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이찬(李纘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종친. 중종반정(中宗反正)의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고 이과(李顆)ㆍ윤구수(尹龜壽)ㆍ김잠(金岑) 등과 모의하여 견성군(甄城君) 이돈(李惇)을 추대한 뒤 박원종(朴元宗)ㆍ유순정(柳順汀) 등을 제거하려 하였으나, 서얼 노영손(盧永孫)의 밀고로 처형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창근(李昌根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전의(全義). 이원영(李源英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합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창년(李昌年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사옹원 별좌(司饔院別坐) 이중희(李仲禧)의 아들이며, 상의원 정(尙衣院正) 이안충(李安忠)의 아버지로, 봉상시 부정(奉常寺副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창량(李昌良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진사 이제(李躋)의 아버지로, 호조 좌랑(戶曹佐郞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창수(李昌壽)@이중희의아들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이중희(李仲禧)의 아들로, 태안 군수(泰安郡守)를 지냄.
1453~1514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창수(李昌壽)@조선정종의현손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현손(玄孫)이며, 김굉필(金宏弼)의 문인으로, 조광조(趙光祖)와 친교를 맺었으며, 학문이 뛰어나 사림(士林)의 추앙을 받음.
?~151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창숙(李昌叔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손자인 길안도정(吉安都正) 이의(李義)의 둘째 아들로, 신사무옥(辛巳誣獄) 때 화를 당한 맏형 시산정(詩山正) 이정숙(李正叔)에 연좌되어 유배되었다가 후에 풀려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창신(李昌臣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한어(漢語)ㆍ이문(吏文)에 매우 능하였고, 호조 참판(戶曹參判) 등을 역임하였으며,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섬으로 유배됨.
1449~?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창우(李昌祐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전중감(殿重監) 이장(李粧)의 아들이자, 낭성군(琅城君) 이계감(李季瑊)의 아버지로, 판도총랑(版圖摠郞)을 지냈으며, 밀직사사(密直司使)에 추증됨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창응(李昌應)
조선 순조(純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이재원(李載元)의 아버지로, 수원관(守園官)을 지냄.
?~1828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창인(李昌仁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이영희(李永禧)의 아들이며, 성균관 학정(成均館學正) 이의(李薿)의 아버지로, 용양위 부사과(龍驤衛副司果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무신
-
이창형(李昌亨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광양 현감(光陽縣監) 이맹희(李孟禧)의 아들이자, 영의정(領議政) 이탁(李鐸)의 아버지로, 신천 군수(信川郡守)를 지냈으며, 영의정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무신
-
이채(李寀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 이보(李𥙷)의 맏아들로, 내자시 직장(內資寺直長) 이차궁(李次弓)의 딸과 혼인함. 학문을 좋아하여 경사(經史)에 통달함.
1411~149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왕실>종친
-
이천(伊川)
강원도 서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고구려 때 이진매현(伊珍買縣)이라 부르고 신라 때 이천(伊川)으로 고쳤으며, 벼를 비롯하여 보리ㆍ목화ㆍ대마 등이 경작됨. 별호는 화산(花山)임.
강원도>이천 , 지명>행정지명
-
이천(利川)
경기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경기 중서부와 강원도ㆍ충청도를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. 논농사로 유명함.
경기도>이천 , 지명>행정지명
-
이천(李仟)
고려 후기의 무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보승 별장(保勝別將) 이순(李順)의 아들로, 응양군 대장군(鷹揚軍大將軍)ㆍ문하평장사(門下平章事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무신
-
이천(李蒨)@고려
고려 충숙왕(忠肅王)~충목왕(忠穆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첨의평리 상의(僉議評理商議)로 원(元) 나라에 가서 교사(郊赦)를 축하하고 돌아왔으며, 판밀직사사(判密直司事) 등을 역임함.
?~1349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천(李蒨)@조선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 이보(李𥙷)의 손자이며, 서원군(瑞原君) 이친(李𡩁)의 넷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천격양집(伊川擊壤集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 때의 시인ㆍ학자인 소옹(邵雍)의 시가문집(詩歌文集). 20권. 소옹이 낙양(洛陽)에 은거할 때 스스로 즐기며 지은 시들로, 성정(性情)을 읊은 것이 내용의 주를 이룸.
1066 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이천경(李天慶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인. 본관은 합천(陜川). 조식(曺植)의 문인으로,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님의 봉양을 위해 관직을 사양했으며, 저서로 《일신당집(日新堂集)》이 있음.
1537~161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단성 , 인명>문사>문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