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이신효(李愼孝)@1422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음직(蔭職)으로 출사하여, 형조 참의(刑曹參議)ㆍ충청도 관찰사(忠淸道觀察使) 등을 지냄.
1422~1493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신효(李愼孝)@조선전기
조선 전기의 유학. 이이(李珥)의 문인(門人)으로, 젊은 나이에 요절하였으며, 이이의 《율곡전서(栗谷全書)》에 그의 죽음을 애도한 만시(挽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심(李深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인천(仁川)으로, 의정부 참찬(議政府參贊)을 지낸 이문화(李文和)의 아버지. 전공 판서(典工判書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인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심(李𦸂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중종반정(中宗反正)의 정국공신(靖國功臣)으로 하원군(河源君)에 봉해짐. 중종 때 좌의정을 지낸 이행(李荇)의 종형(從兄)으로, 《용재집(容齋集)》에 묘지(墓誌)가 실려 있음.
1472~1516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심원(李深源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ㆍ학자.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증손으로,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. 임사홍(任士洪)의 무고로 유배생활을 했고, 갑자사화(甲子士禍)에 연루되어 죽임을 당함.
1454~150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종친
-
이심지(李審之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벽진(碧珍). 생육신(生六臣)의 한 사람인 이맹전(李孟專)의 아버지. 예빈시 사(禮賓寺事)를 지내고, 후에 병조 판서(兵曹判書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십사시품(二十四詩品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인 사공도(司空圖)의 시 평론서. 시의 의경(意境)을 24품(品)으로 나누어, 각각 4언(言)의 운어(韻語) 12구(句)를 가지고 상징적으로 해설함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서명
-
이십팔수(二十八宿)
중국에서 달의 공전주기가 27.32일이라는 것에 착안하여 적도대(赤道帶)를 28개의 구역으로 나눈 것. 각 구역이 각각의 수(宿)를 가리킴.
자연물>천체
-
이안눌(李安訥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문인. 본관은 덕수(德水). 중종 때 좌의정을 지낸 이행(李荇)의 증손이며, 택당(澤堂) 이식(李植)의 종숙(從叔). 당시(唐詩)에 능하여 이태백에 비유되었고 글씨도 잘 썼음.
1571~163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이안도(李安道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이황(李滉)의 장손(長孫)으로,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이황 문하의 명유(名儒)들과 교유하였으며, 음서(蔭敍)로 벼슬하여 사온서 직장(司醞署直長) 등을 지냄.
1541~158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
-
이안성(李安性)
조선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덕수(德水)로, 사헌부 집의(司憲府執義)를 지낸 이식(李植)의 아버지. 안기도 찰방(安奇道察訪)을 지내고, 후에 좌찬성(左贊成)에 증직됨.
1554~161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안손(李安孫)
조선 전기의 유학. 홍귀달(洪貴達)의 《허백정집(虛白亭集)》에 그에게 부친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안유(李安柔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병조 정랑(兵曹正郞) 등을 지냈으나, 태종의 잘못을 간하다가 경산(京山)에 유배됨, 세종 때 낙향하여 유방선(柳方善)ㆍ조상치(曺尙治) 등과 교유하며 후진 양성에 힘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안직(李安直)
조선 정종(定宗)~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으로, 이종검(李宗儉)ㆍ이종겸(李宗謙)의 아버지. 1399년(정종 1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사헌부 장령(司憲府掌令)ㆍ보문각 직제학(寶文閣直提學) 등을 지냄. 대치서원(大峙書院)에 배향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안충(李安忠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이창년(李昌年)의 아들로, 상의원 정(尙衣院正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알평(李謁平)
신라 사로육촌(斯盧六村) 중의 하나인 알천 양산촌(閼川楊山村)의 촌장. 경주이씨(慶州李氏)의 시조.
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이암(履菴)
조선 태종(太宗) 때의 승려. 태재(泰齋) 유방선(柳方善)과 교유하였으며, 원천석(元天錫)의 《운곡행록(耘谷行錄)》과 유방선의 《태재집(泰齋集)》에 그에게 써 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이암(李嵒)
고려 충선왕(忠宣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ㆍ서화가. 본관은 고성(固城)으로, 철원군(鐵原君) 이우(李瑀)의 아들. 찬화공신(贊化功臣)ㆍ익조공신(翊祚功臣)에 책록되고, 좌정승 등을 지냄. 글씨에 뛰어나 동국(東國)의 조자앙(趙子昻)으로 불리고, 묵죽화(墨竹畫)에도 능함.
1297~1364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이암(李巖)
조선 인종(仁宗) 때의 종친ㆍ화가. 세종(世宗)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증손으로, 동식물을 소재로 한 그림을 잘 그렸으며, 인종 초에 중종(中宗)의 어용(御容)을 그릴 때 이에 참여함.
1499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왕실>종친
-
이암유고(頤庵遺稿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송인(宋寅)의 시문집. 목판본. 손자 송기(宋圻)가 산일되고 남은 약간 권의 시문을 모아 선조 말에서 광해군(光海君) 초기에 순천(順天)에서 간행한 것으로 추측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순천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