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이소(李昭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무신. 본관은 광주(廣州)로, 평안도 절도사(平安道節度使) 이수철(李守哲)의 아들. 이시애(李施愛)의 난 토벌에 참여하였고, 건주위(建州衛)를 공격하였으며, 동여진(東女眞)을 정벌함. 전라우도 수군절도사(全羅右道水軍節度使)를 지냄.
1441~1499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무신
-
이소(李素)
중국 당(唐) 나라 덕종(德宗)~헌종(憲宗) 때의 문신. 하남 소윤(河南少尹)으로, 임지에서 죽음.
755~812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소(離騷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굴원(屈原)이 지은 서정적 장편 서사시(敍事詩)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이소기(李昭玘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소식(蘇軾)의 문인(門人)으로 문장에 뛰어났으며, 흡주 지사(歙州知事)을 지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이소생(李紹生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이포(李包)의 아들로, 사헌부 집의(司憲府執義) 등을 지냄. 세조(世祖)의 불의(不義)를 간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대흥(大興)으로 내려가 은거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대흥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손(李蓀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로, 평안도 절도사(平安道節度使) 이수철(李守哲)의 아들. 1470년(성종 1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좌찬성(左贊成)ㆍ판중추부사(判中樞府事) 등을 지냄. 중종반정(中宗反正) 때 공을 세워 정국공신(靖國功臣)으로 책봉됨.
1439~1520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이손(李遜)
중국 당(唐) 나라 헌종(憲宗) 때의 문신. 이사도(李師道)의 난 토벌에 참여하였고, 절동도단련관찰사(浙東都團練觀察使)가 됨. 형부 상서(刑部尙書) 등을 지냄.
760~822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수(李䇕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달충(李達衷)의 셋째 아들로, 판강릉도호부사(判江陵都護府使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수(李睟)
조선 후기의 종친. 덕양군(德陽君) 이기(李歧)의 손자이며 풍산군(豊山君) 이종린(李宗麟)의 둘째 아들. 임진왜란 이후 《선원록(璿源錄)》의 보수에 참여하고, 1617년(광해군 9)에 종친을 모아 이이첨(李爾瞻)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렸으며, 정묘호란(丁卯胡亂) 때 인조(仁祖)를 호종함.
1569~1645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수(李秀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인천(仁川). 김일손(金馹孫)과 금란계(金蘭契)를 결성하여 교유하였으며, 금천도 찰방(金泉道察訪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인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수(李穗)@이인민의아들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로, 성산부원군(星山府院君) 이인민(李仁敏)의 아들이자, 호조 판서(戶曹判書)를 지낸 이견기(李堅基)의 아버지. 동지총제(同知摠制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수(李穗)@구수복의장인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종친. 병암(屛菴) 구수복(具壽福)의 장인으로, 무과(武科)에 급제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수(李粹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 이보(李𥙷)의 증손이며, 물거군(勿巨君) 이철(李徹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수(李綏)
조선 전기의 종친. 숭선군(嵩善君) 이총(李𤄓)의 손자이고, 연창군(延昌君) 이학수(李鶴壽)의 장남. 음악을 좋아하여 훈(壎)과 저(箸)를 잘 연주함.
1527~1588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수(李需)
고려 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예부 시랑(禮部侍郞) 등을 역임하였고, 이규보(李奎報)와 매우 절친하였으며, 당시 문장으로 명성이 높아 《동국이상국집(東國李相國集)》의 서문(序文)을 씀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수갑(李壽甲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(桂陽君) 이증(李璔)의 증손이자, 도안정(道安正) 이철(李轍)의 아들이며, 김극핍(金克愊)의 사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수강(李壽剛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서자인 완원군(完原君) 이수(李𢢝)의 아들이며 의천군(義泉君) 이인(李仁)의 아버지로, 이성군(伊城君)에 봉해짐.
1503~154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수경(李壽卿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(利城君) 이관(李慣)의 두 번째 서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수경(李首慶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영부(李英符)의 아들로, 홍문관 교리(弘文館校理) 등을 지냄. 을사사화(乙巳士禍)에 연루되어 온성(穩城)에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후 고향에서 유유자적함.
1516~1561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수계(李壽誡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여섯 번째 서자인 견성군(甄城君) 이돈(李惇)의 둘째 아들로, 견성군이 역모 혐의로 귀양 갔을 때 중종(中宗)의 권유로 회산군(檜山君) 이염(李恬)의 양자가 됨.
1501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