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이승도(李承渡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서원(西原). 의곡(義谷) 이방직(李邦直)의 아들로, 삼사 좌윤(三司左尹)을 지냄. 공민왕(恭愍王)으로부터 이름에 대한 어찰(御札)을 받았으며, 권근(權近)이 지은 명찬(名讚)이 《양촌집(陽村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승려(李承呂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양성(陽城). 이온(李蒕)의 셋째 아들이고, 이승소(李承召)ㆍ이승주(李承周)의 아우로, 현감(縣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승상(李升商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달충(李達衷)의 손자로, 제2차 왕자(王子)의 난(亂)을 평정하는 데 협력한 공으로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형조 판서(刑曹判書) 등을 역임함.
?~141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이승상(李承常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장양부정(長陽副正) 이주(李儔)의 아들이자 이조 참판(吏曹參判) 이식(李拭)의 아버지로, 1528(중종 23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였으며 죽산 현감(竹山縣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승소(李承召)
조선 태종(太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성(陽城). 좌참찬(左參贊) 등을 지내고, 성종 때 신숙주(申叔舟) 등과 함께 《국조오례의(國朝五禮儀)》를 편찬함. 당대의 문장가로 예악(禮樂)ㆍ음양(陰陽)ㆍ율력(律曆) 등 여러 방면에 조예가 깊음.
1422~148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승손(李承孫)@1474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(敬寧君) 이비(李裶)의 손자이며, 모양군(牟陽君) 이직(李稙)의 아들.
1474~1515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승손(李承孫)@1394
조선 태종(太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세종(世宗) 때 북변(北邊)의 이만주(李滿住)를 정벌하는 데 공을 세웠고, 세조 때 좌익원종공신(佐翼原從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의정부 우찬성(議政府右贊成) 등을 역임함.
1394~146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승수(李承須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산(陽山). 진사(進士) 이강(李絳)의 아들로, 1516년(중종 11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였으며, 성균관 직강(成均館直講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승언(李承彦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김굉필(金宏弼)과 함께 김종직(金宗直)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, 한성부 참군(漢城府參軍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승원(李承元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로, 이천 도호부사(利川都護府使)를 지낸 이유온(李有溫)의 아버지. 선전관(宣傳官)ㆍ공조 낭관(工曹郞官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삼가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승은(李承恩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익녕군(益寧君) 이치(李袳)의 맏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승종(李承宗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인천(仁川). 함양 군수(咸陽郡守) 등을 지냈으며, 1488년(성종 19) 진주(晉州) 촉석루(矗石樓)에서 김일손(金馹孫) 등과 금란계(金蘭契)를 맺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인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승주(李承周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양성(陽城). 이온(李蒕)의 아들이며 좌참찬(左參贊) 이승소(李承召)의 형으로, 어려서 죽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성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승직(李繩直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만실(李蔓實)의 아들로, 공신천첩(功臣賤妾)의 소생을 충의위(忠義衛)에 소속시키는 조치를 반대하고, 조말생(趙末生)의 장오죄(贓汚罪)를 논하였으며, 대사헌(大司憲) 등을 지냄.
1378~1431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승효(李承孝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로, 김안로(金安老)의 문인. 홍문관 수찬(弘文館修撰) 등을 지냈으며, 김안로가 사사(賜死)된 뒤 진우(陳宇) 등을 모함하였다 하여 관직을 삭탈당하고 경외(京外)로 추방됨.
1513~?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승휴(李承休)@당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. 덕종(德宗) 때 재상을 지낸 이필(李泌)의 아버지로, 2만여 권의 서책을 모아서 자손에게 물려주었다고 하며, 그의 서가(書架)를 ‘업가(鄴架)’라 일컬음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승휴(李承休)@고려
고려 고종(高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가리이씨(加利李氏)의 시조. 충렬왕 때 국왕의 실정과 국왕 측근의 폐단을 간언하다가 파직된 후 삼척(三陟) 구동(龜洞)의 용안당(容安堂)에 은거하면서 《제왕운기(帝王韻紀)》ㆍ《내전록(內典錄)》 등을 저술함.
1224~1300 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삼척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시(李偲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함평(咸平). 예조 정랑(禮曹正郞) 이유근(李惟謹)의 아버지로, 승의랑(承議郞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함평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시민(李時敏)@조선
조선 단종(端宗)~성종(成宗) 때의 유학. 이승직(李繩直)의 아들이며, 용재(慵齋) 이종준(李宗準)의 아버지. 형인 이명민(李命敏)이 계유정난(癸酉靖難) 때 화를 당한 일로 인하여 안동(安東)의 금계촌(琴溪村)으로 낙향하여 은거함.
?~147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시민(李時敏)@고려
고려 말~조선 초의 유학. 이색(李穡)ㆍ이숭인(李崇仁)ㆍ권근(權近) 등과 교유하였으며, 《목은시고(牧隱詩稿)》ㆍ《도은집(陶隱集)》ㆍ《양촌집(陽村集)》 등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봉산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