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이순(李諄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(謹寧君) 이농(李襛)의 증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순(李純)@조선전기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성혼(成渾)ㆍ이위빈(李渭濱)ㆍ김경삼(金景參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순(李純)@이형문의아들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덕산(德山). 여주 목사(驪州牧使) 등을 지냈으며, 학문으로 이름이 높아 김안국(金安國)ㆍ이황(李滉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덕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이순(李詢)@이승건의아들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우봉(牛峰)으로, 예조 판서(禮曹判書) 이승건(李承健)의 아들이며 이지충(李之忠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우봉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순(李詢)@이호의아들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세 번째 서자인 의창군(義昌君) 이공(李玒)의 손자이며, 사산군(蛇山君) 이호(李灝)의 아들.
1465~153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순도(李純道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인. 이황(李滉)의 손자로, 조목(趙穆) 등에게 수학하고 학문에 전심하였으나, 친상(親喪)의 거상중에 병으로 죽음.
1554~158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문인
-
이순민(李舜民)
조선 전기의 종친. 전중(殿中)을 지낸 윤홍언(尹弘彦)의 장인으로, 장림수(長臨守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순생(李順生)
조선 전기의 문인. 본관은 합천(陜川)으로, 호조 참판(戶曹參判)을 지낸 이윤검(李允儉)의 아버지. 학문을 좋아했으나 벼슬하지 않고, 후에 병조 참판(兵曹參判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문사>문인
-
이순수(李順壽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이유언(李幼彦)의 아들이며, 능평군(綾平君) 구희경(具希璟)의 사위로, 군기시 정(軍器寺正) 등을 지냄.
1500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순신(李舜臣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덕수(德水). 삼도수군통제사(三道水軍統制使)로서 임진왜란 때 여러 해전에서 연전연승을 거두었으나 노량해전(露梁海戰)에서 전사함. 선무공신(宣武功臣)에 책록되고, 시문(詩文)에도 능하여 《난중일기(亂中日記)》등의 저서를 남김.
1545~1598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이순인(李純仁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이중호(李仲虎)ㆍ이황(李滉)ㆍ조식(曺植)의 문인으로, 이이(李珥) 등과 교유하였으며, 특히 문장에 뛰어나 당시 이산해(李山海) 등과 함께 ‘팔문장(‘八文章)’으로 불림. 광해군(光海君) 때 위성공신(衛聖功臣)에 책록됨.
1533~159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이순정(李順丁)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(德泉君) 이후생(李厚生)의 손자이며, 신종군(新宗君) 이효백(李孝伯)의 셋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순증(李順曾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이귀손(李龜孫)의 아들로, 1520년(중종 15년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익산 군수(益山郡守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순형(李純亨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덕수(德水). 이난(李蘭)의 아들로, 명종(明宗) 때 진위사(陳慰使)로서 명(明) 나라에 다녀오고, 지방관을 두루 역임하였으며, 한성부 좌윤(漢城府左尹)까지 지냄.
1498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숭경(李崇慶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인. 본관은 전의(全義). 성균 생원(成均生員) 이정(李頲)의 아들로, 시(詩)와 초서(草書)에 뛰어났으며, 박순(朴淳)ㆍ임억령(林億齡) 등 당대의 명사들과 교유함.
1510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문사>문인
-
이숭문(李崇文)
고려 후기의 무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이원구(李元具)의 아들이며, 도은(陶隱) 이숭인(李崇仁)의 아우로, 흥위위 대호군(興威衛大護軍)을 역임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숭원(李崇元)
조선 단종(端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이보정(李補丁)의 아들로, 성종 때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되고 병조 판서(兵曹判書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중종 때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됨.
1428~1491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이숭인(李崇仁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공양왕(恭讓王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성주(星州). 삼은(三隱)의 한 사람으로, 이색(李穡)에게 수학하고 정몽주(鄭夢周)ㆍ정도전(鄭道傳) 등과 교유하였으나, 조선 개국에 앞서 정도전의 심복인 황거정(黃巨正)에 의해 피살됨.
1347~1392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이승(李勝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도안(道安)으로, 첨정(僉正) 이인우(李仁佑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안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승(李昇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이연손(李延孫)의 아버지. 전농판관(典農判官)을 지내고, 이조 참판(吏曹參判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