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공산불요(公山弗擾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 계씨(季氏)의 가신(家臣). 계씨(季氏)를 배반하고 비읍(費邑)을 점거하여 반란을 일으키면서 공자(孔子)를 불렀다는 내용이 《논어(論語)》 〈양화(陽貨)〉편에 실려 있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공상린(孔祥麟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1528년(중종 23)에 별시(別試)에 급제하여, 사간원 정언(司諫院正言)과 예조 좌랑(禮曹佐郞)을 지냄.
?~1537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공서(功西)
조선 인조(仁祖) 때 서인(西人)에서 갈린 당파. 1623년 인조반정(仁祖反正)으로 정권을 잡은 서인 중 반정에 소극적이었던 김상헌(金尙憲) 중심의 일파를 청서(淸西)라 하고, 인조반정에 가담한 김류(金瑬)ㆍ이귀(李貴)ㆍ김자점(金自點)ㆍ신경진(申景禛) 등을 공서라 함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집단>조직
-
공서린(孔瑞麟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김굉필(金宏弼)의 문하생으로 조광조(趙光祖)와 친교를 맺었으며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투옥되었다가 풀려남.
1483~154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원 , 인명>관인>문신
-
공서적(公西赤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 사람. 공자(孔子)의 제자 중의 한 사람으로 제사(祭祀)와 빈객(賓客)의 예에 뛰어남.
B.C.509~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공성인열양황후(恭聖仁烈楊皇后)
중국 송(宋) 나라의 제13대 영종(寧宗)의 비(妃). 의남매 사이인 양차산(楊次山)ㆍ예부 시랑(禮部侍郎) 사미원(史彌遠)과 결탁하여 권력을 잡아 이종(理宗)을 세우고 태후(太后)가 됨.
1162~123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공손광(公孫光)
중국 전한(前漢)의 명의(名醫). 순우의(淳于意)의 스승으로, 의술에 뛰어났으며 비방(秘方)을 순우의에게 전수해 주고 공승양경(公乘陽慶)에게 순우의를 제자로 추천해 줌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기술인>의원
-
공손교(公孫僑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정(鄭) 나라의 재상. 정(鄭) 목공(穆公)의 손자로, 춘추전국시대 제일의 외교가로 꼽힘. 예법(禮法)으로 안을 다스리고 구설(口舌)로 밖을 제어하므로, 당시 강국인 진(晉)과 초(楚)의 침략을 받지 않았음.
?~B.C.522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공손녕(孔孫寧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陳) 나라의 대부. 대부 하징서(夏徵舒)의 어머니인 하희(夏姬)와 정을 통하는 등 행실이 음란하여 물의를 빚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공손도(公孫度)
중국 삼국시대 위(魏) 나라 연왕(燕王) 때의 문신. 요동 태수(遼東太守)를 지내며 요동후(遼東侯)라 자칭함.
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공손술(公孫述)
중국 후한(後漢) 때의 역적. 왕망(王莽)의 부하였다가 경시제(更始帝)가 반란을 일으키자 군사를 일으켜 촉(蜀)ㆍ파(巴) 나라를 평정한 뒤 스스로 황제라 칭하고 나라를 성가(成家)라고 하였으나, 광무제(光武帝)에게 멸망됨.
?~36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역적
-
공손앙(公孫鞅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衛) 나라의 공자(公子). 법가(法家)의 대표적인 인물로, 진(秦) 효공(孝公)을 도와 법령을 제정하는 등 진제국(秦帝國) 성립의 기반을 세웠으나, 가혹한 법 집행으로 인해 미움을 받아 처형됨.
B.C.390~B.C.338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공손연(公孫淵)
중국 삼국시대 위(魏) 나라의 문신. 위 나라를 도와 요동 태수(遼東太守)가 되었다가 자립하여 연(燕) 나라를 세우고 왕을 자칭하였으나, 위 나라 사마의(司馬懿)에 의해 토벌되어 멸망함.
?~238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공손연(公孫衍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魏) 나라의 대부. 장의(張儀)와 함께 여러 제후국을 유세(遊說)함. 일찍이 서수(犀首)를 지내 이것이 그의 이칭이 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공손저구(公孫杵臼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晉) 나라의 의인(義人). 조삭(趙朔)의 문객(門客)으로, 진 나라 대부(大夫) 도안가(屠岸賈)가 조삭의 일족(一族)을 살해하자 정영(程嬰)과 함께 조삭의 고아(孤兒)를 조씨의 후계자로 세울 일을 도모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공손홍(公孫弘)
중국 전한(前漢) 무제(武帝) 때의 승상(丞相). 집이 가난하여 해변에서 돼지를 먹이다가 나이 40이 넘은 뒤에 벼슬에 올라 재상이 되어 평진후(平津侯)에 봉해짐. 최초의 승상봉후(丞相封侯).
B.C.200~B.C.121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공수(工倕)
중국 고대 당요(唐堯) 시대의 목수. 춘추전국시대의 공수반(公輸班)과 함께 유명한 교장(巧匠)으로 알려짐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술인>장인
-
공수(龔遂)
중국 한(漢) 나라의 문신. 발해군(渤海郡) 난민(亂民)을 잘 다스려 양민(良民)으로 만들어서, 백성을 잘 다스린 관리의 전형으로 칭송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공수반(公輸班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명장(名匠). 고전(古典)과 고사성어(故事成語)에도 인용될 만큼 솜씨가 매우 뛰어났다고 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술인>장인
-
공숙단(共叔段)
중국 춘추전국시대 정(鄭) 나라 장공(莊公)의 동생. 어머니 무강(武姜)과 내통하여 반역을 꾀했으나, 장공이 이들의 계획을 알고 공숙단의 군대를 격퇴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