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이증무(李增茂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덕산(德山). 사간원 대사간(司諫院大司諫) 이번(李蕃)의 둘째 아들로, 현감(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덕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증석(李曾碩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기우자(騎牛子) 이행(李行)의 증손이며, 양녕대군(讓寧大君) 이제(李禔)의 외손자로, 중화 군수(中和郡守)를 지냄.
1427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증수(李增壽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합천(陜川). 이조 참판(吏曹參判) 이인(李認)의 아버지로, 사옹원 가낭청(司饔院假郎聽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증화(李增華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덕산(德山). 사간원 대사간(司諫院大司諫) 이번(李蕃)의 맏아들이며, 예문관 대교(藝文館待敎) 정전(鄭荃)의 사위로, 판관(判官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덕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지(李墀)@이계중의사위
조선 전기의 종친. 군사(郡事) 이계중(李繼重)의 사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지(李墀)@이원의아들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좌의정 이원(李原)의 아들로, 승문원 참교(承文院參校)를 지냄.
1420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지(李漬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현군(翼峴君) 이곤(李璭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지강(李之剛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집(李集)의 둘째 아들로, 이방원(李芳遠)의 측근이 되어 활약하고, 태종(太宗) 즉위 후 풍기 단속과 공신(功臣) 세력을 제거하는 데 앞장섬.
1363~1427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지란(李之蘭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무신. 여진의 금패천호(金牌千戶) 아라불화(阿羅不花)의 아들로, 공민왕 때 고려에 귀화함. 이성계(李成桂)를 도와 조선 건국에 큰 공을 세우고, 여러 차례 공신(功臣)에 책록됨.
1331~1402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함경도>북청ㅣ경기도>양주 , 인명>기타인명>귀화인ㅣ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이지렴(李之濂)
조선 현종(玄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함풍(咸豊). 김집(金集)ㆍ송시열(宋時烈)의 문인으로, 학문이 뛰어나고 시와 글씨에 능하였으며, 흡곡 현령(歙谷縣令) 등을 지냄.
1628~1691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함평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이지무(李之茂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이치(李穉)의 둘째 아들로, 이지번(李之蕃)의 아우이자 이지함(李之菡)의 형. 1543년(중종 3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였으며, 아들인 이산보(李山甫)의 공으로 인해 한창부원군(韓昌府院君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보령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지방(李之芳)
중국 청(淸) 나라 세조(世祖)~성조(聖祖) 때의 문신. 오삼계(吳三桂)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, 문화전 태학사(文華殿太學士) 등을 지냄.
1622~1694 중국>청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지번(李之蕃)@조선전기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성주(星州). 표연말(表沿沫)ㆍ유호인(兪好仁)ㆍ최한후(崔漢侯) 등과 교유하였으며, 연산군(燕山君)의 폭정에 벼슬살이의 염증을 느끼고 낙향하여 학문에 몰두함.
1469~152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이지번(李之蕃)@이산해의아버지
조선 인종(仁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한산(韓山). 이산해(李山海)의 아버지이며, 이지함(李之菡)의 형. 명종(明宗) 때 김안로(金安老)의 무고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단양(丹陽)의 구담(龜潭)에 은거함.
?~1575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이지복(李之復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인. 본관은 여주(驪州). 이태(李迨)의 6대손으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소실된 쌍경당(雙鏡堂)을 복원하고 《월연집(月淵集)》의 부록에 들어 있는 〈쌍경당기사후지(雙鏡堂記事後識)〉를 지음.
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문사>문인
-
이지성(李之誠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생원. 본관은 경주(慶州). 충무위 상호군(忠武衛上護軍) 이화(李譁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합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지수(李之秀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삼중대광(三重大匡) 금자광록대부(金紫光祿大夫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지숙(李之菽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한성군(韓城君) 이질(李秩)의 아들로, 종묘서 영(宗廟署令)을 지냈으며, 아들인 아천군(鵝川君) 이증(李增)의 훈공으로 인해 이조 판서(吏曹判書) 한평군(韓平君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지식(頤知識)
고려 후기의 승려. 이규보(李奎報)와 교유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이지완(李志完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주(驪州). 시문(詩文)에 능하여 1606년(선조 39) 중국 사신 주지번(朱之蕃)이 왔을 때 이호민(李好閔)ㆍ허균(許筠) 등과 접반함. 이이첨(李爾瞻)과 사돈을 맺고 권력을 탐해 사람들의 비난을 받음.
1575~1617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