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윤집(尹集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. 윤형갑(尹衡甲)의 아들로, 삼학사(三學士)의 한 사람. 병자호란 때 청(淸)과의 화의를 적극 반대하다가 오달제(吳達濟)ㆍ홍익한(洪翼漢)과 함께 중국 심양(瀋陽)에 끌려가 순절함.
1606~163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윤집형(尹執衡)
고려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상서 좌복야(尙書左僕射) 윤금강(尹金剛)의 아들이자, 문숙공(文肅公) 윤관(尹瓘)의 아버지로, 검교 소부소감(檢校小府少監)을 지냈으며, 상서 우복야(尙書右僕射)에 추증됨.
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윤징(尹澂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무송(茂松). 사간원 우정언(司諫院右正言) 윤미견(尹彌堅)의 아들이며, 문경공(文敬公) 허조(許稠)의 외손자로, 영원 군수(寧遠郡守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무장 , 인명>관인>문신
-
윤징(尹澄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남원(南原). 사간원 사간(司諫院司諫) 윤시영(尹時英)의 아들로, 아들인 용릉군(龍陵君) 윤우신(尹又新)의 공으로 인해 영의정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문사>유학
-
윤찬(尹贊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형(尹炯)의 아들로, 형조 참판(刑曹參判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윤창(尹敞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진현관 제학(進賢館提學) 윤취(尹就)의 아들이자, 파원군(坡原君) 윤평(尹泙)의 아버지로, 인수부 윤(仁壽府尹)을 지냈으며, 호조 판서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윤창명(尹昌鳴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칠원(漆原)으로, 윤신(尹信)의 아들. 정자(正字)를 지냈으며, 유몽인(柳夢寅)ㆍ구사맹(具思孟) 등과 교유함.
1537~?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윤창세(尹昌世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파평(坡平). 이조 참의(吏曹參議) 윤황(尹煌)의 아버지로, 임진왜란 때 향병(鄕兵)을 모집하여 싸우다 병으로 죽었으며, 이조 참판(吏曺參判)에 추증됨.
1543~1593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윤척(尹陟)
고려 충정왕(忠定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윤안숙(尹安淑)의 아들로, 우부대언(右副代言)을 지냈으며, 홍건적(紅巾賊)의 침입 때 수도를 수복한 공으로 공신(功臣)에 책록됨.
?~1384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윤철(尹轍)
조선 전기의 문신. 송화 현감(松禾縣監)으로 있을 때 지은 건물에 김주(金澍)가 조경헌(照鏡軒)이라 이름하고 시를 지은 것이 《우암유집(寓庵遺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윤춘년(尹春年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안인(尹安仁)의 아들로, 윤원형(尹元衡)의 세력에 가담하여 대윤(大尹) 일파와 윤원로(尹元老) 제거에 앞장서고, 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지냄.
1514~156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윤취(尹就)
고려 우왕(禑王)~공양왕(恭讓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밀직부사(密直副使)를 지낼 때 천추사(千秋使)로 명(明) 나라에 다녀왔으며, 지밀직사사(知密直司事) 등을 역임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윤탁(尹倬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중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사은(尹師殷)의 아들이며, 김굉필(金宏弼)의 문인(門人)으로, 개성부 유수(開城府留守) 등을 역임하였고, 학문이 높아 조광조(趙光祖) 등에게 도학(道學)을 가르침.
1472~153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윤탁(尹鐸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훈련원 부정(訓練院副正)을 역임하였으며, 임진왜란 때 박사겸(朴思謙) 등과 향리에서 의병을 일으키고 곽재우(郭再祐)와 함께 많은 공을 세웠으나, 진주(晉州)에서 김천일(金千鎰) 등과 함께 전사함.
1554~1593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무신
-
윤탁연(尹卓然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칠원(漆原). 윤이(尹伊)의 아들이며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종계변무(宗系辨誣) 때 공을 세워 광국공신(光國功臣)에 책록됨. 시문에 능하여 이산해(李山海) 등과 함께 ‘팔문장(八文章)’으로 일컬어짐.
1538~159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칠원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윤탄(尹坦)
조선 예종(睿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윤삼산(尹三山)의 아들이며, 성종(成宗) 계비(繼妃)인 정현왕후(貞顯王后)의 숙부로, 중종 즉위 후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되고, 판돈녕부사(判敦寧府事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윤탕(尹宕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으로, 윤사하(尹師夏)의 아들. 1507년(중종 2) 증광시(增廣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상주 목사(尙州牧使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윤탕로(尹湯老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윤호(尹壕)의 아들이며, 성종의 계비(繼妃)인 정현왕후(貞顯王后)의 오빠. 중종 때 정국공신(靖國功臣)과 정난공신(靖難功臣)에 책록되고, 판중추부사(判中樞府事) 등을 지냄.
?~150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윤택(尹澤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무송(茂松). 1317년(충숙왕 4)에 등제하여 밀직제학ㆍ개성부윤 등을 지냄. 정직ㆍ검소하였으며, 공민왕에게 유학에 힘쓸 것을 권하고 치국의 길을 직언함. 저서로 《율정집(栗亭集)》이 있음.
1289~1307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금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윤통(尹統)
조선 전기의 문신. 유방선(柳方善)의 《태재집(泰齋集)》에 부모를 모시기 위해 벼슬을 버리고 돌아가는 그를 전송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