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이각(李殼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이선(李墠)의 아버지로, 1516년(중종 11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영월 군수(寧越郡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각(李覺)
중국 송(宋) 나라의 서화가. 글씨와 거문고에 능하였으며, 특히 산수화(山水畫)에 뛰어났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이간(李侃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일곱 번째 서자(庶子)인 익양군(益陽君)의 손자이며, 황양정(荒壤正) 이수린(李壽麟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간(李衎)
중국 원(元) 나라의 문신ㆍ서화가. 절강행성평장정사(浙江行省平章政事) 등을 지내고, 대나무ㆍ돌ㆍ나무 등을 잘 그려 당대에 이름을 떨침.
1245~1320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이간(李幹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풍덕 군수(豐德郡守) 이광윤(李光胤)의 아들로, 온양 군수(溫陽郡守)ㆍ첨지(僉知) 등을 지냄.
1527~1598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감(李堪)@이강의아들
조선 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성종(成宗)의 아들인 회산군(檜山君) 이염(李恬)의 증손이며, 의성부정(義城副正) 이강(李鋼)의 맏아들.
1556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감(李堪)@이길안의아들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종친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길안(李吉安)의 아들로, 전주 부윤(全州府尹) 등을 지내고, 이륙(李陸)ㆍ홍귀달(洪貴達)ㆍ성현(成俔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감(李戡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우계(羽溪)로, 참판(參判) 이광식(李光軾)의 아들. 윤원형(尹元衡)ㆍ이량(李樑) 등과 결탁하여 기대승(奇大升)ㆍ허엽(許曄) 등 사림(士林)을 공격하는 데 가담하였으며, 대사헌(大司憲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감(李敢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밀양 도호부사(密陽都護府使) 등을 지냈으며, 권근(權近)의 《양촌집(陽村集)》에 그에 대한 자설(字說)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감(李瑊)@이집의아들
조선 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희안수(喜安守) 이집(李輯)의 아들이며, 의정부 사인(議政府舍人) 이성중(李誠中)ㆍ예조 정랑(禮曹正郞) 이경중(李敬中)ㆍ사간원 헌납(司諫院獻納) 이양중(李養中)의 아버지.
1515~155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감(李瑊)@이계손의아들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넷째 서자인 선성군(宣城君) 이무생(李茂生)의 증손이며, 풍무령(豊茂令) 이계손(李繼孫)의 아들.
?~154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감(李甘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. 성품이 강직하여 시어사(侍御史)를 지낼 때 교활한 정주(鄭注)에게 재상 임명장이 내려지자 이것을 찢어버렸다가 죄를 얻어 좌천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감(李鑑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남양도호부사(南陽都護府使) 이경충(李景忠)의 아들로, 1543년(중종 3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였으며, 군수(郡守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강(李岡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이암(李嵒)의 아들로, 죽은 후 관례를 깨고 특별히 시호를 받았으며, 이색(李穡)의 《목은집(牧隱集)》에 그의 묘지명(墓誌銘)이 실려 있음.
1333~1368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강(李絳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. 792년 당 나라 정원(貞元) 8년에 구양첨(歐陽詹)ㆍ한유(韓愈) 등과 함께 육지(陸贄)의 방(榜)에 합격하였는데, 당시 사람들에게 용호방(龍虎榜)이라는 칭호를 들음.
764~83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강(李綱)@이순언의아들
조선 중중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음사(蔭仕)로 음죽 현감(陰竹縣監) 등을 지내고, 벼슬에서 물러난 후 김안국(金安國)과 내왕하며 은사(隱士)로서 여생을 보냄.
1479~152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강(李綱)@송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금(金) 나라와의 화친을 반대한 주전론자(主戰論者)로서 송 나라의 국력을 신장시키고자 노력하였으며, 금 나라 군대를 공격하다가 화친 조약을 어겼다는 죄목으로 파직당함.
1083~114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강(李鋼)@이수계의아들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아들인 회산군(檜山君) 이염(李恬)의 손자이며 계산군(桂山君) 이수계(李壽誡)의 둘째 아들. 또한 경력(經歷)을 지낸 한여필(韓汝弼)의 사위이며, 한백겸(韓百謙)의 고모부. 휴암(休菴) 백인걸(白仁傑)의 문하에서 수학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강(李鋼)@조선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다섯 번째 서자인 밀성군(密城君) 이침(李琛)의 손자로, 이방석(李芳碩)의 계후(繼後)가 된 숙부 춘성군(春城君) 이당(李譡)의 후사를 이었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개(李塏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으로, 이계주(李季疇)의 아들. 훈민정음(訓民正音) 창제 등에 공헌하였으나, 단종(端宗)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처형됨으로써 사육신(死六臣)의 한 사람이 됨.
1417~145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