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하공진(河拱辰)
고려 성종(成宗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거란군이 침입하자 거란의 성종(聖宗)을 만나 군대를 철수시키는 데 공을 세웠으나, 고영기(高英起)와 함께 거란의 볼모로 잡혀가 거란의 신하가 될 것을 강요받다가 거절하여 살해됨.
?~1011 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하광국(河光國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. 광해군(光海君)~현종(顯宗) 때의 학자인 하홍도(河弘度)의 아버지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하구수(河求水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예조 정랑(禮曹正郞) 하응림(河應臨)의 생부이며 목사(牧使) 하억수(河億水)의 종제(從弟)로, 북부 참봉(北部參奉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하기(何基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황간(黃榦)의 문인(門人)으로, 주희(朱熹)의 학문을 전수받았으며, 왕백(王柏)ㆍ김이상(金履祥)ㆍ허겸(許謙) 등과 함께 ‘금화사선생(金華四先生)’으로 일컬어짐.
1188~126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하남사설(河南師說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인 한원길(韓元吉)의 저서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하남집(河南集)
중국 송(宋) 나라 휘종(徽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소백온(邵伯溫)의 저서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하담(河澹)
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하강지(河綱地)ㆍ하위지(河緯地)ㆍ하기지(河紀地)ㆍ하소지(河紹地)의 아버지로, 1402년(태종 2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청송 군사(靑松郡事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하당집(荷塘集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권두인(權斗寅)의 시문집. 1810년(순조 10) 저자의 5대손인 권재덕(權載德)이 주관하여 원집 8권과 속집 2권을 목판으로 간행함.
1810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하륜(河崙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《동국사략(東國史略)》과 《태조실록(太祖實錄)》 등을 편찬함. 외교정책에 능하여 명(明) 나라와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등 조선왕조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크게 기여함.
1347~1416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하매(何邁)
중국 남북조시대 송(宋) 나라 효무제(孝武帝) 때의 무신. 영삭장군(寧朔將軍) 등을 지냈으나, 진안왕(晉安王) 유자훈(劉子勛)을 옹립하려다 실패하여 전폐제(前廢帝)에게 주륙(誅戮) 당함.
?~464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하맹보(河孟寶)
조선 인종(仁宗)~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. 노진(盧禛)의 문인(門人)으로, 노진을 애도하며 지은 제문(祭文)이 《옥계집(玉溪集)》에 실려 있으며, 함양(咸陽)의 구천서원(龜川書院)에 배향됨.
1531~159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유학
-
하몽계(何夢桂)
중국 송(宋) 말~원(元) 초의 문신ㆍ학자. 송 나라 도종(度宗) 때 감찰어사(監察御使) 등을 지냈으나, 나라의 국운이 기울자 소유원(小酉源)에 은거함. 《주역(周易)》에 정통하고, 저서에 《잠재집(潛齋集)》 등이 있음.
중국>원ㅣ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하백(河伯)
고대 전설상의 황하(黃河)의 수신(水神). 고구려의 시조 동명왕(東明王)의 외조부이며, 낙수(洛水)의 여신(女神) 복비(宓妃)의 남편이라고 알려짐.
고대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하복(夏馥)
중국 후한(後漢) 영제(靈帝) 때의 문신ㆍ은자. 당고(黨錮)의 화를 피해 이름을 숨기고 대장간에서 고용살이를 하다가 여생을 마침. 덕행으로써 팔고(八顧)의 한 사람으로 불림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ㅣ인명>관인>문신
-
하빈(河濱)
경상북도 대구(大丘) 북서쪽에 있는 고을 이름. 서쪽으로 성주(星州)를 접하고 있음.
경상도>대구 , 지명>행정지명
-
하상지(何尙之)
중국 남북조시대 송(宋) 나라 문제(文帝) 때의 문신. 학식과 덕망이 높아 문제에게 총애를 받았으며, 상서령(尙書令) 등을 지냄.
382~460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하서전집(河西全集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인후(金麟厚)의 문집. 15권. 김인후의 문인인 양자징(梁子澂)ㆍ신각(申覺)이 편집ㆍ교정하여, 전라도 관찰사(全羅道觀察使) 송찬(宋贊)의 도움으로 간행함. 조희문(趙希文)의 서문(序文)이 있음.
1568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문헌>서명
-
하성(河成)
고려시대의 문신. 진주하씨(晉州河氏) 단계공파(丹溪公波)의 시조로, 주부(主簿)를 지냄.
한국>고려시대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하세연(河世涓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김구(金絿)의 《자암집(自庵集)》에 그에게 써 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남해 , 인명>문사>유학
-
하소(何劭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신. 하증(何曾)의 아들로, 젊은 시절 훗날 무제(武帝)가 된 사마염(司馬炎)과 친하게 지냈으며, 진 나라 개국 후 태자태사(太子太師) 등을 지냄. 박학(博學)하고 속문(屬文)을 잘하였으나 매우 교만하고 사치를 부림.
?~301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