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평제(平帝)
중국 전한(前漢)의 마지막 황제. 재위 B.C.1~A.D.5. 애제(哀帝)의 조카로, 애제가 죽은 후 대사마(大司馬) 왕망(王莽)의 추대를 받아 제위에 오르고 그의 딸과 혼인하였으나, 후에 왕망에게 독살됨.
B.C.9~A.D.5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평택임씨(平澤林氏)
중국 당(唐) 나라 때 동래(東來)한 임팔급(林八及)을 도시조(都始祖)로 삼고, 고려 말의 인물인 임세춘(林世春)과 임언수(林彦脩)를 각 일세조(一世祖)로 하는 두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성씨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평택 , 인명>집단>성씨
-
평회서비(平淮西碑)
중국 당(唐) 나라 덕종(德宗) 때 한유(韓愈)가 지은 비문. 배도(裵度)가 채주(蔡州) 지방의 오원제(吳元濟)가 일으킨 반란을 평정하자, 이를 기념하여 지음.
중국>당 , 중국 , 유적>기타유적
-
평후(平侯)
중국 춘추전국시대 채(蔡) 나라의 왕. 채 나라를 점령한 초(楚) 나라 영왕(靈王)에 의해 옹립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폐비윤씨(廢妃尹氏)
조선 제9대 성종(成宗)의 계비(繼妃). 본관은 함안(咸安). 연산군(燕山君)의 생모(生母)로, 투기(妬忌)가 심하여 1479년(성종 8) 폐서인(廢庶人) 되고, 1482년(성종 11)에 사사(賜死)되었는데, 이 일이 후에 갑자사화(甲子士禍)의 원인이 됨.
?~148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비
-
폐제(廢帝)@삼국(오)
중국 삼국시대 오(吳) 나라의 제2대 황제. 재위 252~258. 대제(大帝: 손권(孫權))의 막내아들. 맏형 손등(孫登)이 죽은 후 태자가 되어 제갈각(諸葛恪) 등의 옹립으로 즉위하였으나, 손준(孫峻) 등에게 실권을 빼앗겨 결국 폐위되었으며, 후에 자살함.
243~260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폐제(廢帝)@전한
중국 전한(前漢)의 황제. 무제(武帝)의 손자로, 소제(昭帝)의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으나 음란하고 무절제한 생활로 인해 27일만에 곽광(霍光) 등 대신들에 의하여 폐위됨.
?~B.C.59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포^달(褒^妲)
중국 주(周) 나라 유왕(幽王)의 총희(寵姬) 포사(褒姒)와 은(殷) 나라 주왕(紂王)의 비(妃) 달기(妲己)를 함께 부르는 말. 중국의 음란하고 잔인한 대표적인 독부(毒婦)들로, 나라를 망친 총희를 가리킴.
중국>주ㅣ중국>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포^목(圃^牧)
고려 후기의 문신ㆍ학자인 포은(圃隱) 정몽주(鄭夢周)와 목은(牧隱) 이색(李穡)을 함께 부르는 말. 고려 말에 성리학의 기초를 세우고, 조선의 개국에 참여하지 않고 절의를 지킨 학자를 가리킴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한산ㅣ경상도>영천(永川) , 사상>술어>관용어
-
포^사(鮑^謝)
중국 남북조시대 남송(南宋)의 시인인 포조(鮑照)와 사영운(謝靈運)을 함께 부르는 말. 시(詩)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포^소(暴^蘇)
중국 주(周) 나라의 제후인 포공(暴公)과 소공(蘇公)을 함께 부르는 말. 포공이 경사(卿士)로 있을 때 친구인 소공을 천자에게 참소하자, 소공이 〈하인사(何人斯)〉라는 시를 지어 포공과 단절함.
중국>주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포^악(褒^卾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무신인 포국공(褒國公) 단지현(段志玄)과 악국공(鄂國公) 울지공(尉遲恭)을 함께 부르는 말. 당 나라 건국에 공을 세운 명장(名將)을 가리킴.
중국>당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포곡(布穀)
뻐꾸기 혹은 뻐꾸기의 울음소리. 뻐꾸기가 ‘포곡포곡’하며 울고, ‘포곡(布穀)’이 ‘씨를 뿌려라’라는 의미이므로, 농사를 재촉하는 뜻으로 쓰임.
사상>술어>관용어ㅣ자연물>동물
-
포공(暴公)
중국 주(周) 나라의 제후. 경사(卿士)로 있을 때 친구인 소공(蘇公)을 천자에게 참소함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포당(鮑當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시인. 호주지사(湖州知事) 등을 지내고 시(詩)에 뛰어났으며, 저서로 《청풍집(淸風集)》을 남김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포박자(抱朴子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학자ㆍ도사인 갈홍(葛洪)의 저서. 도가의 신선술에 관한 내용을 실었는데, 내편(內篇) 20편, 외편(外篇) 50편으로 구성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포사(褒姒)
중국 주(周) 나라의 마지막 왕인 유왕(幽王)의 비(妃). 유왕이 총애하여 신후(申后)를 폐하고 왕비로 삼았으며, 이로 인해 견융(犬戎)의 침공을 야기하여 주 나라가 멸망하게 됨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포석정(鮑石亭)
통일신라 때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구(石溝). 경상북도 경주(慶州) 금오산(金鰲山)의 서쪽에 있으며, 유상곡수(流觴曲水)라는 시회(詩會)를 벌이는 장소로 이용됨.
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유적>시설>기타시설
-
포선(鮑宣)
중국 전한(前漢) 애제(哀帝) 때의 문신. 애제의 총애와 신임을 받으며 간대부(諫大夫)를 역임하였으나, 평제(平帝) 때 왕망(王莽)이 정권을 잡은 후 무함을 당하자 자살함.
?~3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포숙아(鮑叔牙)
중국 춘추전국시대 제(齊) 나라의 대부. 관중(管仲)의 절친한 친구로, 제 나라 환공(桓公)에게 관중을 천거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