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이지원(李之元)
조선 전기의 유학. 이이(李珥)와 교유했으며, 이이가 그의 집에 가서 주고받은 시가 《율곡전서(栗谷全書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지유(李之柔)
고려 공양왕(恭讓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집(李集)의 셋째 아들로, 성주 목사(星州牧使)를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지지(李知止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완산(完山). 지삼기현사(知三岐縣事) 이나(李那)의 아들이며, 동래군(東萊君) 정난종(鄭蘭宗)의 장인이자, 문익공(文翼公) 정광필(鄭光弼)의 외조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지직(李之直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로, 이집(李集)의 장남. 정몽주(鄭夢周)의 문인으로, 보문각 직제학(寶文閣直提學) 등을 지냄.
1354~1419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지충(李之忠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우봉(牛峰).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으로, 중종 때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한 뒤 평생을 경사(經史) 연구와 후진(後進) 양성에 힘씀.
1509~1562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우봉 , 인명>문사>학자
-
이지함(李之菡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한산(韓山). 이치(李穉)의 아들이며, 서경덕(徐敬德)의 문인. 아산 현감(牙山縣監) 등을 지내고, 《토정비결(土亭祕訣)》을 저술함.
1517~157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이지활(李智活)
조선 문종(文宗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세조(世祖)가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거창(居昌)의 박유산(朴儒山)에 은거하였으며, 단종의 승하 소식을 듣고 통곡하다 죽음.
1434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거창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직(李溭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광산(光山)으로, 이중호(李仲虎)의 아들. 이영(李嶸)ㆍ성혼(成渾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직(李稙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(敬寧君) 이비(李裶)의 아들이며, 선사군(仙槎君) 이승손(李承孫)의 아버지.
1438~151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직(李稷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이성계(李成桂) 추대에 참여하여 지신사(知申事)로서 개국공신(開國功臣)에 책록되고 성산군(星山君)에 봉해짐.
1362~1431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이직언(李直彦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효령대군(孝寧大君) 이보(李𥙷)의 5대손으로, 정묘호란(丁卯胡亂) 때 인조를 강화도에 호종하여 척화를 주장했으며, 찬성(贊成) 등을 지냄. 유영건(柳永健)ㆍ이원익(李元翼) 등과 교유함.
1545~1628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진(李瑱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익재(益齋) 이제현(李齊賢)의 아버지. 정당문학(政堂文學)ㆍ검교첨의정승(檢校僉議政丞) 등을 지내고, 제자백가(諸子百家)를 섭렵하고 시문(詩文)에 뛰어남.
1244~1321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진(李璡)
중국 당(唐) 나라 영왕(甯王)의 맏아들. 활쏘기를 잘하였고, 하지장(賀知章)과 시주(詩酒)로 교유함. 술을 좋아하여 ‘주중팔선인(酒中八仙人)’ 중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짐.
?~75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이진(李稹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전주(全州). 한재(寒齋) 이목(李穆)의 아우로, 이목의 《이평사집(李評事集)》에 개성(開城)으로 떠나는 그를 전송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진(李軫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율곡(栗谷) 이이(李珥)의 문인(門人)으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군량을 운반한 공으로 원종공신(原從功臣)이 되었으며, 목사(牧使)를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이진(李鎭)@조선전기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맏아들인 양녕대군(讓寧大君) 이제(李褆)의 손자이며, 함양군(咸陽君) 이포(李𧦞)의 맏아들로, 부원군(富原君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진(李鎭)@조선후기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종친. 송응경(宋應慶)의 사위로, 선조 때 법을 어기고 서북 지방의 관기(官妓)를 데려다 거느리다가 추고(推考)의 처분을 받음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진(李震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안(咸安). 이세응(李世應)의 아들로, 1537년(중종 32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였으며, 참의(參議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진수(李眞粹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서거정(徐居正)과 남원(南原) 축천정(丑川亭)에 동행한 적이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진숙(李晉肅)
중국 당(唐) 나라 덕종(德宗) 때의 종친. 시인 이하(李賀)의 아버지로, 미관말직에 있다가 일찍 죽음. 후에 이하가 진사시(進士試)에 응시하였을 때 진숙의 ‘진(晉)’과 진사의 ‘진(進)’이 음이 같으므로 피휘(避諱)해야 한다는 이유 때문에 낙방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