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이중량(李仲樑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농암(聾巖) 이현보(李賢輔)의 아들로, 효행(孝行)과 학행(學行)이 뛰어났으며, 지방관을 두루 역임하며 선정(善政)을 베풂.
1504~158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중립(李中立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김성일(金誠一)ㆍ권호문(權好文)ㆍ서해(徐嶰) 등과 교유하고, 서당을 지어 후진 양성에 힘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중숙(李仲叔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손자인 길안도정(吉安都正) 이의(李義)의 셋째 아들로, 신사무옥(辛巳誣獄) 때 화를 당한 맏형 시산정(詩山正) 이정숙(李正叔)에 연좌되어 선산(善山)에 유배되었다가 후에 풀려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중안(李仲安)
조선 전기의 유학. 유방선(柳方善)의 《태재집(泰齋集)》에 그에게 보낸 시(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중열(李中悅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유희춘(柳希春)ㆍ노수신(盧守愼) 등과 친교를 맺었으며, 을사사화(乙巳士禍)에 연루된 이휘(李輝)를 변호하다가 파직되어 이듬해 갑산(甲山)에 유배된 뒤 사사(賜死)됨.
1518~1547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중열(李仲悅)
조선 전기의 유학. 조욱(趙昱)의 《용문집(龍門集)》에 그에게 부친 시(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중윤(李中允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성주 목사(星州牧使) 이지유(李之柔)의 아들로, 판결사(判決事)를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중윤(李仲胤)
조선 전기의 종친. 청성군(靑城君) 이걸(李傑)의 둘째 아들이며, 이경윤(李慶胤)의 동생이자 이영윤(李英胤)의 형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중은(李重恩)
중국 북송(北宋) 때의 기사(棋士). 당대(當代)에 맞수가 없을 정도로 바둑 실력이 뛰어났다는 기록이 구양수(歐陽脩)의 《귀전록(歸田錄)》에 실려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이중인(李中仁)
고려 말의 문신. 본관은 용인(龍仁). 이성계(李成桂)의 역성혁명으로 정국이 혼란해지자 벼슬에서 물러나고, 조선 개국 후에는 머리를 풀고 산속에 들어가 은둔하여 절개를 지킴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용인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중현(李仲賢)
조선 전기의 문신. 양양 부사(襄陽府使)를 역임하였으며, 도량이 넓고 백성을 사랑하여 선정(善政)을 베풂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중호(李仲虎)@이공인의아들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홍문관 부제학(弘文館副提學) 이공인(李公仁)의 아들이며, 동암(東巖) 이발(李潑)의 아버지로, 담양 부사(潭陽府使) 등을 지냄.
1512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중호(李仲虎)@이정의아들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고안정(高安正) 이정(李精)의 아들이며, 서경덕(徐敬德)ㆍ유우(柳藕)의 문인. 과거(科擧)에 뜻을 두지 않고 도학(道學)에 전심하였으며, 문장(文章)에 뛰어나고 성리학(性理學)에 조예가 깊었음.
1512~155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이중희(李仲禧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현감(縣監) 이굉식(李宏植)의 아들로, 사옹원 별좌(司饔院別坐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즙(李葺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옹진(瓮津). 영흥 부사(永興府使) 이수복(李壽福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옹진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즙(李楫)
조선 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현손이자 돈녕부 주부(敦寧府主簿)를 지낸 이대(李薱)의 맏아들이며, 이백(李柏)ㆍ이건(李楗)ㆍ이역(李櫟)ㆍ이노(李櫓)ㆍ이박(李樸)ㆍ이량(李樑)의 형. 1543년(중종 3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여 충훈부 경력(忠勳府經歷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증(李增)@이원의아들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좌의정 이원(李原)의 아들로, 영산 현감(靈山縣監)을 지내고, 후에 안동(安東)으로 낙향하여 덕이 높은 향인(鄕人)들과 우향계(友鄕契)를 맺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증(李增)@이지숙의아들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 때 공을 세위 평난공신(平難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임진왜란(壬辰倭亂) 후에는 국가의 기강을 바로잡는 데 헌신함.
1525~1600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이증(李增)@이이의아들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여섯 번째 서자인 진남군(鎭南君) 이종생(李終生)의 손자이자, 봉성군(鳳城君) 이이(李𢓡)의 아들이며, 돈녕부정(敦寧府正) 윤승홍(尹承弘)의 장인.
1453~150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증(李增)@조선전기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안국(金安國)의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그에 대한 자사(字辭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