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윤휘(尹暉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평(海平). 윤두수(尹斗壽)의 셋째 아들이며 성혼(成渾)의 문인.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 왕의 특명전권대사(特命全權大使)로 청(淸) 나라와의 강화조약을 체결하는 등, 청 나라와의 외교를 전담함.
1571~164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윤휴(尹鑴)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남원(南原). 주자(朱子)의 학설과 사상을 비판ㆍ반성하는 독자적 학문체계를 수립하고, 기해예송(己亥禮訟) 때 참최설(斬衰說)을 주장하여 서인(西人)과 대립함. 경신출척(庚申黜陟) 때 유배되었다가 사사(賜死)됨.
1617~1680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윤흔(尹昕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평(海平)으로, 윤두수(尹斗壽)의 둘째 아들이며 성혼(成渾)의 문인. 이괄(李适)의 난(亂)ㆍ정묘호란(丁卯胡亂)ㆍ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 왕을 호종하고,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564~163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윤흠중(尹欽中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해남(海南). 윤복(尹復)의 아들이며,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벼슬하지 않고 은거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해남 , 인명>문사>유학
-
윤흥(尹興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해평(海平). 율곡(栗谷) 이이(李珥)의 문인(門人)으로, 노인을 우대하는 은전(恩典)을 입어 통정대부(通政大夫)에 오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윤흥례(尹興禮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임(尹任)의 셋째 아들로, 감역(監役) 등을 지내고,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사사됨.
?~1545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윤흥의(尹興義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임(尹任)의 둘째 아들로, 1543년(중종 3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아버지와 삼형제가 모두 사사됨.
?~154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윤흥인(尹興仁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파평(坡平)으로, 윤임(尹任)의 첫째 아들이며, 안세형(安世亨)의 사위. 형조 정랑(刑曹正郞) 등을 지냈으나, 정미사화(丁未士禍)에 연루되어 사사됨.
?~1547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무신
-
윤흥종(尹興宗)
조선 전기의 유학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이정형(李廷馨)의 《지퇴당집(知退堂集)》에 옷감을 보내 준 그에게 사례하는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윤희(尹喜)
중국 주(周) 나라의 대부(大夫). 함곡관 윤(函谷關尹)을 지낼 때 서역(西域)으로 가던 노자(老子)가 함곡관(函谷關)을 지나가자 제자(弟子)의 예를 갖추고 《도덕경(道德經)》 오천언(五千言)을 받았다 함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윤희(尹熺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경승부윤(敬承府尹) 윤규(尹珪)의 아들이며, 중부 참봉(中部參奉) 윤귀몽(尹龜蒙)의 아버지로, 선공감 직장(繕工監直長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윤희길(尹希吉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항(尹沆)의 아들로, 강원도 관찰사(江原道觀察使)를 지내고, 이이(李珥)ㆍ고경명(高敬命) 등과 도의(道義)로 교유함.
1534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윤희렴(尹希廉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공조 판서(工曹判書) 윤국형(尹國馨)의 아버지로, 경산 현령(慶山縣令) 등을 지내고, 좌승지(左承旨)ㆍ이조 판서(吏曹判書)에 추증됨. 학행(學行)으로 이름이 남.
1517~157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윤희림(尹希琳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해평(海平). 군자감 정(軍資監正) 윤변(尹忭)의 아버지로, 부사용(副司勇) 등을 지내고 의정부 좌찬성(議政府左贊成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무신
-
윤희성(尹希聖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(門人)으로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화를 당한 사림(士林)의 억울함을 상소하여 조광조의 관작을 회복시킴. 사헌부 지평(司憲府持評)ㆍ이조 정랑(吏曹正郞) 등을 지냄.
?~154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윤희이(尹希夷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파평군(坡平君) 윤곤(尹坤)의 아들이며, 윤신(尹信)의 아버지로, 공정고사(供正庫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윤희인(尹希仁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준정(尹俊丁)의 아들로, 남곤(南袞)ㆍ심정(沈貞) 등과 함께 조광조(趙光祖)를 비롯한 사림파의 신진세력을 배척하였으며, 이조 참판(吏曹參判) 등을 역임함.
1465~153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윤희제(尹希齊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으로, 파평군(坡平君) 윤곤(尹坤)의 아들이며, 광주 목사(廣州牧使) 윤은(尹垠)의 아버지. 한성부 판사(漢城府判事) 등을 지내고, 찬성(贊成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윤희주(尹希周)
조선 전기의 유학. 십성당(十省堂) 엄흔(嚴昕)과 같이 자란 동갑내기 죽마고우(竹馬故友).
1508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윤희평(尹熙平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해주(海州)로, 중추원 부사(中樞院副使) 윤길생(尹吉生)의 아들.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참여하여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되고, 삼포왜란(三浦倭亂) 때 왜적 토벌에 활약하였으며,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469~1545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