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수원(水原). 수산군(隨山君) 최보한(崔輔漢)의 아버지로, 당진 현감(唐津縣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수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최윤성(崔胤聖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. 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최서림(崔瑞琳)의 아버지로, 통덕랑(通德郞)에 오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