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이윤식(李允植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전의(全義). 세조(世祖) 때 사간(司諫)을 지낸 이숙문(李淑文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윤실(李允實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함평(咸平). 선조(宣祖) 때 한성부 우윤(漢城府右尹)을 지낸 이관(李瓘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함평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윤온(李允蒕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덕수(德水). 이소(李劭)의 아들이며, 낙안백(樂安伯) 이천선(李千善)의 아버지로, 민부 전서(民部典書) 등을 역임하였으며, 나라에 공을 세워 선충경절공신(宣忠勁節功臣)에 책록됨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이윤우(李允耦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안국(金安國)의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그의 집에서 술자리를 함께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윤원(李潤源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문익성(文益成)과 교유하고, 숙천 도호부사(肅川都護府使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윤조(李胤祖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의녕감(義寧監)에 봉해짐. 이이(李珥)가 그를 위해 지은 만사(挽詞)가 《율곡전서(栗谷全書)》에 전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윤종(李尹宗)
조선 전기의 유학. 시문(詩文)에 뛰어났고, 남효온(南孝溫)과 교유하였으며, 《추강집(秋江集)》에 그와 관련한 글이 여러 편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윤탁(李允濯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중종(中宗) 때의 문신 이문건(李文楗)ㆍ이충건(李忠楗)의 아버지로, 승문원 정자(承文院正字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은(李誾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극기(李克基)의 아들로, 학식과 지조가 있어 별과(別科)에 추천되었으며, 고원 군수(高原郡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은보(李殷輔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재령(載寧). 선조(宣祖) 때 의령 현감(宜寧縣監)을 지낸 이함(李涵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재령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은손(李銀孫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증손으로, 승훈랑(承訓郞) 유공좌(柳公佐)의 둘째 딸과 혼인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을진(李乙珍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장수(長水). 여러 차례 왜구를 격퇴하는 공을 세웠고, 최영(崔瑩) 등과 함께 요동정벌에 참가하였으며, 우왕의 복위를 꾀하던 김저(金佇)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장수 , 인명>관인>무신
-
이응(李凝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1566년(명종 21)에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호조 좌랑(戶曹佐郞)을 지냄.
1499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응(李膺)@후한
중국 후한(後漢) 환제(桓帝)~영제(靈帝) 때의 문신. 당고지화(黨錮之禍) 때 두무(竇武)와 함께 환관(宦官)을 숙청하려다가 환관 조절(曹節)에게 피살됨. 공융(孔融)의 집안과 친하게 지냈으며, 청렴하여 당시 청년 관리들이 그를 알게 되는 것을 등용문(登龍門)이라 부름.
110~169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응(李膺)@조선
고려 말~조선 초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조선 개국 후 제2차 왕자의 난에 기여한 공으로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됨. 태종(太宗)의 척불정책(斥佛政策)을 크게 돕고, 계미자(癸未字) 주조에도 공헌함.
1365~1414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이응경(李應慶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복흥(李復興)의 아들로, 봉산 군수(鳳山郡守)로 있을 때 명(明) 나라의 사신을 접대하는 직무를 수행함.
1513~156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응렬(李應烈)
고려 고종(高宗)~원종(元宗) 때의 문신. 무신정권기의 권신 임유무(林惟茂)의 장인으로, 사공(司空) 등을 지냄. 원종의 밀명(密命)을 받은 송송례(宋松禮)에 의해 임유무가 제거되자 연좌되어 유배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응복(李應福)
조선 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(益陽君) 이회(李懷)의 증손이며, 양성군(陽城君) 이륜(李倫)의 아들로, 신흠(申欽)의 누이와 혼인함.
1560~1610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응상(李應祥)
조선 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이륜(李倫)의 아들로 파릉수(坡陵守)에 봉해짐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응성(李應誠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이공달(李公達)의 아들이며 이제신(李濟臣)의 백부(伯父)로, 찰방(察訪)을 지냄.
1497~1535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