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이치(李菑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이인로(李仁老)의 아들로, 판교(判校)를 지냄. 동생 이여(李畬)와 함께 진천(鎭川)에 거주하면서 풍속 교화에 힘씀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진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치신(李致身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효종(孝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전의(全義).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이권(李勸)의 아들로, 후사가 없어 형 이성신(李省身)의 아들인 이환(李桓)을 양자로 들임.
1594~1660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문사>유학
-
이칙(李則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좌의정 이원(李原)의 손자로, 성종 때 임사홍(任士洪)의 등용을 반대하였으며,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역임함.
1438~149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이친(李𡩁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 이보(李𥙷)의 차남으로, 경상도 관찰사(慶尙道觀察使) 이희(李暿)의 딸과 혼인함.
1413~147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이침(李琛)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증손인 석보정(石保正) 이복생(李福生)의 증손이며, 함라수(咸羅守) 이효원(李孝元)의 넷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탁(李倬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(益陽君) 이회(李懷)의 손자이며, 용천군(龍川君) 이수한(李壽鷴)의 둘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탁(李擢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서자인 근녕군(謹寧君) 이농(李襛)의 손자이며, 칠성수(漆城守) 이화(李譁)의 아버지로, 시안군(始安君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탁(李濯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세 번째 서자이고, 이함(李涵)ㆍ이린(李潾)의 아우이며, 이옥(李沃)의 형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이탁(李鐸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전의(全義).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과 《명종실록(明宗實錄)》의 편찬에 참여하고, 영의정 등을 지냄. 덕이 많고 청렴한 인물로 이름이 높았으며, 권신 이기(李芑)를 탄핵함.
1509~157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이탄(李坦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맏아들인 양녕대군(讓寧大君) 이제(李禔)의 증손이며, 취성군(鷲城君) 이경(李熲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탕(李宕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병조 참판(兵曹參判) 이정암(李廷馣)의 아버지. 1534년 (중종 29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여 사직서 영(社稷署令)을 지냄.
1507~158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태(李迨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주(驪州). 이사필(李師弼)의 아들이며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으로, 김정국(金正國)ㆍ이현보(李賢輔)ㆍ권벌(權橃) 등과 교유함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낙향하여 학문에 전념하고,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.
1483~1536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태백시집(李太白詩集)
중국 당(唐) 나라 현종(玄宗) 때의 시인인 이백(李白)의 시집. 30권. 현존하는 최고본은 송(宋) 나라 때 편집된 것이며, 주석서로는 송 나라의 양제현(楊齊賢), 원(元) 나라의 소사빈(蕭士贇), 청(淸) 나라의 왕기(王琦) 등의 저서가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이택(李澤)@이복로의아버지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합천(陜川). 봉상시 판관(奉常寺判官) 이복로(李福老)의 아버지로, 낭천 현감(狼川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택(李澤)@이교의아들
조선 성종(成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동지사(同知事)가 되어 명(明) 나라에 다녀오고, 예조 판서(禮曹判書) 등을 지냄. 문장에 능하고 해서(楷書)를 잘 썼으며, 사예(射藝)에도 뛰어남.
1509~157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통(李通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덕수(德水). 선공감 감역관(繕工監監役官) 이인상(李麟祥)의 아들이며, 이조 판서(吏曹判書) 이경증(李景曾)의 아버지로, 순천 군수(順川郡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파(李坡)
조선 문종(文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이계전(李季甸)의 아들로, 《동국통감(東國通鑑)》과 《삼국사절요(三國史節要)》의 편찬에 참여하고, 좌찬성(左贊成) 등을 지냄. 성리학(性理學)에 밝고 문장이 뛰어남.
1434~148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팽복(李彭福)
조선 전기의 종실. 영성수(寧城守) 이경생(李敬生)의 첫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평(李坪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부제학(副提學) 이윤(李胤)의 아버지로, 사온서 영(司醞署令)을 지냄.
1440~149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평(李枰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안악(安岳)으로, 홍문관 제학(弘文館提學) 이희순(李希舜)의 아버지. 1468년(세조 14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참판(參判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안악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