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이평(李泙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좌의정 이원(李原)의 손자로, 음보(蔭補)로 벼슬하여 사온서 영(司醞署令) 등을 역임함.
1440~149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포(李包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사헌부 집의(司憲府執義) 이소생(李紹生)의 아버지로, 도염서 승(都染署丞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포(李褒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이조년(李兆年)의 아들로, 도첨의평리(都僉議評理) 등을 지냄. 여섯 아들이 모두 과거(科擧)에 올라 가문이 크게 중흥함.
1287~1373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포(李𧦞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맏아들인 양녕대군(讓寧大君) 이제(李禔)의 둘째 아들.
1416~147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이표(李彪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익녕군(益寧君) 이치(李袳)의 손자이며, 수천군(秀泉君) 이정은(李貞恩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표(李豹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아들 익녕군(益寧君) 이치(李袳)의 손자이며, 수천군(秀泉君) 이정은(李貞恩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풍(李灃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(桂陽君) 이증(李璔)의 맏아들로, 후사가 없어 아우인 부림군(富林君) 이식(李湜)의 둘째 아들 도안군(道安君) 이철(李轍)로 계대(繼代)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풍(李豐)
중국 삼국시대 위(魏) 나라의 장수. 하후현(夏侯玄)ㆍ장집(張緝) 등과 함께 진(晉) 나라 경제(景帝)로 추존된 사마사(司馬師)를 제거할 것을 모의하다가 발각되어 죽음을 당함.
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이필(李泌)
중국 당(唐) 나라의 재상. 어려서 신동(神童)으로 이름을 떨치고, 신선술(神仙術)에 탐닉하였으며, 현종(玄宗)ㆍ숙종(肅宗)ㆍ대종(代宗)ㆍ덕종(德宗) 네 황제에 걸쳐 국가 대사에 막중한 영향력을 행사함.
?~789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핍(李愊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 이보(李𥙷)의 손자이며, 의성군(誼城君) 이채(李寀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이하(李河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보(眞寶). 좌찬성(左贊成)에 추증된 이식(李埴)의 둘째 아들이며 이굉(李宏)ㆍ이완(李完)의 아버지로, 예안 훈도(禮安訓導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하(李賀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. 문장에 뛰어나 한유(韓愈)ㆍ황보식(皇甫湜) 등의 인정을 받았으나 요절함. 재주가 특출나고 초자연적 제재(題材)를 애용하여 ‘귀재(鬼才)’라 불렸으며, 〈장진주(將進酒)〉 등의 명작을 남김.
790~816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이하영(李夏英)
조선 후기의 서화가.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서화가인 조속(趙涑)의 화풍을 이어받음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이학(李鶴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충좌위 부사과(忠佐衛副司果)를 지낸 이세원(李世元)의 아들. 성균관(成均館) 진사(進士)로 명성이 높았고, 하서(河西) 김인후(金麟厚)와 절친하였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영광 , 인명>문사>유학
-
이학정(李鶴汀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광국공신(光國功臣) 이양원(李陽元)의 아버지로, 이원부령(利原副令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학정(李鶴貞)
조선 전기의 종친. 중종(中宗)의 서자인 해안군(海安君) 이희(李㟓)의 서자로, 서흥수(西興守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이한(李翰)
통일신라 때 전주(全州)의 호족. 조선 태조(太祖) 이성계(李成桂)의 21대조로, 전주이씨(全州李氏)의 시조. 사공(司空)을 지냄.
한국>통일신라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한(李漢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. 한유(韓愈)의 제자이자 사위로, 한유의 문집인 《창려선생집(昌黎先生集)》의 서문을 씀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이함(李咸)
중국 후한(後漢)의 문신. 태위(太尉) 등을 지내고, 충직하게 바른 말을 간하여 예제(禮制)를 합당케 함. 시대에 아첨하였다는 호광(胡廣)과 비교가 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이함(李涵)@1554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재령(載寧). 갈암(葛庵) 이현일(李玄逸)의 조부로, 선조 때 문과에 올랐으나 답안지 가운데 《장자(莊子)》에서 인용한 말이 있다고 하여 취소당하였으며, 의령 현감(宜寧縣監) 등을 역임한 후 광해군 때 낙향함.
1554~163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해 , 인명>관인>문신