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이경례(李鏡禮)
조선 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동원(東園) 김귀영(金貴榮)의 사위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경부(二京賦)
중국 후한의 문신ㆍ문인인 장형(張衡)이 장안(長安)과 낙양(洛陽)의 사치한 풍속을 풍자한 부문(賦文). 《동경부(東京賦)》와 《서경부(西京賦)》의 합칭.
중국>후한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이경생(李敬生)
조선 전기의 종친. 예조 참판(禮曹參判)을 지낸 최명창(崔命昌)의 장녀와 혼인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경석(李景奭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김장생(金長生)의 문인. 이괄(李适)의 난과 병자호란 때 인조를 호종하고, 청(淸) 나라의 침략으로 인한 위기에서 국가를 구하는 데 큰 공을 세웠으며, 삼전도비(三田渡碑)의 비문을 씀.
1595~1671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경신(李敬身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전의(全義).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이권(李勸)의 아들로, 봉사(奉事) 이매(李勱)에게 출계함. 동부승지(同副承旨) 이성신(李省身)의 아우이며 이치신(李致身)의 형.
1585~1658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문사>유학
-
이경억(李慶億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판서(判書) 이시발(李時發)의 아들이며 이조 판서(吏曹判書) 이경휘(李慶徽)의 동생으로, 좌의정(左議政) 등을 지냄.
1620~167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경엄(李景嚴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연릉부원군(延陵府院君) 이호민(李好閔)의 아들로, 1610년(광해군 2) 알성시(謁聖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한성부 판윤(漢城府判尹) 등을 지냄.
1579~1652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경여(李敬輿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이괄(李适)의 난과 병자호란 때 인조(仁祖)를 호종하고, 1642년(인조 20) 배청친명파(背淸親明派)로 청 나라 연호를 쓰지 않았다는 밀고를 받고 심양(瀋陽)에 끌려가 억류되었다가 풀려났으며, 영의정(領議政) 등을 지냄.
1585~165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경온(李景蘊)
조선 전기의 유학. 유헌(游軒) 정황(丁熿)과 교유하여, 《유헌집(游軒集)》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이경우(李慶祐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목사(牧使) 이경희(李慶禧)의 형으로, 장령(掌令) 등을 지냄.
1508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경유(李慶裕)
조선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첨지(僉知) 이간(李幹)의 아들로, 영암 군수(靈岩郡守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경윤(李慶胤)
조선 전기의 종친ㆍ화가. 청성군(靑城君) 이걸(李傑)의 맏아들이며, 이중윤(李仲胤)ㆍ이영윤(李英胤)의 형. 그림을 잘 그리고, 특히 산수인물화(山水人物畵)에 뛰어남. 조선 중기 화단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사람으로 절파화풍의 정착에도 큰 역할을 함.
1545~1611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왕실>종친
-
이경의(李景義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 군량을 조달하고 어가(御駕)를 호종하였으며, 이조 참판(吏曹參判) 등을 역임함. 이안눌(李安訥)과 친교를 맺었으며 문장가로 이름이 높았음.
1590~1640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경일(李敬一)
조선 영조(英祖)~순조(純祖) 때의 문신ㆍ시인. 본관은 경주(慶州). 진사(進士) 이종열(李宗悅)의 아들로, 도사(都事) 이종악(李宗岳)에게 출계함. 좌의정 등을 지내고, 저서에 《청헌유고(聽軒遺稿)》가 있음.
1734~1820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이경장(李敬長)@정세창의사위
조선 전기의 종친. 장연 현감(長淵縣監)을 지낸 정세창(鄭世昌)의 딸과 혼인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경장(李敬長)@이혼의아들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이혼(李渾)의 아들로,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 송기수(宋麒壽)의 《추파집(秋坡集)》에 그의 묘갈명(墓碣銘)이 실려 있음.
1482~1561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경전(李慶全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이산해(李山海)의 아들로, 문필이 뛰어났으며, 유영경(柳永慶)을 탄핵하다가 유배생활을 하였고, 병자호란 후 병을 핑계로 삼전도(三田渡)의 비문 작성의 명을 거절하였으며, 형조 판서(刑曹判書) 등을 역임함.
1567~1644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경절(李景節)
조선 후기의 학자. 본관은 덕수(德水). 이우(李瑀)의 아들로, 광해군(光海君)의 폐모론(廢母論)에 반대하고,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킴. 서(書)ㆍ화(畫)ㆍ금(琴)에 능하여 ‘삼절(三絶)’로 불림.
1571~164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학자
-
이경종(李慶宗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이주(李澍)의 아버지로, 여산 군수(礪山郡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경주(李擎柱)
조선 전기의 문인. 덕계(德溪) 오건(吳健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문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