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이목(李霂)
조선 전기의 종친. 낙안군(樂安君) 이녕(李寧)의 아들로, 청원정(靑原正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몽(李蒙)
고려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전주(全州). 조선 개국 공신인 이백유(李伯由)의 아버지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이몽가(李蒙哥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이행(李行)의 아들로, 계유정난(癸酉靖難)에 가담한 공으로 정난공신(靖難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지중추원사(知中樞院事) 등을 역임함.
1405~1487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이몽규(李夢奎)
조선 인종(仁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인신(李仁臣)의 아들로, 종실이었던 이모부 흥녕부정(興寧副正) 이린(李磷)에게 출계함. 사후에 명현(名賢)으로 평가받아 대사헌(大司憲)에 추증되었으며, 이이(李珥)가 지은 행장(行狀)과 김육(金堉)이 지은 전기(傳記)가 있음.
1510~1563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보령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이몽량(李夢亮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]). 명종 때 위사공신(衛社功臣)에 책록되고, 대사간(大司諫)으로서 학문에 의거한 도학(道學) 정치를 제창하였으며, 우참찬(右參贊) 등을 역임함.
1499~156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이몽룡(李夢龍)
조선 전기의 유학. 송인(宋寅)과 교유하였으며, 송인이 그의 상심정(賞心亭)이란 정자를 두고 지은 시가 《이암유고(頤庵遺稿)》에 보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이몽무(李夢武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증손인 의천군(義泉君) 이인(李仁)의 넷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몽문(李夢文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증손인 의천군(義泉君) 이인(李仁)의 셋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몽양(李夢陽)
중국 명(明) 나라 효종(孝宗)~무종(武宗) 때의 문인. 진(秦)ㆍ한(漢) 시대의 고문과 이백(李白)ㆍ두보(杜甫)의 시를 이상으로 하고 시의 격조를 중시함. 하경명(何景明)ㆍ서정경(徐禎卿) 등과 함께 ‘칠재자(七才子)’ 또는 ‘십재자(十才子)’로 불림.
1473~1530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이몽우(李夢禹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증손인 의천군(義泉君) 이인(李仁)의 맏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몽윤(李夢尹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예신(李禮臣)의 아들로 평안 도사(平安都事)를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몽은(李夢殷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증손인 의천군(義泉君) 이인(李仁)의 둘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몽필(李夢弼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이맹원(李孟元)의 아들로,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487~1562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연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몽학(李夢鶴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반란자. 본관은 전주(全州). 왕실의 서얼 출신으로 아버지에게 쫓겨나 충청도ㆍ전라도 지방을 전전하다가, 임진왜란(壬辰倭亂)을 틈타서 모속관(募粟官) 한현(韓絢)과 함께 반란을 모의함.
?~1596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홍산ㅣ서울 , 인명>기타인명>역적
-
이무(李懋)
중국 명(明) 나라 성조(成祖)~경제(景帝) 때의 문신. 《영락대전(永樂大典)》 등의 편찬에 참가하고 국자 좨주(國子祭酒) 등을 지냄.
1374~1450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무강(李無疆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성(陽城).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 소윤(小尹) 일파 이기(李芑)의 사주를 받아 구수담(具壽聃)ㆍ허자(許磁)ㆍ송순(宋純)ㆍ이준경(李浚慶) 등을 모함하여 유배보냈으나 그 일이 발각되자 죄를 받고 유배지에서 죽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무방(李茂芳)
고려 충목왕(忠穆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양(光陽). 고려 때 주요 관직을 두루 지내고 찬화공신(贊化功臣) 등에 책록됨. 조선 개국 후 조준(趙浚)의 천거로 검교문하시중(檢校門下侍中)을 지냄.
1319~139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이묵(李黙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~무종(武宗) 때의 문신. 시랑(侍郎) 등을 지냈으나, 엄숭(嚴嵩)과 대립하고 조문화(趙文華)의 모함으로 옥사함. 저서로 《고수부담(孤樹裒談)》ㆍ《군옥루고(群玉樓稿)》등이 있음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문(泥文)
신라 진흥왕(眞興王) 때 가야금 명인. 우륵(于勒)의 제자로, 스승을 따라 가야에서 신라로 망명함. 그가 지은 곡으로 〈오(烏)〉ㆍ〈서(鼠)〉ㆍ〈순(鶉)〉 3곡의 곡명만이 《삼국사기(三國史記)》에 전함.
한국>신라 , 인명>예술인>음악인
-
이문건(李文楗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(門人)으로, 승문원 판교(承文院判校)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성주(星州)에 유배되었다가 죽음.
1494~154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