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이보(李輔)@조선후기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서애(西厓) 유성룡(柳成龍)의 문인으로, 주로 외직에서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의 칭송을 받음.
1545~1608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보(李輔)@조선전기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증손으로, 자암(自菴) 김구(金絿)와 사돈 관계를 맺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보간(李輔幹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예안(禮安). 청백리(淸白吏) 이명(李蓂)과 이훤(李萱)의 아버지로, 연산 현감(連山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보림(李寶林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제현(李齊賢)의 손자로, 정당문학(政堂文學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보정(李寶丁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열 번째 아들인 덕천군(德泉君)의 손자이며 신종군(新宗君) 이효백(李孝伯)의 서자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왕실>종친
-
이보정(李補丁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이백겸(李伯謙)의 아들로, 1420년(세종 2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였으며, 예조 판서(禮曹判書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보흠(李甫欽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이현보(李玄寶)의 아들로, 지대구군사(知大丘郡事)를 지낼 때 성공적으로 사창법(社倉法)을 실시함. 세조 때 단종복위(端宗復位)를 모의하였다는 혐의를 받고 유배된 뒤 교살(絞殺)됨.
?~145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복근(李福根)
조선 전기의 종실. 태조(太祖)의 첫째 아들인 진안대군(鎭安大君) 이방우(李芳雨)의 첫째 아들로, 정사공신(定社功臣)에 책록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종친
-
이복남(李福男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우계(羽溪). 병마절도사(兵馬節度使)를 지냈으나,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남원성(南原城) 전투에서 명장(明將) 이여송(李如松)ㆍ양원(楊元) 등과 함께 싸우다가 전사함.
?~1597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무신
-
이복로(李福老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합천(陜川). 이택(李澤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봉상시 판관(奉常寺判官) 등을 지냄.
1469~153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복생(李福生)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증손이며 곡성군(鵠城君) 이금손(李金孫)의 아버지로, 석보정(石保正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복선(李復善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이시원(李始元)의 아들로, 1474년(성종 5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감사(監司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복원(李復元)
조선 전기의 유학. 제봉(霽峯) 고경명(高敬命)과 교유하였으며, 《제봉집(霽峯集)》에 고경명이 그를 위해 지은 만사(挽詞)가 보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이복윤(李福胤)
조선 전기의 종친. 광천군(廣川君) 이수기(李壽祺)의 손자이자 이엄(李儼)의 아들로, 완산부령(完山副令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복중(李福重)
조선 전기의 종친. 도개부정(道開副正) 이효장(李孝長)의 아들로, 중종(中宗) 때 삼정승(三政丞)을 암살하고 중종을 폐위한 후 완원군(完原君) 이수(李𢢝)를 옹립하려 하였다는 혐의를 받아 체포된 후 유배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복홍(李福弘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이충량(李忠樑)의 아들이며, 간재(艮齋) 이덕홍(李德弘)의 형으로, 부장(部將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무신
-
이복흥(李復興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응경(李應慶)의 아버지로, 충좌위 사과(忠佐衛司果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무신
-
이봉(怡峯)
중국 남북조시대 서위(西魏)의 무신. 뛰어난 용맹으로 훗날 북주(北周)의 태조(太祖)가 된 우문태(宇文泰)의 신임을 얻어 어지러운 정국을 돌봄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이봉(李封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이계전(李季甸)의 아들이자, 이파(李坡)의 아우로, 진위 겸 진향사(陳慰兼進香使)가 되어 명(明) 나라에 다녀왔으며, 형조 판서(刑曹判書) 등을 역임함.
1441~1493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이봉(李逢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의병장ㆍ문신. 본관은 한양(漢陽).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조헌(趙憲)ㆍ정경세(鄭經世) 등과 의병을 규합하여 많은 공적을 세움.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 등을 지냈으나 난이 진압된 뒤에는 귀향하여 여생을 보냄.
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