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이교연(李皎然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이선(李旋)의 아들로, 세조(世祖) 때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형조 참판(刑曹參判) 등의 주요 관직을 지냄.
1413~147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이교익(李喬翼)
조선 철종(哲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1858년(철종 9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공조 판서(工曹判書)ㆍ협판내무부사(協辦內務府事) 등을 지냄.
1830~1890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구(李久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생원학. 본관은 성주(星州). 이자견(李自堅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이구(李構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이세준(李世俊)의 아들로, 관직에 진출하여 선정(善政)을 베풀기 위해 노력하였으나,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인해 파직된 후 낙향하여 후진 양성에 힘씀.
1484~153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구(李玖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종친. 의신군(義信君) 이비(李備)의 아들. 정묘호란(丁卯胡亂) 때 청(淸) 나라에서 왕자를 볼모로 요구하자, 왕자 대신 볼모가 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구(李球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종친ㆍ학자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증손으로, 서경덕(徐敬德)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주기설(主氣說)을 계승하여 발전시킴.
?~157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왕실>종친
-
이구(李矩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신. 여류 서예가인 위삭(衛鑠)의 남편으로, 여음 태수(汝陰太守) 등을 지냄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구(李耈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(利城君) 이관(李慣)의 손자이자, 경양도정(景陽都正) 이수환(李壽環)의 첫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구(李覯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친하게 지내던 범중엄(范仲淹)의 추천으로 태학설서(太學說書) 등을 지냈으며, 언변과 문장에 능하고 경술(經術)에 통달함.
1009~105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이구령(李九齡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이계준(李繼俊)의 아버지로,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구산(尼丘山)
중국 산동성(山東省) 곡부현(曲阜縣) 동남쪽에 있는 산 이름. 공자(孔子)의 어머니인 안징재(顔徵在)가 기도하여 공자를 낳은 곳으로 유명함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이구인(李求仁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춘추관 편수관(春秋館編修官)으로 《명종실록(明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하였으며, 종부시 첨정(宗簿寺僉正) 등을 지냄.
1524~1569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이구직(李丘直)
고려 말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이정간(李貞幹)의 아버지로, 문음(門蔭)으로 관계에 나아가 형조 판서(刑曹判書) 등을 지냄. 조선이 개국하자 개국원종공신(開國原從功臣)에 책록되고 호조 전서(戶曹典書) 등을 지냄.
?~1394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이국량(李國樑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영천(永川). 이현준(李賢俊)의 아들이며,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이자 조카사위로, 1546년(명종 1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1517~155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유학
-
이국필(李國弼)
조선 전기의 유학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물암(勿巖) 김륭(金隆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이군산방기(李君山房記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시인인 소식(蘇軾)이 지은 기(記). 이상(李常)이 여산(廬山)의 백석승사(白石僧舍)에 만 권의 장서를 쌓아 두고는 이씨산방(李氏山房)이라 하였는데, 이에 대해 소식이 기를 지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이궁지(離宮址)
황해도 우봉(牛峯)의 영취봉(靈鷲峯) 아래에 있던 고려의 별궁터. 고려 목종(穆宗)과 현종(顯宗)이 머물렀던 곳.
한국>고려전기 , 황해도>우봉 , 유적>건물>궁궐
-
이권(李勸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로, 부제학(副提學) 이해수(李海壽)의 아들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이해수와 함께 선조를 의주(義州)까지 호종하고, 인조반정(仁祖反正) 이후 장악원 정(掌樂院正)ㆍ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555~163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이귀(李貴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이정화(李廷華)의 아들로, 이이(李珥)ㆍ성혼(成渾)의 문하에서 수학함. 임진왜란 때 난후 수습에 힘쓰고, 인조반정(仁祖反正)에 성공하여 정사공신(靖社功臣)에 책록됨.
1557~163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이귀(李龜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유학 이영우(李永祐)의 아버지. 무오(戊午)ㆍ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인 동생 이원(李黿)에게 연좌되어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재기용되어 장례원 판결사(掌隷院判決事) 등을 지냄.
1469~152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