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이최영(李最英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상연(李尙堧)의 아들이며, 이진영(李震英)의 아우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추(李抽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덕수(德水). 홍산 현감(鴻山縣監) 이의석(李宜碩)ㆍ사간(司諫) 이의무(李宜茂)의 아버지로, 온양 군수(溫陽郡守)를 지내고, 찬성(贊成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추(李菆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손자이자 서원군(瑞原君) 이친(李𡩁)의 장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축(李蓄)
조선 세종(世宗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광주 목사(光州牧使) 이숙야(李叔野)의 아들로, 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 등을 역임하였으며, 고양(高陽)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마침.
1402~147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축(李軸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안악 군수(安岳郡守) 시절 한준(韓準)ㆍ박충간(朴忠侃)ㆍ한응인(韓應寅) 등과 함께 정여립(鄭汝立)의 모반을 고변하여 병조 정랑(兵曹正郞)이 되고, 평난공신(平難功臣)에 책록됨.
1538~161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이춘복(李春福)
조선 전기의 종친. 영성수(寧城守) 이경생(李敬生)의 둘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춘부(李春富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성(陽城). 도첨의평리(都僉議評理) 이나해(李那海)의 아들로, 1359년(공민왕 8) 홍건적(紅巾賊)을 물리쳐 도첨의평리(都僉議評理)가 되고, 충근절의동덕찬화공신(忠勤節義同德贊化功臣)에 책록됨.
?~1371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양성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이춘양(李春陽)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(德川君) 이후생(李厚生)의 증손이며, 처인수(處仁守) 이성종(李盛終)의 첫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춘억(李春億)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(德川君) 이후생(李厚生)의 증손이며, 처인수(處仁守) 이성종(李盛終)의 셋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춘원(李春元)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(德川君) 이후생(李厚生)의 증손이며, 처인수(處仁守) 이성종(李盛終)의 넷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춘정(李春程)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(德川君) 이후생(李厚生)의 증손이며, 처인수(處仁守) 이성종(李盛終)의 둘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춘형(李春亨)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(德川君) 이후생(李厚生)의 증손이며, 처인수(處仁守) 이성종(李盛終)의 다섯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출(李秫)
조선 중중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1535년(중종 30)에 별시(別試)에 급제하였으며, 성균관 사성(成均館司成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충건(李忠楗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이윤탁(李允濯)의 아들이며,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으로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파직됨. 안처겸(安處謙)의 옥사에 연루되어 고문을 받고 귀양 가던 도중 청파역(靑坡驛)에서 죽음.
?~152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충량(李忠樑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영천(永川). 이덕홍(李德弘)ㆍ이명홍(李命弘)ㆍ이복홍(李福弘)의 아버지로, 병조 참판(兵曹參判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충작(李忠綽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효자.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후손이며, 당은군(唐恩君) 이휘(李徽)의 아들. 이기(李芑) 등의 보익공신(保翼功臣) 칭호를 삭탈할 것을 주장하였으며, 모친상을 슬퍼하다가 실명(失明)함.
1521~1577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직산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이충절(李忠節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성주(星州). 훈도(訓導) 이영무(李英茂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영광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치(李寘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진보(眞寶). 온계(溫溪) 이해(李瀣)의 넷째 아들이며 이황(李滉)의 조카로, 요절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보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치(李穉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으로, 이지번(李之蕃)ㆍ이지함(李之菡)의 아버지. 1504년(연산군 10)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진도(珍島)로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(中宗反正) 이후 풀려나 판관(判官) 등을 지내고, 좌찬성(左贊成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치(李致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덕수(德水). 인종(仁宗) 때 양사(兩司)와 더불어 을사사화(乙巳士禍)를 일으킨 이기(李芑)를 탄핵하여 파직시켰으나, 이기의 사주를 받은 이무강(李無彊)에 의해 대역죄로 몰려 투옥된 후 장살(杖殺)됨.
1504~1550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