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이류(李瑠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형인 월산대군(月山大君) 이정(李婷)의 손자로, 성종의 첫 번째 서자인 계성군(桂城君) 이순(李恂)에게 출계함. 윤임(尹任)이 명종(明宗) 대신 왕으로 추대하려 했다는 혐의를 받아 거열형(車裂刑)을 당하였으나 선조(宣祖) 때 신원됨.
?~154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이류(李鎦)
조선 후기의 문신. 별좌(別坐)를 지냈으며, 《송강집(松江集)》에 정철(鄭澈)이 성혼(成渾)에게 보내는 편지를 전달해준 기록이 보임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륙(李陸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이지(李墀)의 아들로, 《성종실록(成宗實錄)》편찬에 참여하고, 병조 참판(兵曹參判) 등을 지냄.
1438~149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륜(李倫)@조선후기
조선 후기의 종친. 장천정(長川正) 이수효(李壽㹲)의 아들이며 이응복(李應福)의 아버지로, 양성군(陽城君)에 봉해짐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륜(李倫)@조선전기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증손이며, 규보(奎甫) 박종문(朴宗文)의 장인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륜(李崙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우봉(牛峯). 승문원 박사(承文院博士)를 지낸 이응원(李應元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우봉 , 인명>문사>유학
-
이리(李利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종친. 삭녕 군수(朔寧郡守)를 지낸 양치(梁治)의 장인으로, 세종 때 곧바로 회시(會試)에 나아가기 위해 병을 빙자해 한성시(漢城試)에 나아가지 않았다가 추국을 당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린(李潾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두 번째 서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린(李磷)
조선 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천휴당(天休堂) 이몽규(李夢奎)의 아버지로 흥녕부정(興寧副正)에 봉해짐.
?~154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린(李遴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익산 군수(益山郡守) 이순증(李順曾)의 아들이며 오위장(五衛將) 이선(李選)의 형. 1549년(명종 4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였으며, 호조 판서(戶曹判書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린(李鏻)
조선 전기의 종친. 덕흥대원군(德興大院君) 이초(李岹)의 둘째 아들이자 선조(宣祖)의 형으로, 중종(中宗)의 세 번째 서자인 금원군(錦原君)에게 출계하였으며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통천(通川)에서 죽음.
1546~159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이림(李霖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안(咸安). 이세응(李世應)의 아들로, 중종 때 진위사(進慰使)로 중국에 다녀오고 병조 참의를 역임하였으나, 명종 때 윤원형(尹元衡) 일파의 모함을 받아 의주(義州)로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사사(賜死)됨.
?~154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립(李岦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대의 문신. 진보 현감(眞寶縣監)을 지내고, 이춘영(李春英) 등과 교유함. 이춘영을 방문했다가 헤어질 때 주고받은 시가 《체소집(體素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립(李立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하음(河陰). 1513년(중종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창평 , 인명>문사>유학
-
이만각(李晩慤)
조선 고종(高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진보(眞寶)로, 정재(定齋) 유치명(柳致明)의 조카. 경학연구 및 후진양성에 진력하였으며, 저서로 《신암문집(愼庵文集)》이 있음.
1815~187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보 , 인명>문사>학자
-
이만간(李萬幹)
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좌익원종공신(佐翼原從功臣) 이인전(李仁全)의 아버지로, 헌납(獻納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만년(李萬年)
조선 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증손인 연산수(連山守) 이사창(李嗣昌)의 넷째 아들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파산(坡山)에서 죽음.
?~159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만도(李晩燾)
조선 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학자ㆍ독립운동가. 을미사변(乙未事變) 때 예안(禮安)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하였으나, 조선이 일제(日帝)에 의해 병탄(倂呑)되자 단식(斷食)하던 중 순국함.
1842~1910 한국>근대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이만부(李萬敷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연안(延安). 부제학(副提學)을 지낸 이옥(李沃)의 아들로, 북청(北靑)에 유배된 아버지를 모시면서 벼슬을 단념하고 학문연구에 진력함.
1664~1732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문사>학자
-
이만성(李晩成)
조선 숙종(肅宗)~경종(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우봉(牛峰). 송시열(宋時烈)의 문인으로, 학문과 정치에 밝았으며 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지냄. 영암(靈巖)의 죽정서원(竹亭書院)에 제향됨.
1659~1722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우봉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