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이만성(李晩成)
조선 숙종(肅宗)~경종(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우봉(牛峰). 송시열(宋時烈)의 문인으로, 학문과 정치에 밝았으며 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지냄. 영암(靈巖)의 죽정서원(竹亭書院)에 제향됨.
1659~1722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우봉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만수(李萬壽)
조선 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종친(宗親)인 숭선군(嵩善君) 이총(李𤄓)의 서자로, 괴산령(槐山令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만실(李蔓實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대사헌(大司憲) 이승직(李繩直)의 아버지로, 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만영(李萬榮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평(咸平)으로, 이석(李碩)의 아들. 사재감 첨정(司宰監僉正)을 지냈으며, 문장(文章)과 행의(行誼)로 유명하여 《함평선행록(咸平善行錄)》에 행적이 올라 있음.
1510~154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함평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만주(李滿住)
중국 명(明) 나라 선종(宣宗) 때 여진(女眞)의 추장(酋長). 명 나라에 조공(朝貢)을 바쳐 도지휘첨사(都指揮僉使)가 되었으나, 조선 세조(世祖) 때 강순(康純) 등이 명과 협공하여 여진족을 토벌할 때 피살됨.
?~1467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이만창(李晩昌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우봉(牛峯). 숙종~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재(李縡)의 아버지로, 1675년(숙종 1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1654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이말숙(李末叔)
조선 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세종(世宗)의 증손이며 길안도정(吉安都正) 이의(李義)의 아들. 1521년(중종 16) 신사무옥(辛巳誣獄)에 연루되어 형(兄) 이정숙(李正叔)과 함께 유배됨.
1507~157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말정(李末丁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으로, 이백겸(李伯謙)의 아들. 예빈시 소윤(禮賓寺少尹) 등을 지내고 연성부원군(延城府院君)에 추증되었으며, 문장(文章)에 능했음.
1395~146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거창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말정(李末貞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성주(星州). 성균관 대사성(成均館大司成) 이철균(李鐵均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이매(李勱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전의(全義). 부제학(副提學)을 지낸 이해수(李海壽)의 아들로, 봉사(奉事)를 지냄.
?~1598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문사>유학
-
이맹사(李孟思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개성 유수(開城留守)를 지낸 이수동(李壽童)의 아버지로, 한림(翰林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맹우(李孟友)
조선 전기의 공신ㆍ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광국공신(光國功臣) 홍성민(洪聖民)의 외조부로,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되었으며 자산 군수(慈山郡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이맹원(李孟元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전주(全州).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 이몽필(李夢弼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이맹전(李孟全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유학. 거제도(巨濟島)로 귀양 온 이행(李荇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거제 , 인명>문사>유학
-
이맹전(李孟專)
조선 세종(世宗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벽진(碧珍). 생육신(生六臣)의 한 사람으로, 계유정난(癸酉靖難)이 일어나자 고향인 선산(善山)으로 내려가 평생 두문불출하며 단종에 대한 절개를 지킴.
1392~148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맹종(李孟宗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조(太祖)의 넷째 아들인 회안대군(懷安大君) 이방간(李芳幹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이맹지(李孟知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단양(丹陽)으로, 장령(掌令) 이겸(李謙)의 아버지. 춘당대시(春塘臺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현감(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맹진(李孟畛)
조선 태종(太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이색(李穡)의 손자로, 판중추원사(判中樞院事) 등을 지냄. 아들 이유기(李裕基)가 단종복위운동에 가담하였다가 죽고 일가족이 노비가 되나, 세조의 특명으로 부자연좌(父子緣坐)에서 풀려남.
1374~145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맹현(李孟賢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재령(載寧). 울진 현령(蔚珍縣令) 이애(李璦)ㆍ직장(直長) 이날(李㻋)의 아버지로, 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 등을 지내고, 1464년(세조 10) 수찬낭관(修撰郞官)으로 《동국통감(東國通鑑)》편수에 참여함.
1436~148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면(李勉)@조선후기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전의(全義). 부제학(副提學)을 지낸 이해수(李海壽)의 종자(從子)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