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이성서(李成瑞)
고려 충정왕(忠定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공민왕(恭愍王) 때 홍건적(紅巾賊)을 맞아 싸우고 최영(崔瑩)을 따라 흥왕사(興王寺)의 변(變)을 평정한 공으로 공신(功臣)에 책록됨. 정조사(正朝使)가 되어 원(元) 나라에 가서 벼슬을 받음.
?~1379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이성세(李星洗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성주(星州). 이효민(李孝閔)의 아들이며 이성익(李星益)의 아우.
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성손(李盛孫)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(德川君) 이후생(李厚生)의 손자이며, 송림군(松林君) 이효창(李孝昌)의 맏아들로, 일찍 죽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성신(李省身)
조선 인조(仁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로, 동생 이치신(李致身)에게 아들 이환(李桓)을 양자로 보냄. 김장생(金長生)의 문인이며, 이괄(李适)의 난 때 사관으로 왕을 공주(公州)에 호종하고, 동부승지(同副承旨) 등을 지냄.
1580~1651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성언(李誠彦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좌찬성(左贊成) 이손(李蓀)의 아들로, 중종반정(中宗反正) 후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진위진향사(陳慰進香使)로 명(明) 나라에 갔다가 그곳에서 죽음.
?~153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이성윤(李聖胤)
조선 후기의 종친. 전성군(全城君)의 증손이며, 광천군(廣川君) 이수기(李壽祺)의 손자이고, 평양군(平陽君) 이의(李倚)의 첫째 아들. 1617년(광해군 9) 이이첨(李爾瞻)을 처벌하라는 종친의 상소에 참여하였다가 유배됨.
1561~162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성윤(李誠胤)
조선 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(翼陽君) 이회(李懷)의 증손이며, 청원도정(靑原都正) 이간(李侃)의 둘째 아들. 임진왜란 때 신주(神主)를 봉안하고 세자인 광해군(光海君)을 호종한 공으로 호종공신(扈從功臣)에 책록됨.
1570~1620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종친
-
이성익(李星益)
조선 현종(顯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성주(星州)로, 통덕랑(通德郞) 이효민(李孝閔)의 아들. 1663년(현종 4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고, 권상하(權尙夏)와 두터운 정의(情誼)를 나눔.
1639~1672?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태인ㅣ경기도>광주ㅣ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성임(李聖任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태조(太祖)의 7대손이며, 이형(李詗)의 아들. 1583년(선조 16) 서장관(書狀官)으로 명(明) 나라에 다녀오고, 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 등을 지냄. 용모ㆍ문사(文辭)ㆍ언론(言論)ㆍ서화(書畵)ㆍ가성(歌聲)이 뛰어나서 오옥(五玉) 선생이라 불렸으며, 김성일(金誠一)과 교유함.
1555~159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종친
-
이성정(李成楨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월성군(月城君) 이철견(李鐵堅)의 아들이고, 선산 부사(善山府使) 이완(李琬)과 이호(李瑚)의 아버지. 종친부 전부(宗親府典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성종(李盛終)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(德川君) 이후생(李厚生)의 손자이며, 송림군(松林君) 이효창(李孝昌)의 셋째 아들로, 중종반정(中宗反正) 때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만년에 파주(坡州)로 내려가 유유자적함.
1474~153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종친
-
이성중(李誠中)@1539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계양군(桂陽君) 이증(李璔)의 현손이며 금천군(錦川君) 이감(李瑊)의 아들. 이중호(李仲虎)ㆍ이황(李滉)의 문인.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여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녹훈되고 완창부원군(完昌府院君)에 봉해짐.
1539~159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이성중(李誠中)@1330
고려 후기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이달충(李達衷)의 동생. 고려 후기에 문과(文科)에 급제하고, 조선 개국에 참여하여 개국원종공신(開國原從功臣)이 되었으며, 검교 좌정승(檢校左政丞) 등을 지냄.
1330~1411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이성징(李聖徵)
조선 후기의 문신. 윤근수(尹根壽)와 교유하였고 판서(判書) 등을 지냄. 그가 주청사(奏請使)가 되어 중국에 가는 것을 송별한 시가 《월정집(月汀集)》에 남아 있음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성춘(李成春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홍주(洪州). 1555년(명종10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였고, 정황(丁熿)ㆍ고경명(高敬命) 등과 교유함.
1517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세(二世)
중국 진(秦) 나라 제2대 황제. 재위 B.C.209~B.C.207. 시황제(始皇帝)의 둘째 아들로, 시황제가 죽자 이사(李斯)와 조고(趙高)에 의해 황제로 옹립됨. 방탕한 생활로 진 나라의 멸망을 초래하였으며, 조고의 협박을 받아 자살함.
?~B.C.207 중국>진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이세건(李世健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신평(新平). 이계완(李季完)의 아들로, 1525년(중종 20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상의원 정(尙衣院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세걸(李世傑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좌익공신(佐翼功臣) 이극감(李克堪)의 아들이자 삼가 현감(三嘉縣監) 이수진(李守震)의 아버지로, 이조 좌랑(吏曹佐郞) 등을 지냄.
1463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세경(李世卿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극돈(李克墩)의 아들로, 1480년(성종 11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였고, 첨정(僉正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정수강(丁壽崗)과 시문으로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세광(李世匡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극배(李克培)의 아들로, 1475년(성종 6) 친시(親試)에 급제하였으며, 도승지(都承旨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